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형제가족 지인들한테 돈빌리는게 보편적인 가족인가요?

fdsf 조회수 : 2,019
작성일 : 2016-05-27 12:44:50
형제 자매 가족한테 돈빌리고 후에 갚고
지인들에게 돈 빌리고 

그게 사회생활하면 드문일도 아닌가요?

아직 사회초년생인데 아버지가 돈을 친척들한테 (형제) 종종 많이 빌리셨고
못갚기도했다는걸 알게됬어요..

친구네 가족도 친척들이랑 절연하고 산다는데 이 경우 형제들이 돈빌려서 절연하고 그런건가요..

사회생활하면 지인에게, 가족에게 돈 빌리고 살수밖에없어지나요..
IP : 121.166.xxx.2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5.27 12:49 PM (175.182.xxx.197) - 삭제된댓글

    돈빌린 후에 안갚거나 못갚으면 절연하기 쉽죠.
    빌린돈은 약속날짜에 꼭 갚으면 절연 같은거 없고
    다음에 급할 때 또 빌리기도 쉬워요.
    제일 좋은건 병원비처럼 목숨이 왔다갔다 하는 일 아니라면
    없으면 없는대로 사는거죠.

  • 2. 아니요
    '16.5.27 12:50 PM (125.128.xxx.64) - 삭제된댓글

    빌리는 사람은 보통 안갚을수도 있기때문에 ...
    보모까지는 이해하는 형제자매는 좀..
    말듣고 안빌려주기 민망한 관계에서 돈얘기는 애초에
    정에 치대는거죠.
    돈 필요하면 은행가야죠.
    은행돈 안갚으면 어떻게 되는지 알죠?
    그거 못받은 집들은 부부싸움 꽤나했을겁니다..
    근데 이게 일반적인 일인가요?
    남의 집 분란 일으키고 민폐끼치고...
    그렇게 떼일 돈이 당연한고도 일상적인 일이라면
    우리가 아끼고 살 필요가 있을까요?
    내새끼 돼지고기사줄때 한우사주고 키울걸하고
    눈물 한바가지는 흘릴거같습니다

  • 3. ㅁㅁ
    '16.5.27 12:53 PM (175.193.xxx.52) - 삭제된댓글

    아뇨
    빌리는놈만 빌립니다
    굶어죽어도 주변인에게 아쉬운소리안하는 사람은
    일생 안하구요

  • 4.
    '16.5.27 1:00 PM (121.171.xxx.92)

    예전 80년대 까지야 친척간에 취직하면 인보증도 서야했고 뭐 그런 시대고 돈 없을때는 등록금도 빌리고 이웃집끼리 1만원 빌리고 갚고 뭐 이런 추억의 시대지만 지금은 500만원까지도 현금서비스 받던지 해서 자체 해결하지 친척이고 형제간에 무슨 돈을 빌려요?
    그렇게 빌려서 갚는 경우가 드물어요. 사실....
    빌려줘도 신경쓰이고 안 빌려줘도 신경쓰이고 의 상하고 그래요. 절대 일상적이지 않아요.
    요즘 누구한테 100만원 빌려달라 하면 욕 먹어요.
    빌려주지도 않고 욕하는 시대예요.
    저도 부모님이 돈 없어서 옆집에서 준비물값도 빌려서 주고, 쌀값도 빌리고 한거 보고산 시대지만 절대 누구랑도 돈거래 안해요.
    정말 죽기보다 어려운게 돈빌려달라는 소리입니다.
    그걸 쉽게 생각하면안되요

  • 5. 부모형제에게
    '16.5.27 1:01 PM (113.199.xxx.50) - 삭제된댓글

    돈빌리는 사람치고
    제대로인 사람 없더라고요

    어쩌나 다급해 한두번 그럴수 있고
    또 반드시 갚으면 나은데

    갚지도 않으면서 매번 죽는소리해가며
    마치 자기돈인양 가져가는거 보면
    사람으로 안보여요

  • 6. ..
    '16.5.27 1:01 PM (14.40.xxx.10) - 삭제된댓글

    형제들은 돈이 어디서 날아오나요
    절연하지요
    내새끼 못보거 나가 번 돈인데요

  • 7. 사회초년생이면
    '16.5.27 1:59 PM (125.128.xxx.64) - 삭제된댓글

    나이도 있고 생각도 있을텐데
    이게 어떻게 보편적인건지 묻나요?
    민폐진상인거죠.
    거지근성이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77777 집에서 공부 시키는 엄마가 있는데 8 ㅇㅇ 2016/07/20 3,310
577776 홈쇼핑에 나온 걸로 가는 여행사는 어떤가요? 5 노랑풍선 2016/07/20 3,156
577775 체험?학습나온 아이들 보는데...음.... 8 2016/07/20 1,885
577774 성주 군민 40%가 새누리 당원..탈당이 시작되었다 7 탈당러시 2016/07/20 1,757
577773 오래된 순정만화책 찾아주세요 5 궁금해요 2016/07/20 1,732
577772 내일 미용실 예약했는데 고민이네요 4 .. 2016/07/20 1,709
577771 아는 문제 실수로 자꾸 틀리는 아이..어떻게 해야할까요? 5 중2 2016/07/20 1,490
577770 닥터스 재미있는데요 11 2016/07/20 2,587
577769 '이상호 감독 두번째 영화 '일어나 김광석' 예고편' 보기 2 좋은날오길 2016/07/20 845
577768 강남 세브란스 근처 신축 빌라 매매 조언좀 주세요~ 6 첫집 2016/07/20 1,821
577767 고3현역이 수능 잘 볼 가능성이 그렇게 희박한가요? 12 고3맘 2016/07/20 4,735
577766 조립식 행거 버리려는데.. 1 재활용 2016/07/20 2,789
577765 버터에 관한 잡담 32 @@ 2016/07/20 7,292
577764 조조로 부산행 보고 왔어요(스포일러 없슴) 22 ... 2016/07/20 4,351
577763 어머니께서 많이 가려워하세요 26 블루 2016/07/20 3,009
577762 네비게이션 지니.아이나비 뭐가 좋나요? 10 급해요 2016/07/20 2,163
577761 도쿄 잘 아시는 분 도와주세요 17 .. 2016/07/20 2,051
577760 상열감 극복하신 분들... 계실까요? 2 ... 2016/07/20 2,440
577759 이진욱이 먼저 전화했나보네요 16 인생 한방 2016/07/20 19,226
577758 입이 자꾸 마르신다는데 이유가 뭘까요? 10 ^^ 2016/07/20 2,095
577757 대체 머리하러 어디로 가야할까요? 해어샵 2016/07/20 463
577756 이명박때부터 이나라에 망조가 들기시작했군요. 14 사드와전작권.. 2016/07/20 2,197
577755 고1 국어) 대치동 학원 좀 추천 부탁드려요 ㅠㅠㅠ 5 교육 2016/07/20 1,327
577754 왜 감자는 갈아서 그냥 쓰지 않나요? 6 귀찮 2016/07/20 1,657
577753 봉평 터널 사고를 보고.... 1 북괴멸망 2016/07/20 1,7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