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25일부터 아프리카 3개국 순방을 간 동안 일본에서는 '북핵' 해법을 모색하는 주요 7개국 (G7) 정상회담(26~27일)이 열리고 있다. 국제사회가 북한 핵실험을 둘러싼 제재에 동참하고 있는 가운데 이번 G7 정상회담에 박 대통령이 '옵서버' 역할로 참여할 기회를 놓쳤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문제는 일본이 초청을 제안했음에도 거절했다는 사실이다.
오바마 미국 대통령, 아베 신조 일본 총리,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 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총리,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 마테오 렌치 이탈리아 총리,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 장클로드 융커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 도날트 투스크 EU 정상회의 상임의장 등이 일본에서는 열리는 G7 정상회담에 참석하고 있다.
미국 오바마 대통령이 일본 히로시마 평화공원을 방문 등 '미일 동맹'을 강화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데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번 G7 정상회의의 결과물로 채택될 정상 선언에선 북한의 핵실험에 대해 "가장 강한 표현으로 비난한다" 는 이야기가 흘러나온다.
그런데도 아프리카 순방 일정을 조정하지 않은 것은 윤병세 외교장관 등 외교 라인의 중대한 판단 착오다. 일본은 G7 정상회담을 준비하면서 올해 초 박 대통령 초청을 검토했다고 한다. 하지만 물밑 접촉에서 박 대통령의 아프리카 순방 때문에 어렵다는 우리 측 의사를 확인하고 공식 제안 단계까지 가지 못했다는 것이다. G7 정상회담이 열리는 27일에는 박 대통령이 아프리카 54개국 정부 간 기구인 아프리카연합(AU)에서 한국 대통령으로선 처음으로 연설을 하는 일정이 잡혀 있기도 했다. (조선일보, 5월26일)
내일신문 5월 26일 보도에 따르면 김준형 한동대 교수는 다음과 같이 비판했다.
"한일 위안부합의에 이어 오바마의 히로시마 방문으로 과거는 덮고 미일 동맹을 동북아전략의 중심축으로 잡겠다는 뜻을 분명히 하는 등 급박한 상황이다. 아프리카에 가서 새마을운동을 선전하는 것이 무슨 의미인지 모르겠다. 우리 외교는 핀트를 제대로 못 맞출 뿐 아니라 타이밍마저 놓치고 있다"
청와대 외교안보 라인의 판단력을 의심케하는 일은 지난해에도 있었다. 중남미 4개국 순방을 위해 출국한 탓에 교육부장관이 아시아·아프리카회의(반둥회의) 60돌 기념행사에 대신 참석한 일이 있었다.
반둥회의는 미국과 옛 소련의 진영에 가담하길 거부했던 아시아·아프리카의 개발도상국들이 모여 한목소리를 내고자 했던 비동맹회의의 모태로, 국제사회에 큰 족적을 남긴 바 있다. 이번 기념행사에 중국의 시진핑 주석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 북한의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의장이 참석하는 것만 봐도 그 비중과 의미를 알 수 있다. 더구나 아베 총리는 여기서 역사인식과 관련한 연설을 할 예정이라고 하는데, 우린 외교의 문외한이라고 할 수 있는 황우여 교육부총리를 특사로 파견한다니 너무 긴장감이 없어 보인다. (한겨레, 2015년4월1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