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삶은 계란 껍질 까기... ㅜㅜ 도와주세요..

선샤인 조회수 : 3,537
작성일 : 2016-05-25 15:23:26

시키는 대로 다했어요. 식초랑 소금 넣었구요.

냉장고에서 바로 꺼내 넣으면 온도차가 나서 껍질터진다기에 일부러 상온에 몇시간 두었구요.

반숙만 먹기에 5~6분 삶아서 바로 찬물에 식혔어요(그냥 수돗물).

그런데 왜!  왜! 저는 껍질까기가 이렇게 어렵나요. 정말 매번 이래요.. 자꾸 아까운 속살하고 같이 벗거져요.

지난 주말 땀삐질삐질 흘리며 껍질 까는데 정말 집어던지고 싶은 마음이었어요.

ㅜㅜ 방법 좀 알려주세요.

IP : 183.98.xxx.222
2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16.5.25 3:27 PM (49.142.xxx.181)

    굉장히 싱싱한 달걀일경우는 (알낳은지 며칠이내의) 뭔짓을 해도 잘 안까집니다.
    조금 묵은 달걀이 특별한짓 안해도 끓였다 식히면 잘까져요.

  • 2. ..
    '16.5.25 3:28 PM (210.90.xxx.6)

    잘 안까지면 혈압이 오르긴 하죠.ㅎ
    계란이 싱싱해야 더 잘 까진다는 소리를 듣기도 했고요.
    락앤락통에 담아 흔들거나 밥숟가락으로 까면 잘 까져요.

  • 3. 코코2014
    '16.5.25 3:29 PM (58.148.xxx.199)

    숟가락 이용해서 까보세요~완전 신세계던데요

  • 4. ㅁㅁ
    '16.5.25 3:30 PM (175.193.xxx.52) - 삭제된댓글

    전 두가지로 보관 합니다

    삶을것은 아예 냉장에넣지 마세요
    소금이니 식초니 아무짓도 안하고 그냥 찌고
    찬물에 안넣어도 훌러덩
    벗겨집니다

  • 5. ..
    '16.5.25 3:30 PM (116.39.xxx.42) - 삭제된댓글

    물 끓을 때 넣으니까 잘 까진던데..

  • 6. 삷은계란
    '16.5.25 3:31 PM (110.70.xxx.112)

    예기서 배운대로 끓는 물에 넣어요
    퐁당 넣을때 깨질 수 있으니 국자에 담아서 하나씩
    껍질 그냥 까져요

  • 7. 웃뜨까
    '16.5.25 3:31 PM (175.193.xxx.172)

    탁하고 먼저 친다음 평면에 적당한 힘을 가하면서 또르르 굴립니다
    또 한가지 흐르는 물에 껍질을 깝니다

  • 8. 메모하세요..
    '16.5.25 3:32 PM (175.120.xxx.173) - 삭제된댓글

    신선란은 끓는물에 삶아야 합니다..끝....


    소금식초 아무것도 안넣어도 돼요..

  • 9. 쓰담
    '16.5.25 3:33 PM (121.173.xxx.167)

    소금 식초 다 필요없구요
    물이 팔팔 끓을때 달걀 넣기 입니다
    그냥 넣으면 금가거나 깨질수 있으니 숟가락이나 국자에 올려서 살짝 미끄러지듯이 넣으세요
    이방법으로 백발백중입니다

  • 10. 메모하세요..
    '16.5.25 3:34 PM (175.120.xxx.173) - 삭제된댓글

    신선란은 끓는물에 삶아야 합니다..끝....


    상온에 두가...소금식초 아무것도 안넣어도 돼요..

  • 11. 메모하세요..
    '16.5.25 3:34 PM (175.120.xxx.173)

    신선란은 끓는물에 삶아야 합니다..끝....


    상온에 안두어도 되고...소금식초 아무것도 안넣어도 돼요..

  • 12. ...
    '16.5.25 3:37 PM (182.211.xxx.113) - 삭제된댓글

    전 그냥 압력솥에 쪄요
    그냥 막 벗겨짐~ 쫄깃해지고요

  • 13. ...
    '16.5.25 3:38 PM (122.40.xxx.85)

    계란 배달해서 먹는데 정말 싱싱하거든요. 얘는 절대로 안까져요.
    마트계란하고 달라요.
    전기압력밥솥에 찜 기능으로 삶으면 잘 까지고 맛있습니다.

  • 14. 식초빼고
    '16.5.25 3:39 PM (94.219.xxx.255) - 삭제된댓글

    소금만 넣고 삶아도 컵에 물 조금 넣고 살살 흔드니 잘 까지더라고요.

  • 15. 반숙란을 자주하는데
    '16.5.25 3:43 PM (125.128.xxx.64) - 삭제된댓글

    매번 달라요.
    던지고 싶다가도..훌러덩 까지기도하고.
    저는 소금식초넣고 끓는문에 5분.
    이게 워낙 살짝 익어서 흰자부분이
    뜯기면 안되니 더 화가 올라와요.

  • 16. 제가 해봐도
    '16.5.25 3:44 PM (211.112.xxx.13)

    가장 나은 결과물을 가져오는게 3번 댓글 숟가락 이용해서 돌려까기 더라고요.

  • 17. ..
    '16.5.25 3:46 PM (223.62.xxx.35)

    실행한 것중 왜이렇게 불필요한 조언들이 많죠.
    그냥 냉동실에서건 상온이건 바로 삶고 바로 찬물붓고 바로 까야돼요. 아무리 찬물해도 시간지나면 안까져요. 찬물씻고 바로 까야합니다. 전 그래서 한꺼번에 까놓아요 요즘은.
    소금물, 상온 등등 다 전혀안해도 되는것들 투성이네요..

  • 18. ㄴㄴ
    '16.5.25 3:48 PM (211.36.xxx.4)

    끓는물에 넣으세요 그럼 잘까져요~~

  • 19. .....
    '16.5.25 3:58 PM (14.36.xxx.8)

    완전히 식히세요.
    완전히 식어야지 잘까져요.

    식히는것만 잘하면 실온보관중이든 뭐든 상관없어요.
    저도 같은 고민했었는데 다 식힌다음에 까니깐 문제없이 잘까졌어요.
    삶은다음에 볼에다가 건져놓고 아이스팩 하나랑 같이 담궈두세요.
    그리고 한 30분두세요. 급하면 중간에 팩 다시 갈아주고요.

  • 20.
    '16.5.25 4:01 PM (124.61.xxx.210)

    30분 둘 필요도 없고..찬물에 두세번 헹구고 담구어 열기만빼면 바로 까져요~

  • 21. 존심
    '16.5.25 4:45 PM (110.47.xxx.57)

    계란 최대 소비가 부활절입니다.
    이때 대량으로 계란을 삶아봐서 압니다.
    부활절 전날 사다가 삶으면 어떤 방법으로 해도 잘 안까집니다.
    낳은지 얼마 안된 상태의 계란인거죠.
    일주일전에 사다가 놓았다가 삶으면
    어떤 아무것도 안해도 잘 까집니다...
    사다가 상온에 5일정도 두었다가 삶으면 홀랑홀랑까집니다...

  • 22. dfgh
    '16.5.25 4:51 PM (68.172.xxx.31)

    여기서 배운 끓는 물에 삶는 방법이 완전 신세계예요.

  • 23. ,,,
    '16.5.25 5:13 PM (1.246.xxx.215)

    군계란얘기도 받아주세요
    밥솥에 하는 군계란 무슨짓을 해도 터지는건 왜 그런가요
    한번에 몇개까지 넣으시는지요
    하도 깨져서 먼저살짝삶아서 밥솥에 넣어볼까 하는데요

  • 24. 40년전업
    '16.5.25 5:49 PM (220.76.xxx.44)

    냄비에 계란넣고 수도물 틀어서 계란이 잠길만큼 물넣어요
    가스제일작은 화구에 제일약불에 올려놓고 천천히 끓여요
    10분이면 다끓고 5분정도있다 불끄고 10분정도 그냥두었다가 찬물에 담가요
    조금있다 식으면 껍질까요 단한개도 안터지고 잘까져요 우리도조금전에
    5개삶아서 2개먹엇어요 오막한 냄비에 삶아요

  • 25. ,,,,님
    '16.5.25 7:09 PM (115.143.xxx.81)

    구운계란 제가 하는 방법입니다.

    압력솥에 실리콘으로 된 받침대를 넣고 물을 담고 식초를 한스푼정도 넣습니다.

    계란이 쇠에 닿으면 터지거나 깨진다고 해서 실리콘 받침대를 이용하는데 그게 맞는지는 잘 모르겠어요.^^

    실온에 둔(냉장고에 들어가지 않은 계란이 가장 좋아요) 계란을 씻어서 실리콘 받침위에 차곡차곡 쌓아요. 이때도 가능하면 압력솥에 닿지 않게 담으세요.

    센불에 올렸다가 추가 돌기 시작하면 약한 불에 그대로 2시간쯤 두었다가 불을 끕니다.

    약한 불이지만 2시간을 구우려면 물 양을 넉넉히 잡아야 타지 않아요. 처음에 맨 바닥에 있는 계란이 물속에 반쯤 담겨져도 괜찮아요.

    처음엔 한 두개 터지기도 하고 금이 가기도 하지만 구운 계란의 신세계를 만날 겁니다.^^

  • 26. ,,,,님
    '16.5.25 7:12 PM (115.143.xxx.81)

    저는 전기압력밥솥이 아닌 가스에 올리는 압력솥을 이용하고 한번에 20개쯤 만듭니다. 솥이 5~6인용이라서 더이상 못넣어요.
    소금 안넣어도 간이 맞고 구운계란 만들어 먹기 시작한 이후로 삶은 계란 맛없어서 손이 안가네요.ㅎㅎ

  • 27. 아하하하하하하
    '16.5.25 7:53 PM (125.176.xxx.116)

    난 정답을 알아요 알아!!! 싱싱하고 어쩌구 다 필요없어요!
    위에 삶은계란님이랑 ㄴㄴ 님이 정답!!
    처음부터 넣고 끓이면? 싱싱해도 상온이어도 소금넣어도 식초넣어도
    뭔 용을 써도 매끈하게 안까져용!
    물이 팔팔 끓을 때! 국자로 하나씩 하나씩 살살 넣어보시죠. 음하하

  • 28. 비법
    '16.5.25 8:20 PM (1.238.xxx.69)

    삶은 후 물을 따라 버리고 냄비를 흔들면 껍질에 금이 생깁니다. 그리고 찬물에 잠기게 담아서 한 2-3분쯤 놔둬요. 그 다음에 숟가락으로 까면 쓕쓕 잘 까집니다.
    금간 사이로 찬물이 들어와서 달걀이 수축되어 빈공간이 생긴다고 들은 것 같아요.
    이 방법 덕분에 삶은 달걀 일도 아니게 까고 있습니다.ㅎㅎ

  • 29. 매일
    '16.5.25 9:22 PM (49.166.xxx.152) - 삭제된댓글

    계란 한판에서 두판씩 삶는 주방 알바입니다
    싱싱한 계란은 무슨 수를 써도 안까집니다
    숙성된 계란은 찬물에 삶아도 뜨건물에 삶아도 잘까지고 삶자마자 찬물뿌려서 까도되고 그냥 방치해서 식혔다 까도 다 잘 까집니다
    우리 가게도 이 비밀을 모를때는 매일매일 여러가지 방법으로 삶아봤지만 전부 실패하다가 양계장 주인할아버지한테 물어보고서야 알았어요
    꼭 중요한 일이면 사다가 2~3일 방치한 후에 삶으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62083 속초 찜질방 추천해 주세요 3 검색 2016/05/30 2,366
562082 모기물린곳이 땡땡하게 부었는데요 바르면 효과있는게 없을까요 20 모기 2016/05/30 6,929
562081 미군 “한국은 생화학 실험하기 좋은 나라” 홍보까지... 5 미쳤구나 2016/05/30 1,186
562080 해운대 출장온 아줌마, 저녁에 뭘먹을까요? 7 뚱이 2016/05/30 1,920
562079 마트..안마의자코너에서 진짜 못볼꼴을.. 31 또라이니? 2016/05/30 23,576
562078 언니들 급여통장 어디 은행걸로 하시나요?? 6 미리 2016/05/30 1,386
562077 택시에서 만난 기사분 4 ... 2016/05/30 1,195
562076 윗층집에서 물이세서 우리집 천장에 물이떨어지는데 13 ^^ 2016/05/30 3,378
562075 홈플인데 순수한면 생리대 어느회사에서 나온건가요 2 지금 2016/05/30 1,592
562074 수족구가 유행이라는데 ..어린이집에 보내지말까요? 12 궁금해요 2016/05/30 2,337
562073 드림렌즈 보존액과 크리너!안과랑 안경점 어디가 싸나요 4 땅지 2016/05/30 1,060
562072 아이슬란드 사람들은 '행복'을 묻지 않는다 4 샬랄라 2016/05/30 1,847
562071 청소 매일 하시나요? 11 ㅇㅇ 2016/05/30 2,919
562070 아이는 에어백? 1 무개념 2016/05/30 546
562069 생멸치 젓갈 그냥 먹어도 되나요? 3 갑자기 2016/05/30 1,158
562068 TV 버튼 1 TV 버튼 2016/05/30 454
562067 일반 usb 끼워도 인식되는 티비는? 4 궁금이 2016/05/30 1,155
562066 남자다움, 여자다움 - 요런 거 없어지면 좋겠어요... 9 ㅎㅎㅎ 2016/05/30 1,269
562065 쓰레기매립장과 비염발생의 상관관계가 있을까요? ... 2016/05/30 459
562064 좀전에 중산층 재테크 관련 글 올리신 분 찾습니다. ........ 2016/05/30 1,039
562063 열무물김치 담아보려는데요... 3 물김치 2016/05/30 1,862
562062 미세먼지 진짜 대책 안세우나요? 22 ㅇㅇㅇㅇ 2016/05/30 2,862
562061 초등1학년 학교 가져갈만한 간식 뭐가 있을까요? 4 초등맘 2016/05/30 1,643
562060 강아지 입마개하면 못짖나요? 10 강쥐맘 2016/05/30 2,771
562059 건설업계 종사경험으로 본 건설회사별 아파트 특징 34 2016/05/30 12,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