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비혼자가 기본인데

패트릭 조회수 : 920
작성일 : 2016-05-24 07:01:32

우리는 신생아기부터 비혼자였어요.


그럼 혼인자란 뭔가.

혼인신고를 한 자로서, 정조 의무를 갖는 자죠.

즉 배우자 이외의 이성과 연애 '행위'를 하면 위법이 되는 존재가 혼인자.


쌍방간 합의 하에 하는 연애가 위법이 되는 존재인 거죠.

그것 자체는 문제가 안되나 맥락이 위법성을 규정하는 것. 

그래서 종종 가해자들이 큰 소리 치는 이상한 사안!


왜 지금까지 우리는 비혼자에서 혼인자로 모드 전환하는 것을 미화했던 것일까요?

'정조 의무' 갖는 일이 대단해서?

혼인자라는 포지션이 도대체 뭐길래?


반면에 혼인자에서 비혼자로 모드 전환하는 것에 대해서는 왜 두려워했던 걸까요?

신생아기 때에도 취했던 포지션인데.


임신, 출산, 육아가 비혼자는 폄훼하고 혼인자는 벼슬로 인식케 한 요소일까요?

공공 육아가 보편화의 길을 걷게 된다면?

출산율 저하로 공공 육아가 대세가 되고 있죠.


'정조 의무' 없는 비혼자라도 '일대일 연애' 취향일 수 있어요.

근데 굳이 '정조 의무' 속으로 걸어 들어가 성욕이나 성애의 측면에서 스스로를 구속하는 일이 왜 필요한가.


물론 그 속으로 걸어 들어갔으면 그 계의 ㅣ통제받는 건 당연하고 통제를 벗어난 행동을 하면 비난의 대상.

축구하러 들어갔으면 축구 규칙 따라야 하고 어기면 비난의 대상되는 것 당연하듯.


혼인신고를 하면서 여성은 졸지에 어머니를, 친정 어머니라고 하지를 않나.

혼인신고를 하면서 여성은 졸지에 누군가의 부모형제자매에게 굽신 모드가 되지를 않나.

혼인신고 했다가 이혼신고하면 신분 격하라도 된 듯 대하지를 않나.

원래 비혼자로 돌아간 것뿐인데도.


이런 대접이 싫어 배우자의 온갖 위법적 행동 그냥 넘어가는 피해자드의 무리수 아닌 무리수.

그 무리수가 가져오는 여파가 있고.


즉 정조 의무 위반이니 가정폭력이니 모두 특정 성이 주로 저지르고.

피해자들이 여성인 고로... 정조 의무 위반에, 가정폭력에 대해 '질색'을 해봐야 가해자들인 남성들은 자신을 비호해주는 세상 속에서 잘 살아갈 뿐이고.


정조 의무 위반, 가정폭력이 우리 사회에서 어떻게 인식되는지 생각해 보면 쉽죠.

피해자부터가 그걸 오히려 덮는 경향을 보이니 가해자들만 살판나는 거고.

사법기관도 피해자 편드는 척 하나 본질은 가해자 편.

피해자가 고소 취하 블라블라...흐지부지...


이렇게 특정 성이 피해자가 되는 위법을 '젠더폭력'이라 하고.

'정서적 폭력'도 폭력일 수 있을텐데.

유부남들 성매수 잦다는데 이건 '정서적 폭력'에 해당. 물론 정조 의무 위반도.

이런 젠더폭력은 국가기관 자체가 가해자 편.

여성이 사회적 소수자라는 특성으로.

그렇다면 혼인신고란 사회적 소수자인 여성에게 어떤 의미?


이상, 공유하고 싶은 단상이었습니다.

좋은 하루 되십시오.



IP : 211.176.xxx.46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89145 때리는것만 아동학대일까요? 3 ... 2016/08/24 1,334
    589144 얼굴에 흉터 생기면 팔자가 사나와질까요? 7 관상 2016/08/24 2,694
    589143 걷기 1시간과 커브스 20분 중에.. 살이 더 잘빠지는건 뭘까요.. 5 ... 2016/08/24 3,966
    589142 남의 외모, 키, 직업으로 품평회하던 인간이 6 2016/08/24 1,986
    589141 4대강 하면 가뭄와도 된다며 9 mb야 2016/08/24 1,699
    589140 드라마 여자의 비밀 2 웃겨요 2016/08/24 1,233
    589139 좋은 댓글 공유해요 1 감사드려요 2016/08/24 458
    589138 터미네이터 2 보고 있는데 지금 봐도 대단한 영화네요. 24 영화 2016/08/24 2,612
    589137 가출,,,, 9 ,,,,, 2016/08/24 1,387
    589136 삼재는 끝나는 게 그해 생일 지나고 인가요? 8 뒷북이지만 2016/08/24 7,029
    589135 자전거사고 합의금을 얼마나 해야 할까요. 16 ㅁㅁ 2016/08/24 9,431
    589134 ㅋㅊ압력솥 2 2016/08/24 596
    589133 볶음짬뽕라면 맛있어요. 2 2016/08/24 1,500
    589132 고등학생 이상 자녀를 키우신 분들의 조언 20 고민맘 2016/08/24 4,267
    589131 대장내시경전날 약먹고 속비워내기.. 두려워요 14 2016/08/24 3,561
    589130 개포 청약 경쟁율이 100:1이랍니다 6 말도안됨 2016/08/24 4,803
    589129 한반도 사드 배치 찬성합니다. 7 2016/08/24 1,290
    589128 사주 대운세운 영향이 언제시작되요? 양력새해?음력? 양력생일? 4 ... 2016/08/24 5,054
    589127 강아지 키우는분들‥한달에 평균 얼마나 들어가나요? 24 이뻐 2016/08/24 5,955
    589126 휴~~ 박씨 집안 8 ㅎㅎㅎ 2016/08/24 2,394
    589125 빠듯한 예산에 신축빌라 or 아파트월세.. 4 kkk 2016/08/24 1,564
    589124 일신여상 정보 주실분이요~ 4 답변 꼭 부.. 2016/08/24 989
    589123 초밥부페 혼자 갔어요 7 ... 2016/08/24 4,151
    589122 la디즈니 숙소 문의합니다~ 1 디즈니 2016/08/24 630
    589121 비싸게 꽃게사서 꽃게탕을 끓였는데 7 아이고 2016/08/24 3,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