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병역 특례제도 폐지되면 해외로 유출되는 인력이 늘어날거라는데

해외 조회수 : 1,221
작성일 : 2016-05-18 09:29:03

이공계 인재들이 해외 대학원 과정가서 거기서 영주권이나 시민권 취득하고 눌러앉을 확률이 높다는 얘기

그래서 군대 가는 인구가 줄어들거라는 얘기인가요?


IP : 183.109.xxx.87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5.18 9:33 AM (183.98.xxx.95)

    병역을 면제받을 길이 없으니
    학부때 군대 다녀오고 석박사 다 해외에서 하고 거기 살거 같다는 얘기입니다
    카이스트 석박사 코스 밟으면 대체복무 돼서 군대 가지 않는데
    이제 특례없어지면 굳이 한국에서 학위과정 하지 않을거 같다는거죠

  • 2. 아침에
    '16.5.18 9:35 AM (116.125.xxx.103) - 삭제된댓글

    출근하는 남편왈 군대갔다와서 따면돼지
    뭘 저것갖고 그러나고
    제남편은 전방근무했고 지금 연구소에서 근무해요
    남편회사 반절 넘는 사람이 군면제 이공계 박사로 해결 했으니까요
    외국으로 유출?
    그럴 인재 거의없어요
    부모가 차라리 돈있고 빽있어
    빼주면 모를까?
    울나라 장관 이나 자녀들보세요
    다 면제거나 기피 아니면 외국인
    하기야 국무총리도 안간 군대를 왜? 국민가양사는지 것도 문제
    겨ᆞ

  • 3. ㅣㅣ
    '16.5.18 9:50 AM (122.40.xxx.105)

    그럼 그렇게 해야죠.
    나갈 사람은 다 나가고 나중에 한국을 기웃거리지나 말았으면 좋겠네요.
    이참에 올림픽등 해외수상자 특례도 다 없앳으면 합니다.
    꼼수 없이 다 같이 해야 온깆 트릭들이 사라지리라 봅니다.

  • 4. ,,,,,
    '16.5.18 10:02 AM (182.231.xxx.214) - 삭제된댓글

    나갈 사람 다 나가고 한국 기웃거리지마라....이렇게 감정적으로 말할 문제는 아니예요.

    안그래도 이공계 최고 두뇌들 유학가서 안돌아오고 대우좋은 구글이니 애플이니 미국회사에 기여하면
    결과적으로 우리나라 미래가 암담해져요.
    상위1프로 두뇌가 전국민 일자리만들고 국가발전이끌어가는거 모든사회에서 정석으로 받아들여지고있는데
    과학기술계 인력유출 심각해질거예요.
    그나마 국내박사학위과정자들 특례가 있으니 유학갈까말까 망설이다 국내대학원으로 결정하고 서포카 공대생들 붙잡아두던 유인책이었는데
    이거 없어지면 박사까지 생각하는 최상위학생들 앞으론 고민할 여지없이 유학갑니다.어차피 최상위권 공대생들은 유학가도 펀딩 거의 다 받거든요.

  • 5. ,,,,,
    '16.5.18 10:04 AM (182.231.xxx.214) - 삭제된댓글

    산업체요원선발에 연예인이나 고위층 비리가 있었던건 사실이지만
    석박사급 전문요원들은 꼭 있어야한다고 생각.
    의무병제인 이스라엘도 이공계최고인력은 국가경쟁력을위해서 군에서 따로 관리한다고 들었어요.

  • 6. 그래라
    '16.5.18 10:08 AM (112.154.xxx.98)

    국책연구원에서 보조원으로 일한적 있어요
    연구원들 스펙이 아주 화려합니다
    젊은 남자들 특례로 많이 와서 월급도 꽤 받고 일도 별로 안바쁘고 칼퇴근에 복지수준도 엄청 좋았아요
    그런데도 불만들이 빨리 끝내고 외국가 박사학위 취득하려
    나가야 한다며..시간 떼우기 싫고 귀찮다고

    보면서 금수저 물고 태어나 이런환경에서 일하면서 다른 젊은이들은 밤낮 목숨걸고 힘들게 군대있는건 전혀 이해를 못하는구나
    저런사람들이 다 해외나갔다 기득권으로 다시 한국돌아와요

    힘들게 일하는 사람들을 이해할까 싶었어요

    제가 매일을 불만을 달고 사는사람에게 그래도 매일 집에서 출퇴근하고 하고싶은거 다 하며 월급도 받으면서 생활하고 있잖아요 일반병사들 생각해봐요 얼마나 특혜인가요

    했더니 내가 그사람들과 같냐고 ㅠㅠ
    난 특별한사람 우리들은 다른대우 받아야 하는사람으로 생각하더군요

    그냥 다 똑같이 군대가야죠

  • 7. ,,,,
    '16.5.18 10:09 AM (182.231.xxx.214) - 삭제된댓글

    현재 대체복무인원이 3만명정도인데
    의경이랑 산업체기능요원이 2만 몇천명으로 대다수고
    석박사전문요원 3천명정도,그중박사과정 특례는 딱 천명.
    남초 싸이트보니 현대군대에서는 그렇게 사병들 늘릴이유가 없는데 군 장성들 밥그릇유지차원이라고..

  • 8. 나갈사람은
    '16.5.18 11:18 AM (220.86.xxx.20)

    늦게라도 많이들 나가던데요.
    이도저도 길이 없고 빼도박도 못하는 어중간한 애들만 군대 간다는..
    똑같이 군복무하고 석박사하면 되죠.
    다들 해외로 간다구요? 그것도 가능한 일부에게 해당되는 얘기네요.

  • 9. 글쎄요
    '16.5.18 12:43 PM (112.169.xxx.81)

    병역특례 해당되는 사람들을
    해외에서 다 받아줄거라구요?
    말도 안되죠..
    해외 유출될 인력들이라면,병역특례 같은 거 안하고도 벌~써 유출되었겠죠..

    똑같이 군복무하고 석박사해도 된다고 생각해요.
    특권층 우대는 좀 그만했음 좋겠어요.

    병역특례 혜택 받으면서,대단한 연구 하는 것도 아니고,
    말그대로 군입대 대신 시간 떼우고 돈 받는 정도로만 활용하는것 같던데...

    병역면제 받기 위해,
    외국 가서 석박사 받고,외국에서 살거라구요?
    요즘 그렇게 쉽게 영주권 안줘요.(미국 아닌 좀 더 못사는 나라에선 좀 다르려나..)
    미국에서 아이비 대학 석박사 나오고도,영주권 못받아서 국내로 들어오는 사람들도 많아요.
    미국 경기도 안좋기 때문에,,
    아예 영주권 있는 사람들은 취업 하기 쉽지만,미국 젊은이들도 취업 쉽지 않은데,정말 뛰어나지 않다면,
    뒤늦게 영주권 따는 건 정말 어려워요.(정말 뛰어난 인재들은,병역특례든 뭐든 상관없이,미국 가 있죠..이대호가 큰 물에서 놀아보려고, 일본의 엄청난 제의들 뿌리치고,메이저리그 가듯이요)

    솔직히,
    군징집 피하기 위해,
    해외로 유출 될 인재들이라면,
    한국에서도 크게 도움 안될 인재들이라고 생각해요.
    자기 이익만 생각해서 자기 능력을 발휘할 사람들이지,
    국가를 위해 희생하고 봉사할 인재들일 거란 생각이 안듭니다.

    그렇잖아도,
    유수 인재들이,
    국내에서 자기들 대접 못받는다고,
    중국인가 어딘가 해외기업들에
    거액에 스카웃 되어가서ㅡ(한국보다 몇배몇십배로 준다니,,팔자가 달라질테니,,고민될 일이죠)
    웬만한 기술들 다 중국등지로 넘어갔다고 하던데,,,,

    진짜 우리나라를 생각하는 인재들이라면,
    군징집 피하기 위해,
    해외로 도망갈 생각은 안할거라고 생각합니다.

    정말 뛰어난 인재로 검증 받은 사람들에게는 제대로 대우 안하면서,
    어중이떠중이 모두 특별대접 하는 건 좀 지양해야 할 것 같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59875 아이가 또 제 돈에 손을 댄것 같아요,, 28 ........ 2016/05/23 5,736
559874 달빛도 되게 밝아요 2 2016/05/23 552
559873 아이 내성발톱 병원 어디로 가야나요? 3 ... 2016/05/23 5,080
559872 북리뷰: 5.18광주항쟁을 그린 한강의 ‘소년이 온다’ 2 light7.. 2016/05/23 835
559871 최근에. 폐차해 보신 분 경험 좀 나눠 주세요 9 올드카 2016/05/23 1,160
559870 택배방문접수하려는데 가격대가 얼마인가요? 6 대한통운, .. 2016/05/23 862
559869 달걀 담아 내는 그릇을 뭐라고 6 하죠? 2016/05/23 1,664
559868 동향 1층 처음 살아보는데 에어컨 문제 5 ... 2016/05/23 1,123
559867 아이 양가부모 도움 안받고 키울 수 있나요? 30 how 2016/05/23 3,131
559866 아이가 명문고 명문대 다닌다고 하면 달리 보이나요? 28 유치하지만 2016/05/23 5,331
559865 냉면샀어요. 2 ... 2016/05/23 1,293
559864 면세점이랑 쇼핑몰이랑 금액 비슷하나요? 2 열매사랑 2016/05/23 769
559863 짜증나는 논쟁이 '가사노동' 1 ........ 2016/05/23 709
559862 최근에 야식먹어 찐 살을 뺐는데요 4 다이어트 2016/05/23 2,175
559861 디마프 예상 (맞을까요? 맞았으면 좋겠는데...) 12 혹시 맞을까.. 2016/05/23 4,655
559860 폐경증상? holly 2016/05/23 1,288
559859 수입 레이스접시 사려니, 종류가 많아요 로미 2016/05/23 657
559858 버리는음식 냉동하면.. 단점이 4 ㅇㅇ 2016/05/23 1,537
559857 지하철 탔는데 어린 여고생들에게 추파던지는 노인네 11 에휴시러 2016/05/23 3,294
559856 특성화고 전교 1등은 대학가기 쉽나요? 8 전략 2016/05/23 5,827
559855 장염이 하루만에 나을 수 있나요? 1 장염 2016/05/23 1,792
559854 겟살레 - 사회간접자본 빈곤은 호남차별에서 뺀다고? 1 실체 2016/05/23 465
559853 요리 용어 al dente , al dante ? 2 ........ 2016/05/23 660
559852 길냥이가 아파요 3 길냥이 2016/05/23 706
559851 영어 주소 어찌 읽는지 좀 부탁드립니다... 3 여기가 어디.. 2016/05/23 5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