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2018년부터 코딩교육? 진짜 웃기네요

사교육 조회수 : 20,222
작성일 : 2016-05-16 23:03:20
2018년부터 초등3학년??인가부터 코딩교육을 실시한답니다

그래서 현재 대치동서는 미리 유치원생들 사교육으로 코딩수업을
하고 있다는데 ㅠㅠ 진짜 웃기네요
뉴스에 나온건 대치동 극소수라 믿고 싶지만 미국 체험 수업 200백
영유에 코딩용 영어수업 추가 얼마라네요

전산과 나와 프로그래머로 일했던 저 이나라 교육과 사교육 진짜로 기막혀 헛웃음 납니다.
창의력과 논리력을 키우기 위해 코딩 교육을 한다는데요
초등 3학년 짜리들이 언어 하나 지정해 주면 그거 쉽게 코딩작업 한두번 해보는거 그런거 아닐까 싶은데 사교육시장에서는 벌써 어마무시한 교육 들어가는줄 알고 유치원생부터 시작해야 따라간다 어쩐다

교사지인에게 요즘 과고나 특목고에서는 코딩수업 이미 하고 있는데
수업을 제대로 진행해줄 사람이 없다 들었어요
맞는건지 모르겠는데 그런말 하더라구요
최소 고딩정도는 되야 이해하고 뭔가 결과물을 만들어 낼수 있는 작업이거들 지금도 이것저것 심지여 줄넘기 학원도 다니는 학생들이
있는 나라에서 초딩 코딩이 웬말 이랍니까
IP : 112.154.xxx.98
7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5.16 11:05 PM (121.108.xxx.27)

    누가 이런
    Dog발상을.........?!

  • 2.
    '16.5.16 11:05 PM (116.125.xxx.180)

    코딩이뭐죠?

  • 3. ..
    '16.5.16 11:09 PM (211.36.xxx.54)

    프로그래밍요

  • 4. 맞아요
    '16.5.16 11:13 PM (211.213.xxx.250)

    저도 아이 사교육 학원 가면서 이야기 들었슴다. 지금 유치원 아이들 저쪽은 그거 선행 하고있다라고, 미리 선행해놓고 다들 뭐야 할때 탑이 되겠다는 엄마들의 욕시

  • 5.
    '16.5.16 11:16 PM (61.80.xxx.236) - 삭제된댓글

    전산전공자인데 발상이. 참 어이없습니다.
    논리적인간 양상한다고 초등부터 대학까지 프로그래밍 정규과정 하는데 가르치는 사람없고..
    우리나라는 교육철학이 없어요.

  • 6. ...
    '16.5.16 11:16 PM (222.105.xxx.73)

    우리과는 특히 1년.2년 쉬면 따라가기 힘들죠.
    요즘 코딩은.. 우리가 배우던 코볼이나 씨..씨뿔뿔...유닉스 이런 언어가 아니에요.
    저도 코딩교육을 정규과정에 들여오는 것이 굳이 꼭 필요한가... 정부에서 관련기관 로비를 받았나 의심스럽긴하지만 프로그래밍을 아이들의 관점에서 바라보고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놀라운 코딩 도구들이 많이 있답니다.
    논리적 사고력을 기르고 창의성을 북돋우며 즐겁게 놀이처럼 얼마든지 다가갈수 있어요.
    시대가 바뀌었어요.
    그럼에도 저는 굳이 꼭 정규편성을 해야만했나 의문스럽긴하네요..

  • 7. 정말 병신짓도
    '16.5.16 11:16 PM (211.208.xxx.219) - 삭제된댓글

    어지간해야지 진짜.

    전문연 제도 폐지한다는 국빵부..방산비리 뭔 비리 조 단위로 해쳐먹으면서
    안 그래도 무너져가는 이공계 작살내면서
    코딩같은 소리하고 자빠졌네 으이구..

  • 8. 원글
    '16.5.16 11:18 PM (112.154.xxx.98)

    프로그램 언어로 프로그램 짜는걸 코딩작업한다고 합니다
    코딩작업만 하는건 단순 노가다라고 부르기도 해요

    대체 단순 코딩 초등생부터 배워 뭐하려고 정규시간에 넣는다는건지...

  • 9.
    '16.5.16 11:24 PM (61.73.xxx.151) - 삭제된댓글

    79년생인데 저도 초등학교 3학년 때 베이직 프로그램 배운 기억나요. 컴퓨터 학원들도 꽤 있었구요. 디스켓포멧하기 복사하기 이런거 배우고 ㅋㅋ. 이번 세대가 처음으로 배우는건 아니죠. 아직도 기억나는 프로그램 로직들~ 주로 변수선언라고 값 대입시켜서 덧셈 뺄셈하고 수열개념처럼 몇개 단위로 띄워서 별표 찍어서 피라미드 프린트하게 하고 그런거 뱅웠고. 음악만들기도 했지요~ 저도 그 경험덕에 전산쪽 분야 관심있게 공부하게 되었고 2001년 졸업했는데 인터넷 IT회사 붐이 일었던 시기 잘 만나서 정보통신분야에서 일했습니다. 제가 받은 교육이 웃기는 교육이었을까요? 아이들이 지금 받을 교육이 웃기게될 교육이었을까요? 그 교육의 과거 수혜자로써 다양한 교육과정이 추가되는거 좋다고 생각되네요. 아이의 특성과 취미를 고려하지 않고 획일화된다면 문제가 될뿐.....

  • 10.
    '16.5.16 11:25 PM (61.73.xxx.151)

    79년생인데 저도 초등학교 3학년 때 베이직 프로그램 배운 기억나요. 컴퓨터 학원들도 꽤 있었구요. 디스켓포멧하기 복사하기 이런거 배우고 ㅋㅋ. 이번 세대가 처음으로 배우는건 아니죠. 아직도 기억나는 프로그램 로직들~ 주로 변수선언라고 값 대입시켜서 덧셈 뺄셈하고 수열개념처럼 몇개 단위로 띄워서 별표 찍어서 피라미드 프린트하게 하고 그런거 배웠고. 음악만들기도 했지요~ 저도 그 경험덕에 전산쪽 분야 관심있게 공부하게 되었고 2001년 졸업했는데 인터넷 IT회사 붐이 일었던 시기 잘 만나서 정보통신분야에서 일했습니다. 제가 받은 교육이 웃기는 교육이었을까요? 아이들이 지금 받을 교육이 웃기게될 교육일까요? 전산 교육의 과거 수혜자로써 다양한 교육과정이 추가되는거 좋다고 생각되네요. 아이의 특성과 취미를 고려하지 않고 획일화된다면 문제가 될뿐.....

  • 11. ...
    '16.5.16 11:26 PM (222.105.xxx.73)

    그러니까 요즘 애들이 하는 코딩은 그런 노가다가 아니에요.
    옛날 생각으로 코딩에 접근하시면 안되요.우리가 쓰던 언어로 하는 코딩이 아니에요..
    어디가서 전산과 출신이라고 하시면서 이런 얘기하심 옛날사람~~소리들어요. ㅜㅜ

  • 12. 원글
    '16.5.16 11:28 PM (112.154.xxx.98)

    코딩을 놀이처럼요?
    뉴스보니 유치원 수업내용에 자바있더군요

    교육부에서는 놀이처럼 쉬운 툴이용 해서 프로그냄 만드는 수업 하겠다는 발상일수도 있겠으나
    벌써 보세요

    정규수업에 들어가고 전공자 아님 쉽게 접근하기 생소하니
    유치원생 코딩반이 생기고 있잖아요

    이런게 문제라는거죠

    사회나 과학처럼 책읽고 외우고 이해하는 과목이라기 보다
    기술적인 과목이거든요

    언어 조금 알아 코딩 할줄 안다고 간단한 프로그램 못만들어요
    설마 만들어도 진짜로 간단한거?
    그런데 벌써 사교육시장은 어마무시하게 앞서고 부추기고 있으니 문제인거죠

  • 13. dd
    '16.5.16 11:30 PM (118.220.xxx.196)

    위에 음님...
    정말 반갑네요.
    저, 시골 깡촌 국민학교에서 베이직 배웠어요.
    너무 재밌었죠.
    그래서, 저도 코딩 교육 긍정적으로 봅니다.

  • 14. 순서없는 교육
    '16.5.16 11:30 PM (74.101.xxx.62) - 삭제된댓글

    미국이나 한국이나 다...
    한숨 나오죠.

    그나저나 한국의 수학은 고등학교에 최소한 명제의 참과 거짓을 교과과정에서 가르치는데 미국에선 그거 안 가르친 상태에서 프로그래밍 시작할 정도로 기초를 등한시하죠.

    수학적, 논리학적인 기초도 다지지 않고 어린애들에게 프로그래밍 시키는건 문법 무시하고 외국어 가르치는 짓이죠. 처음엔 더 빠르게 배우는듯 해도 깊이가 없고 어느 수준 이상 발전이 없는 ...

  • 15.
    '16.5.16 11:31 PM (175.203.xxx.195)

    애들 필요이상의 교육으로 노가다 시키는 것도 모자라서 별걸 다 시키는군요. 노가다에 창의교육이 왠 말입니까? 노예만드는 교육이지..

  • 16. 외국 초등 애들 배우는건
    '16.5.16 11:32 PM (74.101.xxx.62)

    스크래치같은 게임으로 접근하는 코딩이예요.

    미국, 영국 시작하니
    한국도 따라 할줄 알긴 했어요.

  • 17.
    '16.5.16 11:33 PM (61.73.xxx.151)

    윗 댓글 단 사람인데요. 아직 커리큘럼이 나오진 않았겠지만 처음부터 요즘배운다는 자바나 닷넷 개념을 가르치지는 않겠지요. ㅎㅎ 님 근데 저 옛날 사람 맞네요 ㅋㅋ 어릴 때 엄마가 세운상가에서 사다준 컴퓨터가 애플2! 학교 가서 1학년 때 배운 언어는 포트란 ㅎㅎ 그리고 회사 가서 사용하던 IBM메인프레임 컴퓨터까지 따져보니... 참 제가 정보통신 시스템 발전의 산증인 같네요 ㅋㅋㅋ

  • 18. 에휴
    '16.5.16 11:36 PM (61.74.xxx.54)

    애들이 너무 불쌍해요

  • 19. ...
    '16.5.16 11:39 PM (222.105.xxx.73)

    네 스크래치 같은 프로그램이요.
    정말 노가다는 아니죠.
    근데 써보지도 않으시고 옛날것과 동일시하면 안되죠~~
    이런글 올리시면 모르는 분들은 그게 정말 노가다인줄... 창의교육하고 상관없는데 쓸데없는 짓하는 줄 안다는거에요.
    창의교육.논리교육 충분히 됩니다.
    코딩교육이 펌하받을 교육은 아니지만 정규교육과정에 꼭 올 필요는 없지않나 조심스럽게 생각해봐요. 그냥 제 생각은 그렇다는거에요.

  • 20. 바보들
    '16.5.16 11:39 PM (175.203.xxx.195)

    애들을 코딩 잘하는 노동자로 만들 것이 아니라 창의적인 발상으로 코딩 잘하는 외국의 노동자를 쓰는 오너로 만들 생각을 해야할텐데 말이죠.

  • 21. 원글녀
    '16.5.16 11:41 PM (112.154.xxx.98)

    62님 말씀 공감해요
    베이직언어로 저도 단순 프로그램 만들고 용돈기입장 같은거 만들고 그랬어요

    그런데 그건 정말 재미로 하고 싶은사람이 그냥 해도 된다고 보구요
    정규수업에 단순 코딩작업 수업을 넣는건 윗님 말처럼
    기본뼈대 싹 무시하고 사람눈 코입만 그려넣고 얼굴색, 옷색깔 찾기놀이 하는거랑 마찬가지라고 봅니다

    지금 한국의 교육을 보세요
    중딩만 되도 지필에 수행, 봉사,교내수상 실적등등에 선행학습으로 녹초가 되고 고딩되면 더해지고 있는데
    여기에 프로그래밍 정규수업화..그럼 이건 실기로 시험보고
    결과물 내야 점수 받을 과목 되겠네요

    그럼 또 대입시간 아끼느라 초등.아니 유치원때부터 코딩사교육

    특목고는 코딩수업을 실시하고 있는곳도 있다는데 맞는진 모르나 정규수업화 되면 특목고 진학위해 대학수업보다 더 어렵고 힘든 코딩 선행학습이 진행되겠구요
    이런게 문제란거죠

    컴퓨터학과나 학원들이 하향사업으로 가니 로비를 했나 싶은 생각이 들어요

  • 22. .....
    '16.5.16 11:44 PM (222.114.xxx.45)

    스크래치라는 프로그램으로 사교육 하는 곳도 생겼다던데 그보다 그래픽도 더 예쁘게 놀이처럼 할 수 있는 프로그램도 본 것 같아요. 프로그램 로직을 짜는 과정에서 논리와 인과관계를 배울 수 있어서 앞으로는 보편적으로 컴퓨터적? 사고를 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자 시작 된 것으로 알고 있었어요. 단순하게는 본인이 캐릭터 하나를 만들어 지정한 동작을 순서대로 수행하는 애니메이션으로 구현이 되기도 하고.. 복잡하게는 장애물이나 문제를 해결하는 형태로 시나리오를 짤 수도 있고 재미도 있고 문제해결 능력을 키울 수도 있어보이나... 뭔가 다음세대는 유비쿼터스니 컨버젼스니.. 지금까지 우리랑은 다른 프로세스로 사고해야하지 않을까 싶긴해요.
    그러나 이 나라에선 이런 걸 정규교육 과정에 포함시키기까지 미래 인재상과 교육지대계에 대한 고민이나 연구도 없이.. 하다못해 달랑 이 코딩교육이란 걸 하기 위해 무슨 계획이나 준비를 제대로 했을리 없고 하나마나 졸속으로 진행될 게 뻔하고 어느 놈 주머니나 채우겠지 싶으니 또 뻘짓이구나 하는거죠. 이걸 기존 교사한테 교육시켜서 가르치라 할까요? 아니면 노가다 코딩이나 하던 사람들한테 학교가서 가르치라 할까요? 정체불명의 강사 자격증을 만들건가요?

  • 23. 원글녀
    '16.5.16 11:54 PM (112.154.xxx.98)

    교사지인한테 들었는데 특목고에서도 강사가 없답니다
    특목고 정도 고딩생들에게는 좋은 교육이 될수도 있겠으나
    강사도 제대로 없는 상태에서 2018년 정규과정수업이라니 웃긴거죠

    기존 샘들에게 가르쳐서 수업을 한다는건 불가능 같구요
    최소한 몇년 강사나 커리큘럼 제댈ᆞㄷ 세우고 방과후 수업이나 특별수업으로 진행해보고 시행해도 늦지 않는데 그런거 지금까지 있었나요?
    2년안에 강사나 교사가 짜여지고 수업내용이 충실하걱 진행될것 같지 않아요

    그러니 학원으로 몰려 남들보다 먼저.
    부실한 학교수업으로 못 따라가는거 우리아이가 먼저 시작한다 어려운거 먼저한다 이런게 문제죠

    당연히 학원에서는 이런 학부모 심리 이용해서 값비싼 수업료로 진행할거구요

    학부모중에 국영수과사는 알수도 있으나 프로그램 아는 부모가 몇명이나 되겠어요

    학원상술에 넘어가기 딱 쉬운 과목이죠
    한국에서는요 교육부가 원하는 교육이나 외국에서 진행하고 있는 교육하고는 다른 교육으로 벌질우려가 있어요

  • 24. ㅇㅇ
    '16.5.17 12:04 AM (211.215.xxx.166)

    말로는 참좋지요.
    애가 중1때 자유학기제였는데 정말 이런 헛짓도 없어요.
    취지대로면 정말 좋겠으나 전문가도 없고 프로그램도 엉성하고 외부 수업나가서 사고나 치고
    그리고 중2되니 다시 원래대로 수업 시험입니다.
    지금도 학교에서 대충 가르치고 학원에서 배워오라고 대놓고 말하는데 코딩을 학교에서 제대로 가르칠까요?
    그냥 수업이나 충실히 가르치라고 했으면 좋겠습니다.(강남여서 그런가요? 학원이 옆에 지천으로 깔려있어서?)
    자유학기제 처럼 전문가도 없을거 뻔하고,
    체계적이기보다 주먹구구식일거고,
    애들에게 시험만 하나 더 느는걸겁니다.

  • 25.
    '16.5.17 12:09 AM (125.185.xxx.178) - 삭제된댓글

    이번정권에 체육정교사 모집한거하고 똑같네요.
    상담선생님.사서직은 11개월로 계약하고
    느닷없이 체육정교사를 대량 모집.
    각 커리큘럼마다 체육정교사가 있지요.
    웃기는건 과학.사회.실과같은 교과를 단기계약직으로 하는 학교도 있어요.
    누가 그럴듯하게 꾸미면 따지고 논의하고 생각한다는건 제쳐두고 만들기에 급급.

  • 26. 미틴
    '16.5.17 12:23 AM (116.126.xxx.175) - 삭제된댓글

    ㅅㄲ들, 지금의 살인적인 교과목으로도 모자라 더욱 더 애들의 목을 조여매려고...대체 이번엔 누구의 로비를 받아서 이딴 짓거리를 하겠다는 것인지.

  • 27. 대만아짐
    '16.5.17 12:24 AM (111.83.xxx.177)

    대만도 2018년부터 초등학교 대상으로 프로그램언어교육실시한대요. 문제는 교사가 양성이 안되어 있는 상태에서 고시를 먼저 해 버려서...여기도 난리입니다. 요즘 이동네 무슨 바람이 불었나...내일 시간내서 일본교과과정 좀 봐야겠어요. 어느 나라에서 뭐한다...그럼 현실은 고려도 안하고 모방에 모방...

  • 28. 대만아짐
    '16.5.17 12:27 AM (111.83.xxx.177)

    초등학교는17 시간.중학교가 30몇시간이었죠?

  • 29. ...
    '16.5.17 12:28 AM (211.214.xxx.111)

    저도 전산전공자인데요 초등에서 하는건 스크래치 같은거에요.. c나 비주얼베이직 자바 이런걸로 하는 노가다성 코딩은 아니에요 알고리즘을 익히기 위한거라고 봐야죠

  • 30. 원글녀
    '16.5.17 12:35 AM (112.154.xxx.98)

    211님 스크래치 같은걸 가르킨다 해도 정규과목
    중딩으로 넘어가서 점수화되면 달라지니 문제죠
    유치원생들도 벌써 남보다 더 먼저 훨씬 더 수준 높은 자바프르그램반 형성 되서 배우고 있다잖아요

    사교육시장에서는 말도 안되게 이런식으로 하고 있으니 문제인거구요
    꼭 정규교육으로 넣어서 배우게 할 필요가 있느냐 하는겁니다

  • 31. 필요한지 모르겠으나
    '16.5.17 12:46 AM (110.8.xxx.3)

    스크래치 같은건 초등때 반나절 배우고 게임 프로그램 하나 짜더라구요
    python 으로 좀더 발전된 프로그램 독학으로 배우구요
    그다지 어려워하지는 않던데요
    사교육이야 뭐... 학교 과학대회 대비반까지 학생 모일만 하면
    다 개설되지만 학교수업있다고 다 학원 다니지는
    않으니까요
    이런 컴 관련 수업은 성적이 그리 엄격하지 않아요
    해오라는 과제 해오면 거의 성적 잘 나오도록 하죠
    무료인강도 이미 많아서 조금 신경쓰면
    어설퍼도 애들이 자기 프로그램 하나씩 만들더라구요

  • 32. ㄴㅇ
    '16.5.17 12:49 AM (203.250.xxx.133)

    초중생들이 하는 코딩은 원글님이 생각하는 그런 코딩이 아니에요.
    마치 레고처럼 명령어를 조립연결해서 프로그래밍을 하고 결과를 확인할 수 있어요.
    제대로 명령어 조립을 수행하면 캐릭터가 주어진 과제를 맞게 수행하는데
    어긋나게 연결하면 캐릭터가 어긋난 명령을 수행하는 과정을 직접 보게 되요.
    이런 과정을 통해서 아이들은 알고리즘, 논리를 배우게 되는 거죠.
    그리고 스스로 지금까지 배워왔던 것들을 코대로 새로운 게임을 만들어 볼 수도 있구요.
    저도 초등 1학년인 제 아이에게 직접 가르쳐 봤는데 굉장히 재미있어했어요.
    스크래치란.
    http://www.devmentor.kr/scratch.html

  • 33. 뺑뺑이 시키지 마시고 집에서 준비
    '16.5.17 12:57 AM (74.101.xxx.62)

    한국만 초등학교 정규교육으로 코딩 비상걸린거 아니고, 영국은 시작했고 미국도 하는 학교들 좀 있어요.

    한국에서 사교육으로 프로그래밍 뺑뺑이 돌리시려고 하시는 분들...
    제가 저렴하게 집에서 준비시키는거 알려 드릴게요.

    우선 애들에게 체스나 장기를 가르치세요.
    체스와 장기가 프로그래밍 알고리듬과 아주 비슷합니다.
    내가 이 수를 놓으면 어떤 결과가 나올건가.
    상대방의 움직임은 이러이러 할거다. 라는 예측하는 과정이 바로 알고리듬이예요.

    그리고 애들 데리고 논리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게임을 많이 하세요. 보드게임 가지고 노는거 엄청 좋습니다.

    엠아이티의 스크래치게임도 좋지만 지루해 하는 애들 많거든요. 그럼 칸아카데미 프로그래밍 무료강습 시키세요

    중, 고등학생들은 명제, 집합, 순서도, 수열 부분 더 열심히 보세요.

  • 34. 스크래치 복불복
    '16.5.17 1:02 AM (74.101.xxx.62)

    전 2007년즈음 스크래치 보편화되기 전부터 애들 데리고 스크래치 했는데요.
    고난도 게임을 많이 한 애들에겐 좀 지루하단 느낌을 준다고 ... 그런 애들은 오히려 HTML 이 더 쉽고 재밌다고 하더만요.
    전 스크래치가 나쁘다 라고 하는게 아니고, 그게 잘 맞는 애들도 있지만 간혹 별로다 하고 흥미를 잃는 애들이 있으면 다른것들 던져주시라는 의미에서...

  • 35. 미국도 강사부족
    '16.5.17 1:06 AM (74.101.xxx.62)

    직장들도 컴퓨터 프로그래밍 인력 부족인데,
    학교까지 그 인력이 미치지 못해요.
    그래서 대기업에서 각 학교에 자기네 프로그래머를 빌려주고, 지원해주는 중이예요.

  • 36. ....
    '16.5.17 3:03 AM (39.117.xxx.135)

    발상은 나쁘지 않다고 봐요.
    전 전공자이고, 프로그래머지만요...

    문제는 우리나라는 뭐든 하면 본취지와는 동떨어지게...
    창의적 발상은 개나 줘버리고, 시험 문제 유형 파악 들어가고, 어떤 문제는 이런식으로 풀어야하고, 팁이니, 요령이니... 또 이런 것들 잘 가르쳐 주는 사람들은 떼돈벌고...

  • 37. STEM 이 대세
    '16.5.17 5:19 AM (50.155.xxx.6)

    미국에서 신랑도 저도 20년이상 엔지니어로 일하고 있습니다. 커리어 초기에는 기술력을 높이기 위해 이직도 많이 했고 다양한 경험을 쌓은 편이지요. 당연히 저희 애들에게도 코딩 교육을 시작했는데요, 8살까지는 그러나 별다른 교육을 안시켰어요. 타자랑 워드, 엑셀, 파워포인트만 시간날때마다 필요한 사항 위주로 알려줬어요. 애는 그냥 색깔 칠하는 재미로 따라했던 듯.

    8살 이후에는 본격적으로 프로그래밍 언어를 가르치는데 그것도 대부분은 아빠가 하고 애는 그냥 구경하고 for loop 써서 반응이 다르게 나오면 재미나게 관찰한 수준? 그런데 이해는 많이 한것 같아요.

    재미로 캠프 보냈더니 너무 좋다고 해서 등록은 시켰습니다. 1주일에 800불이 넘는데.. ㅠㅠ 그리고 말씀하신것처럼 hard coding 이 아니라 graphic tool을 이용해서 concept를 잡아주는데 불과하더라구요. 그래도 애가 game development 나 robotics 를 너무 좋아해서 시켜줍니다.

    STEM 은 이처럼 미국에서도 지금 광열풍 입니다. 전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산업이 변화되고 교육의 요구가 높아지니 한국도 경쟁력을 갖추려면 따라가는게 좋다고 생각해요.

    그러나 다른것과 마찬가지로 학원에만 의존하면 한계가 있을 것 같기도 하고, 그러나 제 입장에서는 정기적으로 보낼 학원이 있으면 좋을 것 같기도 하고 그러네요. 저희는 어차피 집에서 애랑 항상 같이 할거거든요. 이번 여름에는 포토샵이나 3d같은 재미난것도 소개해줄려구요. 학원이 수단이 되면 나쁘지 않을 것 같아요.

  • 38. 12 프로그래밍 게임들
    '16.5.17 5:45 AM (74.101.xxx.62)

    http://venturebeat.com/2014/06/03/12-games-that-teach-kids-to-code/

  • 39. 가벼운
    '16.5.17 6:26 AM (222.239.xxx.49)

    놀이식 스크레치 교육은 환영하지만
    교사가 없다는 말에도 찬성합니다.

  • 40. 가벼운
    '16.5.17 6:26 AM (222.239.xxx.49)

    비 전공 교사가 며칠 방학때 연수받고 교육할 거라는데 만원 겁니다.

  • 41. .....,
    '16.5.17 6:43 AM (125.177.xxx.179) - 삭제된댓글

    저는 컴맹이라 코딩이 정확하게 뭔지 잘 모르지만
    초딩 울 아들보니 초5때 스크레치는 책 보고 혼자 꼼지락 대면서 어찌어찌 해냈구요
    코딩도 코드아카데미였나?? 무슨 사이트 들어가서 보고 연구해서 지금은 곧잘 한다고 담임쌤이 말씀하셔서
    그게 쉬운건줄 알았어요 ^^;;;;
    그냥 게임하듯이 재밌게 하던데....
    정규과목으로 배우는건 더 어려운건가요??

  • 42. 코딩강사과정
    '16.5.17 7:10 AM (115.23.xxx.104)

    여성인력개발센터에서 많이 모집하더군요
    딱한군데만 전공자나 관련자 우대였고 나머지 과정은 컴퓨터 능력만 있는 경력단절 여성ㅇ면 지원가능했어요
    이것도 세금 낭비인게 직업상담사처럼 국비로 인력만 잔뜩 배출시키고 막상 제대로 하는 사람은 없을 것 같다에 500원 걸죠

  • 43. 아 놔 ... 코딩강사
    '16.5.17 7:23 AM (74.101.xxx.62)

    전공자도 10년 넘게 머리 썩힌 상태면 애들 가르치기 겁나는 과목이 컴퓨터 프로그래밍인데....

  • 44. ...
    '16.5.17 7:25 AM (211.200.xxx.147) - 삭제된댓글

    저도 전산 전공자이면서 애엄마입니다.
    현재 얘기되는 건 scratch같은 블록형 언어입니다. 그리고 1년에 17시간이면 한달에 1.5~2시간 수업이겠네요. 저는 애들이 scratch를 궁금해해서 집에서 애들과 좀 봤었는 데, scratch는 프로그래밍의 기본 개념만 들어있어요. 하지만 프로그래밍은 초5부터가 더 맞는 것같아요. 당장 반올림 개념도 초4 2학기 수학부터 나오쟎아요. 그리고 variable, list, broadcasting 같은 개념도 scratch에 있는 데 그런 개념이 초3이 제대로 이해하기엔 어려워요.
    어떻게 교과과정이 나올 지 모르지만 unplugged 활동이 잘 들어가 있으면 좋겠네요. 논리성을 익히고 계획을 세우고 그 다음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어야하니까요.
    현업에서도 무작정 코딩부터하는 사람들... 꽤 많습니다. 결과가 빨리 보인다고 잘 하는 걸로 생각하지만, 나중에 테스트하고 유지 보수하면 제대로 계획세워한 것보다 훨씬 더 비용을 잡아먹죠.
    저도 뉴스에서 프로그래밍 수업에 대한 기사를 읽고 찾아봤는 데, 대한 개인 평가는 어떻게 할 지 결정이 되지 않았다고 들었어요.

    오피스 프로그램이나 타자교실 프로그램 잘 쓰는 걸 컴도사인 것처럼 컴퓨터교실에서 포장되는 것을 보면 엉뚱한 데 돈쓴다는 생각이 드는 데, 제대로 되지 않은 강사가 프로그래밍을 가르치면 더 이상하게 되겠죠. 이상한 것에 초점맞추어 가르치는....

  • 45. ...
    '16.5.17 7:27 AM (211.200.xxx.147) - 삭제된댓글

    저도 전산 전공자이면서 애엄마입니다.
    현재 얘기되는 건 scratch같은 블록형 언어입니다. 그리고 1년에 17시간이면 한달에 1.5~2시간 수업이겠네요. 저는 애들이 scratch를 궁금해해서 집에서 애들과 좀 봤었는 데, scratch는 프로그래밍의 기본 개념만 들어있어요. 하지만 프로그래밍은 초5부터가 더 맞는 것같아요. 당장 반올림 개념도 초4 2학기 수학부터 나오쟎아요. 그리고 variable, list, broadcasting 같은 개념도 scratch에 있는 데 그런 개념이 초3이 제대로 이해하기엔 어려워요.
    어떻게 교과과정이 나올 지 모르지만 unplugged 활동이 잘 들어가 있으면 좋겠네요. 논리성을 익히고 계획을 세우고 그 다음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어야하니까요.
    현업에서도 무작정 코딩부터하는 사람들... 꽤 많습니다. 결과가 빨리 보인다고 잘 하는 걸로 생각하지만, 나중에 테스트하고 유지 보수하면 제대로 계획세워한 것보다 훨씬 더 비용을 잡아먹죠.
    저도 뉴스에서 프로그래밍 수업에 대한 기사를 읽고 찾아봤는 데, 프로그래밍 수업에 대한 개인 평가는 어떻게 할 지 결정이 되지 않았다고 들었어요.

    오피스 프로그램이나 타자교실 프로그램 잘 쓰는 걸 컴도사인 것처럼 컴퓨터교실에서 포장되는 것을 보면 엉뚱한 데 돈쓴다는 생각이 드는 데, 제대로 되지 않은 강사가 프로그래밍을 가르치면 더 이상하게 되겠죠. 이상한 것에 초점맞추어 가르치는.... 실제로 그런 예도 애 친구에게서 들은 적도 있고..

  • 46. 코딩
    '16.5.17 8:28 AM (223.33.xxx.190)

    저도 얼마전에 동네엄마가 강남에 유행이라고 코딩교육 알려주더라구요

  • 47. ^^
    '16.5.17 9:00 AM (175.197.xxx.65)

    코딩교육이 어떤 것인지 좀 알겠네요.

  • 48. 코딩
    '16.5.17 9:17 AM (218.152.xxx.137)

    절대평가로 진행되면 괜찮지 않을까 싶어요. 다만 강사가 없다는게 참 걱정되고 불안하네요.

  • 49. ...
    '16.5.17 10:21 AM (59.12.xxx.242)

    외국에서 애들 가르친다던데 우리도 하는군요.
    위 댓글들 읽어보니 머리 아파요 ㅠㅠ

  • 50. 에고
    '16.5.17 10:57 AM (66.249.xxx.218)

    우선 몇년 방과후학교로 선택적으로 듣고싶은 사람들 수업받고 그동안 강사양성하고 차츰 차츰 계획성있게 좀 하지...

  • 51. 원글
    '16.5.17 11:37 AM (112.154.xxx.98)

    취지나 교육적인 측면에서는 좋을수 있어요
    중등 자율학기제도 좋은제도이나 실상은 정말 처참하구요
    다양한 형태의 수시제도로 단지공부만 하는 학생이 아니고ㅈ봉사도 하고 동아리활동도 열심히 한 학생들이 공부 한가지만 한 학생보다 대학 잘가고 자신에게 맞는 분야공부한다라는겆
    이론은 너무 좋고 미국같은 나라도 대학에서 공부만 잘하는 학생 안뽑듯 우리도 이런방향으로 가는것이 앞으로 더 좋을수 있어요

    그런데 우리나라는 교육에 있어서. 아니 대학간판이란게 어떤의미로 다가오는지를 고려안한다는거죠

    평생 한사람의 인생을 좌지우지하는 간판이기 때문에 점수화로 매겨지는것에는 너도나도 목숨걸며 하고 있는 학삭ㅇ들에게 지금도 과도한 선행이나 수시,비교과 챙기기도 버거운 학생들에게 왜 준비도 안된 코딩수업을 외국에서 도입하고 있다고 시행하려드냐 이거죠

    초등은 몰라도 중고딩생들 수시비중 늘면서 내신,비교과등으로 얼마나 몰아붙이는줄 아세요
    중딩들 수시부중 늘면서 특목고 가기위해 수행,지필,봉사,교내수상,스펙 챙기기 엄청납니다

    자사고는 예체능까지 중1부터 올a등급 요구하는곳이 점점 늘고 있구요

    선행때문에 학원수업 밤늦게 다니고들 있는데 예체능까지 완벽해야되고 주말엔 봉사점수 채우러 가야되고..

    선진국에서 시행한다는 이유로 사전준비나 강사체계도 안잡혔는데 2년뒤부터 정규과목화 한다는 발상자체가 너무 하다는거죠

    프로그램이 쉽고 재미있고가 문제가 아니라요
    지금 정규과목으로도 충분히 아이들 지키지고 힘듭니다
    차라리 현제도를 개선해서 대학문턱을 낮추고 졸업 전공과목을 심도있게 배우도록 바꾸던지 대입제도를 불평등하지 않게 고쳐 나가던지 사교육중심의 이런 지긋지긋한 교육체계 개선이 먼저라는거죠

    우리나라는 초중고를 변화시킬게 아니고 대학을 바꿔야 됩니다

    서열없이 입학은 누구에게나 허가
    단 전공과목 학점 논문은 철저하고 독하게 공부해서 졸업은 진짜 공부한 사람 위주로

    초등생들 코딩 배울때가 아니구요
    그맘때는 운동장에서 뛰어놀수 있는 교육으로 좀 가자구요
    논리.창의력이요? 코딩배워서 그게 얼마나 늘것 같은데요?

    주당 몇시간 쉬운 코딩 배우면 그런 교육이 이뤄질거란것도 웃긴거죠

    다양한 체험, 놀기,독서,
    시험은 만점을 위해서가 아니고 알고 있는 지식 평균 합격선이면 통과
    통과된 학생은 더이상 만점을 위해 그공부는 더 높은 학년
    자신이 좋아해서 선택한 전공에서 받으면 되는 교육
    꿈일까요?

    우리나라는 만점 받으면 다음에 만점 받기 위학 반복
    만점 못받으면 만점 받기 위해 또 반복

    이런게 창의력을 죽이고 아이들의 뇌구조를 망치는 교육 이란 생각입니다

  • 52. 참나
    '16.5.17 12:02 PM (211.36.xxx.34) - 삭제된댓글

    모든인간이 논리적일 필요가 있을까요?
    창의적 인간도 있어야하고
    예술적 인간도 있어야 하고.

  • 53. ...
    '16.5.17 12:42 PM (223.62.xxx.7) - 삭제된댓글

    대학입시에 프로그래밍 교육이 반영되진 않을 것같아요. 저는 scratch를 애들과 보면서 그냥 미술 크레파스같은 걸로 이해하기를 바랬어요. 컴퓨터가 그냥 내 생각을 표현하는 수단으로만... scratch에 정말 별 기능 아닌 데 재밌는 스토리를 만들더군요.
    원글님 말씀은 잘 압니다. 저도 체육시간이 더 늘어나고, 학교가 체육시간이 더 늘어났으면 합니다. 제가 개발자 생활을 하면서 봤던 좋은 개발자들은 코딩을 멋지게 하는 사람이 아니라 자신만의 번뜩이는 아이디어가 있는 사람이었어요.
    그런데, 학교 교과과정에 이미 컴퓨터 수업이 있는 데 제대로 안 되고 있어요. 그리고 컴퓨터 교실들은 ppt, hwp 문서작성, 타자 속도 이런 것이 컴퓨터활용에 가장 중요하다고 가르칩니다. 제 전공을 아는 애 친구 엄마는 정보 올림피아드준비에 대해서도 저에게 얘기해주는 데, 그 준비하는 얘기듣고 참 주먹구구라는 생각도 들더군요.

    프로그래밍 교육을 한다는 것보다는, 누가 어떻게 가르치느냐가 더 문제가 클 것같네요. 프로그래밍 교육이라고 코딩만을 가르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해요. 코딩은 그 일부분이지요. 내가 뭘 표현하고 싶은 지가 없다면 프로그래밍은 할 필요가 없고, 어떻게 표현해야 더 잘할 수 있을까 생각하지 않는 코딩은 필요없다고 생각해요.

  • 54. ..
    '16.5.17 3:20 PM (210.218.xxx.41) - 삭제된댓글

    컴교과 나온 사람으로써 댓글을 안달수가 없군요 ;;
    그렇게 컴교과 양산하더니 결국 임고볼때되니 교육과정 바뀌어서 티오 "0"였던 과목
    써글.. 정말 욕나오네요.. ㅡㅡ;;
    전산과 과탑들 교직이수 어렵게해서 교사자격증 땄는데 그것도 못써먹고
    결국은 기간제하다가 다 떨어져 나갔지요.. 다른 전공으로 먹고살면서요
    결국 아무리 공부 잘해도.. 교육현장에 있는친구들은 극소수에요

    다들 컴교 전공한거 후회했고..
    저도 다른 전공으로 먹고살고있네요

    그때도 교육과정 바꾸어버린 누군가가 야속했고
    지금도 이지랄을 하게하는 현장이 아쉽습니다..

    그때당시 대의는 초중고 엑셀 한글 배우는게 컴퓨터수업이다
    이것은 방과후 수업으로 대체할거다 그랬었네요..............................;;

  • 55.
    '16.5.17 3:22 PM (117.111.xxx.152)

    컴교과 나온 사람으로써 댓글을 안달수가 없군요 ;;
    그렇게 컴교과 양산하더니 결국 임고볼때되니 교육과정 바뀌어서 티오 "0"였던 과목
    써글.. 정말 욕나오네요.. ㅡㅡ;;
    전산과 과탑들 교직이수 어렵게해서 교사자격증 땄는데 그것도 못써먹고
    결국은 기간제하다가 다 떨어져 나갔지요.. 다른 전공으로 먹고살면서요
    결국 아무리 공부 잘해도.. 교육현장에 있는친구들은 극소수에요

    다들 컴교 전공한거 후회했고..
    저도 다른 전공으로 먹고살고있네요

    그때도 교육과정 바꾸어버린 누군가가 야속했고
    지금도 이지랄을 하게하는 현장이 아쉽습니다..

    그때당시 대의는 초중고 엑셀 한글 배우는게 컴퓨터수업이다
    이것은 방과후 수업으로 대체할거다 그랬었네요..............................;;

  • 56. dk
    '16.5.17 3:42 PM (122.153.xxx.66)

    그 당시 컴전공 임고생들 티오 0만들어 죽 쒀서 개주게 만들어 놓고
    이제와서는 학생들 게임중독이니 뭐니 하면서 다시 컴교과 임용시험 뽑잖아요..
    장난하는것도 아니고 진짜 욕나와요..

    이번 발상도 영어전문회화강사처럼. 없는 인력 쥐어짜서 뽑아놓고 몇년후에 버릴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 57. fff
    '16.5.17 3:46 PM (14.35.xxx.162)

    이제까지 우리나라 교육이 창의력이라곤 눈씻고 찾아볼수 없었고 그래서 큰 인물이 안나오는거죠... 대입에 반영한다고 하긴 하던데.,...

    혼란스러운건 맞는데 방향은 맞다고 봅니다..

    언제까지 영어단어 외워서, 수학 빡세게 풀려서 대학 갈건가요?

    그런게 미래산업에 뭔 도움이 된다고...ㅠㅠㅠ

  • 58. ㅇㅇ
    '16.5.17 3:49 PM (125.191.xxx.99)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놔 유치원 프로그램중에 자바스크립트가 있다고요 아이고 미쳐

  • 59. 저는
    '16.5.17 3:56 PM (158.69.xxx.171)

    취지는 좋다고 생각해요.
    하지만 우리나라는 뭐든 무슨과목이든 추가하면
    그걸 사교육하고 선행한다고 돈을 팡팡쓰고
    애들 잡으니까 문제죠.
    그게 과연 학습인지가 의문이예요.

  • 60. 기사하나
    '16.5.17 3:59 PM (211.243.xxx.128)

    http://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4050510&memberNo=1736916...
    코딩이 일자리를 보장하지 않는다라는 기사네요

  • 61.
    '16.5.17 4:11 PM (222.107.xxx.182)

    사교육 시장이나 거기에 혹 하는 엄마들이 잘못이지
    코딩 교육 자체는 좋은 시각이라고 봐요
    다만 제발 시험 과목에는 넣지 말아야겠죠

  • 62. ...
    '16.5.17 4:48 PM (118.33.xxx.49)

    방향은 모르겠지만, 특정 언어에 의존하는 교육이 아니라 알고리즘이나 절차에 대한 감을 익히는 교육이라면 나쁠 건 없다고 봅니다. 물론 교육현장에서 그런 고차원적인 교육을 잘 해낼 만한 교사는 거의 없을 거라고 봐요.

  • 63. 애들의 코딩 교육
    '16.5.17 4:57 PM (108.62.xxx.187)

    https://scratch.mit.edu/

    이 주소 가 보세요.
    애들이 하는 코딩 놀이입니다

  • 64. 앞으론
    '16.5.17 5:27 PM (183.100.xxx.240) - 삭제된댓글

    필요한 교육인데요.
    가르칠 사람이 없고 한건 논외로 뷱유럽에선
    초등때부터 가르친지 좀 됬고
    나이가 들었어도 배우고싶은데요.
    시대가 변하면 필요한 교육도 달리지는데
    부작용만 보고 안된다고 하는건
    조선말 쇄국정책과 뭐가 다른지.

  • 65. 앞으론
    '16.5.17 5:28 PM (183.100.xxx.240)

    필요한 교육인데요.
    가르칠 사람이 없고 한건 논외로 북유럽에선
    초등때부터 가르친다고 들어서
    저도 나이가 들었어도 배우고싶은데요.
    시대가 변하면 필요한 교육도 달리지는데
    부작용만 보고 안된다고 하는건
    조선말 쇄국정책과 뭐가 다른지.

  • 66. zzzzzz
    '16.5.17 6:15 PM (211.214.xxx.193)

    아 난 코딩교육이라고 해서 설마 설마, 내가 아는 그 코딩이 맞나? 했는데 진짜였엌ㅋㅋㅋ미친 ㅋㅋㅋㅋㅋ

  • 67. 코딩
    '16.5.17 6:29 PM (175.223.xxx.72)

    코딩이 목적이 아닌 창의적인 발상을 코딩으로 구체적으로 실현하는 과정을 목적으로하는 코딩 교육을 시켜야한다고 생각하네요. 코딩 잘해봤자 창의적인 발상이 안되면 조영남 조수꼴 됩니다.

  • 68. 원글
    '16.5.17 6:37 PM (112.154.xxx.98)

    중고딩 공부만 하지말고 봉사하고 동아리 활동 하는거 참좋습니다
    자율학기제로 직업체험 진로적성 찾아보는거 정말 좋습니다
    그러나 현장에서는 얼마나 다른방햐므로 가고 있 습니까?
    코딩교육도 취지는 좋을수 있고 교육적 효과도 좋을수 있어요

    그러나 아직 너무 성급하고 제대로 가르칠 강사조차 확보하지 못했다는게 문제죠

    정규과목이면 점수화 되구요
    학교에서 얼마나 제대로 가르칠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조선말 쇄국정책이 아니구요
    현 교육과정에서 이뤄지는 과목이나 학교에서 제대로 가르치면 좋겠습니다

    선진국에서 시행되는 좋다는 교육 우리도 받아들이고 제대로 이뤄지면 좋겠으나 너무 조급하걱 계획없이 받아들이니 문제죠
    그피해는 고스란히 마루타처럼 아이들이구요

  • 69. 불쌍함
    '16.5.17 6:39 PM (180.229.xxx.215)

    참 나-
    아파트 빌딩숲의 나라 한국에선
    앞으론 더더욱 야외에서, 자연과 더불어 노는 일이 더 줄어 들겠네요.
    콘크리트 상자 안에서 기계와 놀리면서 재미있어하라고....
    불쌍한 아가들..ㅉㅉ
    그냥 가상의 틀 속에서 에니메이션 케릭터들과 놀면서
    재밌지?! 재밌지?!하는 어른들..ㅜㅜ
    맘 같애선 아이들을 아마존의 정글 숲으로 이민보내고프고만..

  • 70.
    '16.5.17 6:42 PM (182.222.xxx.79)

    저희애 열살인데 코딩 하고 있어요.
    가르치려고 한게 아니라,
    배우는 거에 필수적으로 그게 들어가서
    하게 된건데,
    재밌다고 그러네요.
    학교에서 그걸 실행할 준비가 안되었다고 보는데
    준비만탄탄하고 학교에서 가르치는거로 끝난다면
    괜찮을거 같아요

  • 71. ...
    '16.5.17 7:01 PM (223.62.xxx.232)

    찬성하는건 아니지만... 저희 애들 학교에서는 몇년전부터 방과후 수업으로 있었어요.
    둘째가 좋아하고 컴퓨터 관련 습득이 빨라 큰 애 안 시킨게 후회되요.

  • 72. ㅎㅎ 재미있네요.
    '16.5.17 8:38 PM (211.36.xxx.45)

    전 인터스텔라 인가? 맞나요 영화제목이 생각이 안나요.
    지구가 먼지바람으로 다 뒤덮히고..
    결국 살아남는건 농업이죠.
    정부가 농업을 장려하고 나서죠..

    드론은 버려지고 과학은 천시받죠..
    아니 기술이 천시받는다고 해야 하나요.

    결국 지구를 구하는건 과학자였죠..
    그런데. 인류를 구 할 수 있는 과학자가
    스크래치 로 코딩 초등부터 배우면 탄생할까요?

    뜬듬없는 이야기지만 ^^
    전 아이들한테 간단한 텃밭 농사 가르칠랍니다
    유치원 초증 저학년인데..
    미래를 알 수 없죠.
    님들은 애 방구석에 쳐박아 놓고 코딩시키세요.
    전 먹고 살고 생존하고 살아남는 법을 먼저 가르칠랍니다.
    물론 시간이 남으면 코딩 배워서 나쁠일 없죠.
    그런데 유치원 초등 부터 한다고요???

    개발자들이 모여서 컴퓨터와 프로그램을 점점 더 쉽게
    하루하루 멀다하고 만들어 내놓고 있습니다.

    알고리즘 원리? 그런거 위주로 알면 좋죠.
    그런데 그거 전공할 사람 아니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누군가가 편하게 만들어 놓은 툴들을
    쓰면서 앞으로는 누구나 손쉽게
    지금은 전문가가 할 수 있는 컴퓨터 능력을
    손쉽게 사용하는 날이 올꺼에요.
    코딩도 잘 모르지만.
    컴 언어 이딴거 몰라도
    그냥 말로 치면 짜잔 하고 컴퓨터가 프로그램 하나 뚝딱 만들어주는 날이 오겠지요
    알파고가 이세돌하고 바둑까지 두는 시대에
    초등부터 코딩교육이 왠말입니까.
    유치원부터요???
    인공지능이 지금의 개발자들이 하는일들을 대신 해 줄거고.
    아이들의 미래에는 자판이나 이런것도 없어질지도 모르는 시대에 타자 워드 배우면서 방에 쳐박혀서 뭣들 하는짓인지.
    미래에 사라지고 소중하게 간직하게 될 자연을 기억하고
    그 생명의 힘을 간직할 수 있도록
    저는 밖에서 애들 굴릴렵니다.
    환경 오염되서 대부분의 식물과 곤충 동물들이 사라지고
    인간도 죄다 로봇처럼 되버려서
    텃밭하나 못해먹고 텃밭하나 가꾸려면 엄청난 컴퓨터 ㅛㅣ스템과 인공지능을 소유하지 못하면 할 수 없는 시댁오면 우리 아이들은 스스로 농사지어 자급자족 하며 살 수 있을지 어찌 아나요 ㅋ 이상 괘변이였습니다.

  • 73. ...
    '16.5.17 9:22 PM (112.169.xxx.133)

    이게 딱 옛날에 학교에 컴퓨터실 만들고 관련 교육 시작할 때 당시 사람들 반응이예요.
    컴퓨터를 가르치다니 헛돈쓴다고 난리들도 아니었죠.

    시대의 변화를 인지하려는 노력이라도 좀 합시다.

  • 74. ...
    '16.5.17 9:24 PM (39.115.xxx.219)

    학교현장에 있는데 이게 어떤식으로 학교현장으로 들어올지 상당히 흥미롭네요...

  • 75. 코딩교육이
    '16.5.17 9:35 PM (58.143.xxx.114)

    거창한것은 아녜요. 저는 전산과 졸업후 15년간 대기업 근무 후 머 잼나고 나중에 봉사할 것 없나 찾다가 스크래치와 엔트리 교육좀 받아본 사람인데요. 너무 걱정하실 필요는 없을 것 같아요. 기술, 가정 정도되는 교과가 시대의 흐름에 따라 소프트웨어 정도로 한학기 정도 된다고 보시면 될 듯 하구요. 미국 제 친구 6학년인가 7학년에 "테크놀로지" 시간에 한학기 배운다고도 해요. scratch와 python 정도. 애들이 컴퓨터에게 일을 시키려면 명령을 어떻게 주어야 하는지 기본 알고리즘 원리를 레고 블럭처럼 생긴 코드블록 " 위로 움직이기", "아래로 움직이기" "무한반복하기" "10번 반복하기" 이런 블록을 갖다 놓고 애들이 컴퓨터에 명령을 주는 식으로 배워요. 주1회 17,18 번 정도 한학기 해주면 꽤 근사한 오락 정도 나오고 아이들이 너무 좋아해요. 일단 스크래치나 엔트리 프로그래밍 도구가 VIsual Basic 첨 봤을 때 처럼 아주 훌륭해요. https://studio.code.org/s/starwarsblocks/stage/1/puzzle/1 요런 느낌의 명령 레고블록예요.(동영상 닫고 보세요) 엄마들이 요란만 떨지 않는다면 내가 프로그래밍을 즐기고 잘할 수 있는 지 맛보기 알아보기 정도로 일주일에 한시간 한학기, 일년 정도 배우면 어차피 컴퓨터 시대를 살아가는 아이들에게 피가되고 살이 될 듯 하다는 견해입니다.

  • 76. fffff
    '16.5.17 10:22 PM (110.8.xxx.206)

    82너무 좋아요..
    다양한 의견들 많이 배웠어요..
    전 아직 뭐가뭔지 모르겠지만 도움되는 얘기들이에요...댓글주신분들 감사합니다.

  • 77. ㅇㅇㅇ
    '16.5.17 10:58 PM (180.230.xxx.54) - 삭제된댓글

    저도 공대 전산과 나와서 코딩 좀 했는데요.
    내가 아는 그 교육방식과 꼬맹이들 가르치는 방식이 달라요

  • 78. 우와
    '16.10.11 5:20 PM (182.225.xxx.22)

    이런글도 있었군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61069 오프숄더 실제로 많이 입나요? 9 오오오 2016/05/26 3,020
561068 가스건조기 있잖아요 9 살까요 말까.. 2016/05/26 2,061
561067 고등학교 해주세요 2016/05/26 954
561066 초등학생 썬크림 뭐 발라주시나요? ㅜㅜ 9 ... 2016/05/26 3,213
561065 서울에서 부산까지 혼자 운전해서 가보신 분 19 ... 2016/05/26 7,733
561064 거실창에 커튼이나 블라인드 등 2 ... 2016/05/26 1,291
561063 떡집에서 가루내온 찹쌀 가루 뭐할까요? 10 에구 2016/05/26 1,720
561062 이사왔는데 바닥을 닦아도 닦아도 너무 드러워요 13 ㅇㅇ 2016/05/26 4,323
561061 제주 - 7월중순에 '성산일출봉'이 필수 코스일까요? 5 여행 2016/05/26 1,173
561060 4인 가족생활비 어떤가요? 6 4인 가족 2016/05/26 2,915
561059 서준이 나무냄새 맡는 부분이요 14 .. 2016/05/26 6,610
561058 강아지 여아 중성화수술 시켜주는게 좋은거죠?? 6 .. 2016/05/26 1,706
561057 대선 예상 글 - 반기문 36%, 문재인 40%, 안철수 24%.. 6 반기문 2016/05/26 1,681
561056 고양이 집사로 적응하기 너무 힘들어요 21 씨즘 2016/05/26 3,918
561055 반친구에게 개무시 당하는 우리딸 어쩜 좋을까요?? 1 여고생 2016/05/26 1,529
561054 언니들 혹시 나물반찬 잘하는 곳 있을까여??(고구마줄기 먹고싶네.. 3 미리 2016/05/26 1,087
561053 세무사 조정료는 뭔가요? 10 ㅅㅅ 2016/05/26 6,763
561052 모녀갈등으로 힘들어 하시는 분들 1 mbc다큐스.. 2016/05/26 1,430
561051 오겡끼데스까의 대답은? 5 궁금 2016/05/26 5,907
561050 인상이 좋고 만만해보이면 함부로 대하나봐요, 9 딸기체리망고.. 2016/05/26 4,559
561049 하정우는 무용수를 했어도 8 ㅇㅇ 2016/05/26 3,512
561048 쪼리고민---------? 3 원글이 2016/05/26 765
561047 그린피스, 원안위 건물 앞에서 추가 원전 건설 반대 퍼포먼스 2 후쿠시마의 .. 2016/05/26 433
561046 다이어트 식단 넘 많이 먹는건가요? 13 s22 2016/05/26 2,832
561045 눈썹 하나가 눈을 찌르는데.. 4 ㅣㅣ 2016/05/26 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