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초등학교 갓 입학했는데... 침대 매트리스 어떤게 좋을까요?

궁금쓰 조회수 : 1,149
작성일 : 2016-05-11 16:18:04

서랍형 침대를 샀어요.

거기에 포켓형라텍스 매트리스.......침대가 너무 높아서

초1짜리는 뛰어 올라가야 해요.(그래도 애는 좋다고 난리네요. 바꾸지 말아달라고)

 

매장에서 봤을때랑 매트 물건이 다르다 보니 높이가 어느 정도인지 감이 안왔어요.

일단 너무 높고, 매트가가 좀 단단하다고 해야하나?

푹신 푹신 하지 않아요. 딱딱한건 아니지만요.

 

성장기 아이한테 탄탄한 침대가 좋을지

푹신푹신한 침대가 좋을지.

라텍스가 좋을지 스프링 매트가 좋을지

아이들한텐 어떤게 좋은지 모르겠어요.

 

라텍스 매트리스 10cm나 15cm로 하는게 나을까요?

아님, 지금산 평범한 매트리스를 그냥 쓰는게 나을까요?

 

글고 라텍스 매트리스랑 일반 매트리스 중 어떤게 더 비싼가요?

 

답변 주시는 분들 미리 복 받으세요~~~~.

어제 퇴근후 받았는데 서랍형이라 프레임도 높은데

매트 마저 높으니 안정감이 없어 보여 심란하네요...........

 

 

IP : 152.99.xxx.239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아이 금방 커요.
    '16.5.11 4:21 PM (210.97.xxx.32) - 삭제된댓글

    우리애는 방 독립할때 낮은 서랍형 침대에 7센티였나 라텍스 썼는데 조금 더 큰 이번에 기숙사 가는 바람에 기숙사형 매트리스로도 라텍스 7센티 해줬어요.

    기숙사 안가게 되면 겹쳐서 15센티 넘으니 더 좋다 싶고요.

    저는 신혼때부터 라텍스를 써서 라텍스가 좋긴 한데 사람마다 다르니깐요.
    아이랑 같이 둘러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아요.

  • 2. 아이 금방 커요.
    '16.5.11 4:22 PM (210.97.xxx.32)

    우리애는 방 독립할때 낮은 서랍형 침대에 7센티였나 라텍스 썼는데 조금 더 큰 이번에 기숙사 가는 바람에 기숙사형 매트리스로도 라텍스 7센티 해줬어요.

    기숙사 안가게 되면 겹쳐서 15센티 넘으니 더 좋다 싶고요.

    저는 신혼때부터 라텍스를 써서 라텍스가 좋긴 한데 사람마다 다르니깐요.
    아이랑 같이 둘러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아요.

    이미 구입한 매트리스가 있는 거죠? 일단 써보고 장 단점을 파악한 뒤에 나중에 바꿔도 될 것 같은데요.
    아이가 무척 좋아하면서 바꾸지 말아달라면서요.

  • 3. 원글
    '16.5.11 4:45 PM (39.7.xxx.162)

    아이는 없던 침대 생기니 그냥 좋아서 그러는거 같구요.
    어제 매트가 와서 바꾸려면 바로 해야해서요.
    서랍이 엄청 크고 높아서. 매트가 보통 매트? 25센치 정도니까 너무 위험 하고 붕떠보여요.

  • 4. ..
    '16.5.11 4:48 PM (121.141.xxx.230)

    저희애도 서랍형이라 8센치 라텍스 깔아줬어요~~ 일반 매트리스하니 넘 높고 불안정해보이더라구요 애는 괜찮다는데 전 맘에 안들더라구요~~매트리스 환불하고 라텍스 토퍼ㅈ같은거 깔았어요

  • 5. ㅇㅇ
    '16.5.11 5:57 PM (58.231.xxx.36)

    에이스 80 만원짜리 매트깔아줬는데 그것도 그냥저냥 쓸만하긴한데
    엄마아빠자는 시몬스에 누워보고는 더 잘잠온다고 (지들표현)
    좋아해요
    중학교가면 시몬스 조금 부드러운거로 바꿔주까 싶은데
    거기말고도 돈달라고 입벌리고있는것들이 쭈욱 줄서서...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90241 발이 아파서 잠이 안오네요ㅠㅠ 2 2016/08/28 1,499
590240 자궁경부암 백신 ‘서바릭스’ 9월부터 미국 철수… 우리나라에는 .. 5 청풍명월 2016/08/28 5,553
590239 와우 ! 비와요 2 비님 2016/08/28 1,431
590238 애견인이었는데 엄마가 알러지가 있어서.. 고양이는요? 4 애견 2016/08/28 1,039
590237 원래 시모와 아들사이는 싫은 소리 절대 안하나요? 12 시집와서 2016/08/28 4,286
590236 동경의 대상은 사랑받기 어렵나요? 2 ㅇㅇ 2016/08/28 1,415
590235 오래된 냉장고.. 교체 or 세컨 (김치)냉장고 구매?? 7 2016/08/28 1,608
590234 노인분들을 무시한다는 말이 이해가 안되는 분들 계세요? 4 ..... 2016/08/28 1,338
590233 뒷목이 뻣뻣하고 아픈데 어딜 가야 하나요? 4 ........ 2016/08/28 2,548
590232 쓱 쳐다보는 시모 8 ... 2016/08/28 4,098
590231 사주 토정비결은 번화가에서 보면 잘 안맞겠죠? 2 .... 2016/08/28 1,420
590230 요즘 해먹을 맛있는 요리 머있을까요 3 fr 2016/08/28 1,591
590229 벌초가 뭐라고 아침8시부터 가야한다네요 20 ㅇㅇ 2016/08/28 5,045
590228 어제오늘 아이 코피가 자주 나네요. 3 ... 2016/08/28 711
590227 일잔 하고 잘까요? 닭발에다가 6 잠 안오는 .. 2016/08/28 1,007
590226 김치에서 이물질이 나올 경우 김치 2016/08/28 569
590225 갤럭시 탭 S2 샀는데 광고배너땜에 아메리카노 2016/08/28 401
590224 요거 연음으로 발음 어떻게 하나요? 4 ud 2016/08/28 902
590223 총장도 이대생들한테 못 당하는듯 16 2016/08/28 4,277
590222 36살 초등교사 스트레스로 사망. 41 hh 2016/08/28 25,337
590221 손금, 사주 어디까지 믿어야 될까요? 5 ... 2016/08/28 2,747
590220 사람은 끊임없이 운동하고 가꿔야하는 것 같아요 6 ... 2016/08/28 4,327
590219 초등교사ㅡ벤츠e클래스 17 띠로리 2016/08/28 8,764
590218 황당빵당한 어처구니없는 일 6 .... 2016/08/28 2,421
590217 상가 소음 때문에 미치겠어요.. 3 . . . .. 2016/08/28 1,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