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경기도 안산에 러시아 고려인이 3만명이나 거주하는 마을이 있네요!

카이레스키 조회수 : 4,423
작성일 : 2016-05-09 23:41:53

우연히 찾아보다가 안산에 고려인 마을이 있는 것을 오늘 알게 되었습니다. 

경기도 안산에 공식적으로만 약 30,000여명 의 고려인분들이 있습니다. 
이들은 대부분이 일제때 항일운동을 하거나 핍박을 피하여 러시아로 이주한 분들과 그 후손들입니다. 
이후 소련의 스탈린은 50여일간의 열차이동으로 한민족을 불모의 땅으로 이루어진 시베리아 동토에 버려지게 만듭니다. 
이 과정에서 어린이와 노인등.. 수많은 사람들이 죽습니다. 

그 추운 동토의 땅에서도 살아남아 러시아 국가훈장을 받은 우리동포인 고려인이 소련전체의 훈장 수여자중에서 70%나 되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정부는 다문화란 이름하에 고려인을 외면하고 있습니다. 
다문화가 결혼이주자에게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서, 지원체계가 이주여성들만을 대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독일만 하더라도 같은 민족이면 지원을 아끼지 않습니다. 


MBC 창사특집 카레이스키 150년 만의 귀향 1부 출발! 유라시아 15,000km

1부 https://www.youtube.com/watch?v=uNBWNjL55wA <<--- 동영상도 보시구요.  // 차승원-나레이션

 2부 https://www.youtube.com/watch?v=oyVJJYushwQ

3부 https://www.youtube.com/watch?v=TpccRwz-S7U

동영상에는 시베리아 얼음속에서 핀 고려인의, 우리민족의 끈질긴 생명력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당시 일본인과 같다하여 동토의 땅으로 이주시켰다는 설도 있고,
우리 민족이 연해주에서 자치구를 만들려고해서 쫓아 냈다는 설도 있습니다. 



아래출처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jin6737&logNo=130188878488 <--중요!!

강의를 들으며 가장 큰 문제라고 느꼈던 것은 우리나라의 고려인 비자 발급 시스템이었다.

고려인에게 발급되는 비자는 두 종류가 있다.

하나는 3년에서 최대 4년 8개월가량 체류가 가능하며 일을 할 수 있는 비자가 있고, 다른 하나는 일명 '동포비자'인 F2 비자인데 이 비자는 1년마다 연장하며 체류가 가능하지만 일을 하면 불법이다.

앞의 비자는 일은 할 수 있지만 최대 체류 기간이 5년도 되지 않아서 그저 노동자로서 양국을 왔다갔다 하는 것만 가능할 뿐, 이 땅에 거주할 수가 없다.

뒤의 F2 비자는 허울만 좋은 비자로, 비자를 연장하며 체류가 가능하다고는 하지만 일을 하지 못하니 대체 어떻게 여기서 살아가라는 건지 의문이 든다. ​

그마저도 앞의 비자는 이제 노동력 수급 문제가 있다며 거의 내주지 않는 실정이며 동포들은 거의 F2비자로 입국해서 불법으로 일을 하며 연명하고 있다.

우리는 그들을 받아주지 않고 있다.

좋은 말을 하며 가면을 쓰고 돌려 보내는 꼴이다.

어째서 우리 땅에서 살겠다고 다시 돌아온 우리나라 사람들이 합법적으로 일도 할 수 없고 체류도 할 수 없는지 의아했다.

이 시스템 하나만 개선이 되어도 얼마나 큰 도움이 될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대표님은 “일 년에 서너 번 단속이 뜰 때마다 뗏골은 난리가 난다”라고 표현했다.

말 그대로 서글픈 현실이었다.

안산에는 외국인들이 많이 거주하기 때문에 다문화 센터가 많다.

하지만 이 센터들은 이주 여성, 즉 결혼이민자들에게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에 모든 교육도 주간에 이루어지고 지원 체계 자체가 이주 여성들 대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문화(多文化)’라는 말이 무색하게, 고려인들은 그곳에서조차 배제되어 있었다.

[출처] 안산 고려인 밀집 지역 "뗏골 마을" 탐방기 /고려인 야학 '너머'/재외동포/고려인문제|작성자 Jamie



검색어 : 안산 고려인마을



IP : 121.163.xxx.73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5.9 11:46 PM (61.80.xxx.7)

    카레이스키는 잘못된 언어 사용이에요.
    영어로 한국의, 한국인 이라는 형용사와 명사가 모두 코리안으로 쓸 수 있지만 러시아어에서는 아니거든요.
    카레이스키는 한국의...라는 형용사에요. 한국인은 카레이츠(남자), 카레안카(여자)로 써야 해요.
    영어 문법을 러시아어에 그대로 적용해서 어이없이 쓴 경우죠.

  • 2. 러시아인들이
    '16.5.9 11:47 PM (121.163.xxx.73)

    러시아에서 고려인을 보고 사용하는 용어인가요?

  • 3. 까레이스키로
    '16.5.9 11:56 PM (121.163.xxx.73)

    수정이 안됩니다.

  • 4. ㅇㅇ
    '16.5.9 11:58 PM (1.177.xxx.57)

    그럼 러시아로 이주한 한국인은 고려인이고 중국으로 이주한 한국인은 조선족인가요?

  • 5. 고려인의 이주과정
    '16.5.10 12:11 AM (121.163.xxx.73)

    http://www.koreancoop.com/sub.php?PID=0102

  • 6. 광주 광역시에도
    '16.5.10 12:16 AM (121.163.xxx.73)

    고려인 마을이 있습니다.

    인사말 내용
    http://www.koreancoop.com/sub.php?PID=0106

  • 7. 허갑순씨 사연 속이 터지네요
    '16.5.10 12:44 AM (121.163.xxx.73)

    사할린 https://youtu.be/xeC0UddSRX0

  • 8. 이번 연휴에
    '16.5.10 12:45 AM (1.234.xxx.187)

    남편이 보던 다큐 내용이네요..
    좀더 관심 가지고 봐야겠어요 감사합니다

  • 9. 윗님
    '16.5.10 12:52 AM (121.163.xxx.73)

    관심가져 주셔셔
    감사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58569 아기들 언제부터 덜아픈가요? 18 행복 2016/05/18 2,488
558568 홍콩 사시는 분 질문요 1 딤섬 조아 2016/05/18 979
558567 8살 아이 상담을 받아봐야 할까요? 1 . 2016/05/18 986
558566 말 못가리는 친정 부모님때매 미치겠어요 4 링링이 2016/05/18 3,160
558565 백화점 떡 저녁에 사서 낼 아침에 선물해도 될까요? 5 선물 2016/05/18 1,741
558564 불림샴푸 1 불림샴푸 2016/05/18 899
558563 SBS도 전두환 씨라고 지칭하네요 1 // 2016/05/18 1,273
558562 YTN에서 방금 한줄 속보떴는데 횡성 지진 6.5라네요. 13 ... 2016/05/18 7,757
558561 현장학습가는데.. 8 2016/05/18 1,071
558560 시어머니의 "먹어라" 어떻게 대처하시나요? 31 ... 2016/05/18 8,357
558559 무서운 동네 아저씨 우리아이에게 ㅠ 어쩌나요 25 싫어 2016/05/18 5,677
558558 아이 공개수업 다녀왔는데 아이가 상처받았을까요? 9 샤방샤방 2016/05/18 3,531
558557 나의 소녀시대 쉬타이위 2 대만가야지 2016/05/18 1,192
558556 카스스토리에 하루에도 글을 네다섯개씩 올리는 사람은.. 14 .. 2016/05/18 3,578
558555 지독한 감기로 후각과 미각이 없어졌어요. 돌아올까요? 8 언제쯤.. 2016/05/18 2,340
558554 40대 초중반 남자분 선물 5 저냥 2016/05/18 1,159
558553 귀여운 초5아들 5 엄마.. 2016/05/18 1,245
558552 이런 며느리가 세상에 또 있을까 싶네요... 수이제 2016/05/18 1,918
558551 임신확인을 했어요. 입덧 궁금한게 많아요 6 감사합니다 2016/05/18 1,695
558550 가수 김현철 자동차 홍보영상 찍었네요 2 ㅇㅇ 2016/05/18 1,847
558549 곡성 혼자 보신 분들 어떠셨나요? 8 갈등 2016/05/18 2,015
558548 빌라 지하층 살아보신 분 조언 듣고싶어요. 38 세입자 2016/05/18 6,662
558547 우리나라사람들 병원에서의 거지근성 34 2016/05/18 8,179
558546 성장클리닉 다녀와서 34 성장 2016/05/18 4,629
558545 세종시 시민문화제 내일 2016/05/18 4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