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비명문대를 나온 저는

ㅇㅇ 조회수 : 5,384
작성일 : 2016-05-06 18:56:16

인서울 끝자락 여대를 나왔고

물론 당시 학번상 이학교를 1지망으로 한 경우는

거의 없고 다들 다른 대학 미역국먹고 온 경우인데



베스트에 명문대 나온경우 장점이 있길래

비명문대를 나와서 느끼는 가장 큰 단점은



무엇좀 해보려고 하면

뭔가 고시나 다른 시험같은걸 해보려고 하면

그걸 준비하는 사람이 많지 않고

다들 하는 소리가 그거 어렵다더라..

은연중에 세상의 좋은 기회의 문이

자신들에게는 높은담이고 열리지 않을거라고 믿는

주위 사람들이 었어요..




로켓이 하늘을 날려면 엄청난 중력을 이겨내야 하듯

비명문대생으로 뭔가 도전하려고 할때 가장 먼저

봉착하는 문제는 주위의 부정적인 시선들이었고

이것을 이겨내고 뚫고 나오는데 너무 많은

에너지를 쏟아야 했습니다.



사회에서 얼마나 자신이 올라갈수 있는가

얼만한 기회의 문이 열려있는가

대학 서열대로 암묵적으로 정의되어 있는

이 편견이 가장 어려웠네요...




IP : 58.123.xxx.9
2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5.6 6:58 PM (114.206.xxx.173) - 삭제된댓글

    비명문대를 안나온...은 명문대 나왔다는 말인데요.

  • 2. 그림속의꿈
    '16.5.6 7:04 PM (114.201.xxx.24)

    맞아요. 인정해요. 보이지 않는 벽들이 너무 많아요. ㅠㅠ

  • 3. 공감해요. 글치만
    '16.5.6 7:05 PM (106.248.xxx.5)

    이런 글들을 읽다보면
    또 인정할 수 밖에 없는 부분들이 있더라구요 ㅠ ㅠ
    http://nabers.co.kr/bbs/board.php?bo_table=board18&wr_id=3465

  • 4. 음...
    '16.5.6 7:14 PM (175.209.xxx.160)

    솔직히 말하면요,,,,'벽'이라기 보다는 그게 사실이라는 느낌도 많이 들었어요.
    저는 직장생활을 오래 했는데 신입 시절에는 명문대 출신과 아닌 경우가 그닥 크게 느껴지지 않았어요. 비교적 쉬운 일을 하니까요. 그런데 메니저 레벨 이후부터는 그 역량이 많이 차이가 나는게 눈에 보이더라구요. 물론 이건 어디까지나 확률이 더 높다는 겁니다. 예외도 얼마든지 있어요. 사회성 뛰어나고 일머리 좋은 사람들요. 그런데 그런 사람 조차 어떨 때 보여주는 빈 틈이 눈에 띄고, 가장 큰 안타까움은 자기 스스로 비명문대 출신임을 의도적으로 표출하지 않으려고 애쓰는 거였어요. 비명문대를 나와도 스스럼 없이 얘기했으면 좋겠어요. 사실 서로 다 알거든요. 어느 대학을 나왔건 지금 이 순간 일정 위치에 있으면 된 거 아닌가요.

  • 5. 그런데요
    '16.5.6 7:16 PM (115.41.xxx.181)

    고졸이는
    서울 끝자락의 대학나온 님도 좋아보여요.

    한국의 특성이
    불특정다수에게 무조건 부정적인 시각이나 참견이 지배적입니다.

    그래서
    뭔가를 이루고 싶다면
    절대비밀로 하고 혼신의 힘으로 스스로를
    귀막고 눈막고 목표를 향해서 돌진하는수밖에는 방법이 없어요.

    사람의 질투는 불특정다수중에서 지목되었을때
    그가 사라지던지 죽던지 해야만 끝이나는
    잔혹성을 본능적으로 갖고 있습니다.

    설대생이 고시준비하면 누워서 떡먹기라는 편견일 뿐이고
    님도 좋은 조건을 갖고 계신데

    주변사람들을 무시하실 필요는 있습니다.

    저도 그런 참견이나 부정적시각과 질투를알기에
    도전하는 일이 괘도에 오를때까지 알바한다고 거짓말로 일관하고 있습니다.

  • 6. ..
    '16.5.6 7:21 PM (119.18.xxx.198) - 삭제된댓글

    윗분 내공 ㄷㄷㄷㄷ

  • 7. 고시출신
    '16.5.6 7:23 PM (180.69.xxx.11)

    아버지 차관하고 대기업 전문경영인 사장
    딸 끝자락여대 출신
    남편 고시출신 잘나가는 공무원

  • 8. --
    '16.5.6 7:26 PM (58.38.xxx.176)

    사람의 질투는 불특정다수중에서 지목되었을때
    그가 사라지던지 죽던지 해야만 끝이나는
    잔혹성을 본능적으로 갖고 있습니다....

    정말 공감되는 말씀이네요.
    고 노무현 대통령이 떠오르고요.

  • 9. .....
    '16.5.6 7:26 PM (68.96.xxx.113)

    학벌 컴플렉스에서 자유로운 사람이 없다는 걸 많이 느껴요.
    스스로 더 족쇄를 매기도 하고.

    자신이 나온 학교를 부끄러워하게 만든다는 게...ㅜㅜ 어쩌면 가장 슬픈 것 같기도 하고요.
    세상의 잣대로 자기 학교를 평가하기 보다는
    오히려 안 좋은 학교 나온 사람일수록
    발전기금도 내고, 학교를 위해 봉사도 하고, 스스로 자랑스러워하려 노력하는 문화가 되면 어떨까?
    공상을 해봅니다.^^

    훌륭한 분인데, 어쩔 수 없는 학벌콤플렉스를 갖고 계시구나...하는 걸 발견할 때면 제가 다 몸들바를 몰라질 때가 간혹 있어요. 마음도 아프고요.
    아....우리 나라는 왜 이렇게 병든 데가 많죠?
    정말 한국인들 참 똑똑하고 근면하고 강인한 사람들이다...느낄 때 많은데 너무 많은 속박과 짓눌림..이런 것들이 있는 것 같아요.

  • 10. ..
    '16.5.6 7:42 PM (112.148.xxx.2) - 삭제된댓글

    리터니 엄마들 글 쓰신 분이죠?

    님 글은 제목만 봐도 이젠 딱 알아요.
    학벌 한탄, 가난 한탄, 신세 한탄...저번에도 댓글로 한 소리 들으시고 글 지우시던데..
    저도 댓글 안 쓸 수가 없네요..원글님은 항상 자조적이고 과거에 매여있고 비생산적이에요.

    왜 그러세요? 거의 마흔 가까이 되신 걸로 아는데 매번 같은 주제로
    나 과거에 이만큼 못누려서 억울하다 : 이제 벗어나실 때 되지 않으셨어요?
    솔직히 원글님 글 너무 스트레스에요.

  • 11. ..
    '16.5.6 8:11 PM (114.204.xxx.212)

    인서울 끝자락이라도 전체 그 나이 인구중엔 10프로안에 든다는 얘기가 있어요

  • 12. ..
    '16.5.6 8:33 PM (211.215.xxx.195)

    전 경기권 여대나왔는데 솔직히 결혼전까진 학벌에 대해 별생각없었는대 스카이나온 가난한 남편과 결혼후 자식들 학벌 하나 자랑거리인 시모 한테 너무 차별당하구서 제자신이 너무 초라해졌어요 ㅠㅠ 정작 시모는 초등도 못나오구선 ㅠㅠ

  • 13. rainn
    '16.5.6 8:33 PM (123.109.xxx.20)

    힘냅시다
    편견은 깨지라고 있는 것이고
    우리 사회도 점차 다양성이 인정되는 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믿습니다.
    서울소재대학 졸업한 정도면 저는 인재라 여깁니다

    자신에 대한 자긍심 필요해요.
    열심히 목표한 것을 이루도록 노력하시고
    성취하신 후 다시 글 올려주시길 기대합니다

  • 14. ...
    '16.5.6 8:52 PM (14.32.xxx.52)

    편견도 있지만 사실상 머리 수준도 좀 다르던데요. 실제 만나서 같이 일하다보면 느끼겠던데.
    도전정신 없이 미리 자신을 규정해버리면서 안일한 태도로 사는 것도 문제지만
    때로는 객관적으로 자기 수준에 어울리는 일을 하는 것이 더 중요한 것 같더라구요.

  • 15. 저위
    '16.5.6 9:03 PM (180.70.xxx.236)

    경기권 여대라는게 어디를 말하는지?? 인서울에 여대 몰려있고 경기권이면 전문대밖에 없는거 아닌지요.. 제가 잘못알고 있나요? 궁금하네요

  • 16. 단순히 편견과 부정적 시선의 문제가 아닙니다.
    '16.5.6 9:37 PM (103.10.xxx.194) - 삭제된댓글

    명문대와 비명문대의 차이는 비유하자면 프로와 아마추어의 차이입니다. 그 둘 사이에는 기존의 실력 차이 뿐만 아니라 앞으로 준비하는 일에 대한 이해, 노력, 집중력 등 많은 부분에서 차이가 납니다. 그래서 일반적인 아마추어 입장에서는 프로의 벽이 높게 보이는 거죠.
    비명문대가 명문대를 이기기 위해선 기존의 자기 실력의 100% 발휘해서는 절대 이길 수 없으며, 120%를 발휘한다 하더라도 이길 수 없습니다. 그래서 난 열심히 했는데도 안되는 구나 하며 많이들 좌절 하죠.
    그렇담 아마추어는 절대 프로가 될 수 없느냐. 그건 아니고, 기존의 자기 실력의 150%, 200% 이상 발휘될 수 있도록 노력하면 이길 수 있을 겁니다. 그러나 그렇게 하는 사람들은 소수죠.

  • 17. 단순히 편견과 부정적 시선이 근본적인 문제가 아닙니다.
    '16.5.6 9:40 PM (103.10.xxx.218) - 삭제된댓글

    명문대와 비명문대의 차이는 비유하자면 프로와 아마추어의 차이입니다. 그 둘 사이에는 기존의 실력 차이 뿐만 아니라 앞으로 준비하는 일에 대한 이해, 노력, 집중력 등 많은 부분에서 차이가 납니다. 그래서 일반적인 아마추어 입장에서는 프로의 벽이 높게 보이는 거죠.
    비명문대가 명문대를 이기기 위해선 기존의 자기 실력의 100% 발휘해서는 절대 이길 수 없으며, 120%를 발휘한다 하더라도 이길 수 없습니다. 그래서 난 열심히 했는데도 안되는 구나 하며 많이들 좌절 하죠.
    그렇담 아마추어는 절대 프로가 될 수 없느냐. 그건 아니고, 기존의 자기 실력의 150%, 200% 이상 발휘될 수 있도록 노력하면 이길 수 있을 겁니다. 그러나 그렇게 하는 사람들은 소수죠.

  • 18. ...
    '16.5.6 10:02 PM (175.209.xxx.234) - 삭제된댓글

    무슨말인지 잘 알아요. 저도 서울에 있는 후기여대나왔어요. 전 학력고사 세대라 전기떨어지면 후기대를 쓸수 밖에 없는데 전기에서 명문대 썼던 학생들이라도 후기는 선택의 여지가 거의 없어요. 우리댄 영문과계열이 여대에서는 가장 높아서 후기대라도 우리과엔 다들 고등학교때 공부 잘했던 학생들이었죠. 근데 뭔가 실패를 맛본학생들이라 의욕이 없어요. 그나마 일년지나니 5분의 1은 반수해서 다시 명문대로 진학하고...
    전 그대로인데 갑자기 고등학교때와는 달리 저에 대한 주변의 대우가 확 달라지는 걸 느꼈어요.
    동생은 자기 성적대로 서울의 중위권 대학에 갔는데 다른사람이 저보고 동생이 더 공부를 잘했구나.. 그러더라구요 ㅡ.ㅡ
    결국 점점 더 소심해지고 공부도 하기 싫고... 그나마 결혼은 잘해서 지금은 잘 살고 있는데
    나이 40이 넘었는데도 살면서 가장 후회되는게 저에게 있어서는 재수 안한거예요.

  • 19. ...
    '16.5.6 10:02 PM (175.209.xxx.234)

    무슨말인지 잘 알아요. 저도 서울에 있는 후기여대나왔어요. 전 학력고사 세대라 전기떨어지면 후기대를 쓸수 밖에 없는데 전기에서 명문대 썼던 학생들이라도 후기는 선택의 여지가 거의 없어요. 우리 땐 영문과계열이 여대에서는 가장 높아서 후기대라도 우리과엔 다들 고등학교때 공부 잘했던 학생들이었죠. 근데 뭔가 실패를 맛본학생들이라 의욕이 없어요. 그나마 일년지나니 5분의 1은 반수해서 다시 명문대로 진학하고...
    전 그대로인데 갑자기 고등학교때와는 달리 저에 대한 주변의 대우가 확 달라지는 걸 느꼈어요.
    동생은 자기 성적대로 서울의 중위권 대학에 갔는데 다른사람이 저보고 동생이 더 공부를 잘했구나.. 그러더라구요 ㅡ.ㅡ
    결국 점점 더 소심해지고 공부도 하기 싫고... 그나마 결혼은 잘해서 지금은 잘 살고 있는데
    나이 40이 넘었는데도 살면서 가장 후회되는게 저에게 있어서는 재수 안한거예요.

  • 20. ....
    '16.5.6 10:28 PM (175.223.xxx.64)

    경기권 여대면 지금 가톨릭대인 옛 성심여대 나오셨나 봐요. 근데 아무도 거기 경기권 여대라곤 안했는데 ㅎㅎ 그냥 인서울 끝자락이지..
    암튼 저도 윗님처럼 후기 여대 나왔는데 자괴감 엄청 심했..8학군서도 공부 못한적은 없었건만 결국 그 수준으로 끝난 거니깐요..주위엔 스카이, 이대까진 즐비하고..
    근데 또 저 위님 말씀대로 전체 따지면 그 나이 인구 중 10%도 맞겠죠..주위 동네 애들 엄마들 얘기하다 보면 전문대니 지방대 출신들도 많고 잘만 살던데 이러는 것도 웃기고..다 늙은 40대 중반인데도 아직도 왔다갔다 해요..ㅎㅎ

  • 21. 맞아요
    '16.5.6 10:39 PM (180.70.xxx.236)

    제 8학군 유명한 S여고 나왔는데 그당시 정말 공부 잘했던 애들도 전기 떨어지고 후기 서울여대 덕성여대 동덕여대 이런데 간 친구들 많았어요.. 그중에 이대 떨어지면 서울여대 가더라구요... 거기도 좋은 학교는 맞는데 공부 잘한거에 비해서는 아마도 성에 안 찼을것 같더라구요...

  • 22. 부분적으로 동감이 가네요
    '16.5.7 12:31 AM (121.161.xxx.44)

    이 작은 나라가 참 사람을 옭아매는 관념과 구조같아요

  • 23. ...
    '16.5.7 2:14 PM (66.249.xxx.224)

    정말 한국인들 참 똑똑하고 근면하고 강인한 사람들이다...느낄 때 많은데 너무 많은 속박과 짓눌림..이런 것들이 있는 것 같아요. 22222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86058 직구에 서툰 아짐의 고난기 8 모나미맘 2016/08/15 1,902
586057 특급호텔에 강아지데려가도 돼나요? 4 11 2016/08/15 4,025
586056 박경림 라디오 듣는분 계신가요? 목소리가.. 29 배티버 2016/08/15 8,270
586055 나라파니양 - 지들한테 돈 바치는 대중을 개 돼지로 보는 것들 11 2016/08/15 1,571
586054 두돌 지난 아기 엄마를 무서워해야하는게 맞는건가요 12 Dd 2016/08/15 3,764
586053 앞에 잔머리가 심한곱슬 5 ㅠ ㅠ 2016/08/15 1,269
586052 20대 초반 여대생들 1 정장브랜드 .. 2016/08/15 1,606
586051 성주 삭발식 현장 생중계 1 815성주현.. 2016/08/15 413
586050 생 [팩트티비]사드배치 반대 성주군민 단체 삭발식 사월의눈동자.. 2016/08/15 1,861
586049 에어컨과 실외기에서 미지근한 바람이 나와요 7 려원엄마 2016/08/15 2,739
586048 신기한 일이 생기네요 2 2016/08/15 2,547
586047 두부 유통기한이 얼마나 되나요..??? 3 두부 2016/08/15 877
586046 쇼핑갈때마다 신기한 둘째아이 2 웃겨요 2016/08/15 2,186
586045 차도로에서 자전거 탄 할머니를 치었어요ㅠ 13 .. 2016/08/15 5,350
586044 성형외과에서 하나요? 2 반영구아이라.. 2016/08/15 790
586043 페이스롤러라는 얼굴 마사지 기구 효과있나요? 7 ... 2016/08/15 4,636
586042 마른 오징어로 반찬할 수 있을까요? 9 의견을 구합.. 2016/08/15 1,423
586041 10년후에도 지금과 같은 결혼제도가 존재하게 될까요? 22 ... 2016/08/15 4,285
586040 위로받고 싶어요ㅠㅠ차수리견적땜에...... 7 @@@ 2016/08/15 1,536
586039 안방전등이 타탁딱 소리난거 화재날까요? 1 화재날까요?.. 2016/08/15 862
586038 세무사 자격따고 재택근무 괜찮을까요? 4 ll 2016/08/15 3,671
586037 반민특위 위원장 김상덕 아드님 김정육님 인터뷰 스토리펀딩 2016/08/15 356
586036 한식 디저트 빵빵부 2016/08/15 458
586035 50대 남자 시계 추천부탁 드려요 1 덥다 2016/08/15 1,866
586034 소설)이 작품이 누구 소설인지 4 아시는분 2016/08/15 1,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