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드디어 스뎅에 부침개 성공했어요.

;;;;;;;;;;;; 조회수 : 3,482
작성일 : 2016-05-05 23:51:55
스테인레스 프라이팬은 예열이 제일 중요하다고 하는데 매번 감을 못잡았는데 
외국 동영상에서 배운 팁으로 한번에 성공했어요. 
가스불에 팬을 제일 약하게 몇분 데워요. 
 그릇에 물을 조금 담아서 손으로 튕기듯 뿌려주는데 
 예열이 다 안되면 지직직 하고 수분이 끓어서 증발하지만 
예열이 충분히 되면 물방울들이 깨춤을 추면서 돌아다녀요. 
 재밌어서 열번도 더했다는 ㅡ,.ㅡ 
이시점에 오일을 두르고 팬을 돌려 팬에 골고루 코팅이되면반죽부어서 부치면 되더군요. 
다들 아는건데 저만 기뻐하는걸까요
 코팅팬 새로 사야하는데 왠지 돈 굳은 느낌이라서요
IP : 183.101.xxx.243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감사
    '16.5.5 11:54 PM (42.147.xxx.246)

    감사합니다.
    작은 것을 몰라서 큰 것을 못하지요.ㅎ

  • 2. ilj
    '16.5.5 11:55 PM (61.81.xxx.173)

    좋은 정보 고마워요~ ^^

  • 3. 깨춤
    '16.5.6 12:01 AM (175.200.xxx.16)

    물방울 깨춤
    표현이 너무 귀여워요

  • 4. 스텐
    '16.5.6 12:15 AM (121.143.xxx.117)

    이게 이상한게
    스텐에 계란이나 고기, 감자는 잘 들러붙는데
    저도 부침은 잘 되거든요?
    그 차이를 생각해 보다가
    겨우 찾아낸 게..
    부침개할 때는 기름 두르고 나서
    좀 시간 여유 있게 반죽을 넣어서 아닌가 싶어요.
    그러니까 기름도 적당히 달궈지고 나서
    살짝 식은 다음에 넣어서..
    아닐 수도 있어요.
    저도 아직 그 이유를 정확히 몰라요.
    아무튼
    팬 달구고
    기름 달구고
    기름의 온도를 약간 떨어뜨리고 하면
    안붙는 건 확실해요.
    근데 이렇게 여유있게 기다리기가 생각만큼 쉽지 않아요.

  • 5. ...
    '16.5.6 12:40 AM (139.195.xxx.153)

    그럼 오일두른뒤에 잠시불을끄는건가요? 아님바로 음식을넣나요?

  • 6. ;;;;;;;;;;;;
    '16.5.6 1:06 AM (183.101.xxx.243)

    오일두르고도 불 안끄고 계속 약불로 조리했어요.

  • 7. 마음씨
    '16.5.6 1:17 AM (222.237.xxx.55)

    축하축하요. 실패하신분들 많다기에 못사고 있었는데 이런 쉬운팁 감사해요. 나중에 사서 성공하면 다 원글님덕이예요ㅎㅎㅎㅎ

  • 8. ~~~
    '16.5.6 1:20 AM (218.236.xxx.90) - 삭제된댓글

    센불로 예열하다가 예열이 다 되었다 싶으면 손가락에 물 묻혀 물방울을 튕겨본다
    물이 또르르 굴러다니면 가스불을 끈다
    잠시 후 기름을 두른다. 기름이 물결처럼 일렁이며 퍼지면(이때 물결 모양으로 흐르지 않고 연기가 나면 예열이 너무 많이 된거니까 열이 좀 식을 때까지 기다려야 함)
    가스불을 다시 켜고 부치려는 내용물을 넣는다.

    몇번 해보면 감이 잡힙니다.

  • 9. ~~~
    '16.5.6 1:24 AM (218.236.xxx.90) - 삭제된댓글

    근데 예열하기 귀찮아서 요즘은 볶음 요리할 때만 가끔 사용합니다.

    소금 깔고 새우 구울 때,
    생선 구울 때도 편해요.
    박박 씻을 수 있어서 좋구요.

  • 10. ...
    '16.5.6 1:25 AM (124.59.xxx.15)

    스뎅 후라이팬으로 부침개 계란후라이 하다보면 몇번만 해도 스뎅 누래지거든요
    그거 닦느라고 팔 빠져요
    결국 스뎅 후라이팬은 전골팬 대용으로 스뎅 궁중팬은 나물데칠때 씁니다
    스텐 후라이팬 살 돈으로 냄비나 더 살걸 그랬어요

  • 11. 계속
    '16.5.6 1:47 AM (175.118.xxx.182)

    쓰다보면 하나도 안 어렵더라고요.
    감으로 예열상태를 딱 알 수 있게 된다는~ ㅎㅎ 으쓱~ ^^;;;;;;;;;;;;;
    단, 아침에 바쁠때 쓰려면 속 터지죠.

  • 12. 저도
    '16.5.6 6:06 AM (210.97.xxx.23)

    계란프라이 하고 기름으로 누래진 스뎅팬 닦는게 무서워서 스뎅팬 잘 안쓰게 되네요. 프라이도 부침개도 잘 하는데.

  • 13. ditto
    '16.5.6 7:40 AM (61.80.xxx.17)

    사그러져 가는 스텐 후라이팬 구매욕구에 꺼진 불씨룰 살리는 글이네요 ㅎ~^^

  • 14. OO
    '16.5.6 9:17 AM (211.108.xxx.27) - 삭제된댓글

    누래지거나 탄 후라이팬은 물 넣고 소다 팍팍 넣어서 한번 끓이고 하루정도 그대로 놔둔다음에 브드러운 수세미로 닦으면 다시 하얗게 깨끗해져요. 녹색 수세미로 박박 닦으면 안되구요.

  • 15. 하오더
    '16.5.6 11:17 AM (183.96.xxx.241)

    물방울 튀는 거 몇 번 해보다가 이젠 기름이 널리 퍼져가는 무늬만 봐도 대충 감이 와요 ,,,, 근데 전 고기 구울때 특히 삼겹살 구울때 눌어붙는게 젤 귀찮네용

  • 16. 스텐팬만 네 개
    '16.5.6 8:54 PM (124.53.xxx.131) - 삭제된댓글

    좀 비싼걸로 사야해요.
    냄비는 싼거도 좋지만
    후라이팬은 값싸고 얇은거 사면 금방 타고 닦다가 홧병나고 ..
    평생 쓴다 라고 생각하고 비싼걸로 구입해야 실패확률도 적고 음식도 잘되어요.
    코팅팬 없앤지 거의 십년째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86187 8월 15일자 jtbc 손석희뉴스 브리핑 & 비하인드뉴.. 2 개돼지도 .. 2016/08/16 496
586186 매국파니 퇴출 해야되지 않나요?? 17 뭐라도 해야.. 2016/08/16 1,960
586185 김무성 전 대표 “콜트 노조에 공개 사과하겠다” 4 세우실 2016/08/16 669
586184 지하철 시트 커버 좀 빼면 안되나요? 진짜 더러워요 20 .. 2016/08/16 4,520
586183 나랏돈 30억 꿀꺽한 기업인에 총리상 준 '황당한 정부' 3 ㅜㅜ 2016/08/16 641
586182 퀴노아 밥 지을 때 넣기도 하나요? 4 June 2016/08/16 1,261
586181 폴더폰과 오래된 스마트폰의 충전기가 같나요? 1 충전 2016/08/16 401
586180 고3수시논술 2 컨설팅 2016/08/16 1,192
586179 별자리 배우고 싶어요 4 ... 2016/08/16 798
586178 돈 부족한 이사, 인테리어를 할까요 말까요??? 28 고민중 2016/08/16 4,233
586177 디지털피아노 처분해 보신분요.. 2 궁금 2016/08/16 1,357
586176 옥수수가 끝물이죠? 마음이 조급해 지네요 7 옥수수좋아 2016/08/16 1,681
586175 왜 해마다 광복절 전날 대형콘서트를 일본에서 할까요? 6 라라라 2016/08/16 1,649
586174 서울대학교 자유전공학부가 궁금합니다 13 두리맘 2016/08/16 4,329
586173 ‘한강의 기적’ 꺼내 ‘헬조선’ 역공, 청년세대에 ‘자긍심’ 강.. 3 세우실 2016/08/16 713
586172 함초 생즙 어떻게 해야 맛있을까요? 2 함초 2016/08/16 464
586171 이게 갱년기 때문인지 더위 때문인지 14 .. 2016/08/16 4,890
586170 위염인가 내장출혈인가 엄청 걱정했어요. 3 역시 82!.. 2016/08/16 1,448
586169 회사가기 싫어요 4 싫다 2016/08/16 1,084
586168 어제 올린 기사 모음입니다. 1 기사모음 2016/08/16 307
586167 (질문)노모의 엉치통증! 3 쿠이 2016/08/16 1,101
586166 더위에 더 살 찌지 않았나요? 19 퉁퉁 2016/08/16 4,632
586165 대기업 주재원으로 나가면 어떤 집 제공받나요? 8 궁금 2016/08/16 5,791
586164 2016년 8월 16일 경향신문, 한겨레, 한국일보 만평 2 세우실 2016/08/16 519
586163 요즘 ADHD 아이들이 너무 많네요. 71 하늘 2016/08/16 22,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