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책을 많이 읽는다고 공부 잘하진 않은거 같아요

독서 조회수 : 2,343
작성일 : 2016-05-04 17:25:28
논리적 사고력과 감수성은 독서력으로 강화할수는 있지만 타고난 재능이 큰가봐요 수학풀이 논리적인 사고력, 또 언어적 능력 암기력 이걸 노력으로 어느만큼 커버할수 있을까요?
예전에 노력과 끈기도 타고난 재능이라는 말도 들은것 같고요
IP : 122.36.xxx.241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맞아요
    '16.5.4 5:27 PM (14.47.xxx.196) - 삭제된댓글

    아는게 많다는 말만 주구장창 들어요....

  • 2. 맞아요
    '16.5.4 5:28 PM (14.47.xxx.196)

    아는게 많다는 말만 주구장창 들어요....
    노력 끈기 이해력 집중력 응용력 어느 하나 안 중요한게 없어요.
    노력과 끈기도 정말 아무나 하는거 아니쟎아요~~

  • 3.
    '16.5.4 5:40 PM (211.114.xxx.77)

    백퍼 연결되는건 아니지만 그래도 많은 영향을 미치는건 사실이죠.
    그리고 공부는... 노력하는 사람은 아무도 못 따라갑니다. 끈질기게 노력하는 사람이 갑입니다.

  • 4. ㅁㅁ
    '16.5.4 5:57 PM (125.134.xxx.228)

    걸어다니면서도 책을 읽을 정도로 책 좋아하는
    아이가 있는데 공부는 그닥이었어요...
    제 아이는 제가 어렸을 때 책 별로 못 사주고
    책 읽어주는 것도 신경 안 써서, 책 별로 안 좋아하는데도
    공부를 잘 해요. 사회나 역사시험도 배경지식도 별로
    없는데도 잘 치는 거 보면 신기해요.
    중고등까지 시험은 노력이나 머리로도 커버가 되는
    모양이에요.
    수동적으로 책 읽는 것보다 스스로 사고하는 힘이 더 중요
    한 것 같아요...

  • 5. ..
    '16.5.4 6:08 PM (175.211.xxx.225)

    저 책 엄청 좋아했는데 수학은 포기했어요
    윗님처럼 아는게 많다는 말은 많이 들어요...

  • 6. 당연히
    '16.5.4 6:24 PM (59.9.xxx.28)

    독서와 수학 (이과쪽)은 다르죠.
    저 역시 책 엄청 좋아하고 많이 읽어서 말 잘하고 글 잘 쓰고 아는거 많단 말도 많이 들었지만 수포자였었고 지금도 산수를 못해서 돈관리도 잘 못합니다. 이런건 타고난 성향인듯해요.
    그래도 책 많이 읽어 좋은점은 소통능력, 상상력.추리력. 창의력이 발달된단 점이라 문과쪽으로 간다거나 논술시험에 결정적으로 큰도움이 되지요. 전 논술세대 훨씬 이전 사람이라 덕을 못봤네요만.

  • 7. ..
    '16.5.4 6:44 PM (112.149.xxx.26) - 삭제된댓글

    시험평가 방식이 단순하기 때문이죠.
    교과서만 달랑 공부한 아이와 다양한 독서를 한 아이가 어떻게 같겠어요.
    독서많이하고 창의력있는 애들은 어떤의미로 피해자죠.

  • 8. 맞습니다
    '16.5.4 7:09 PM (59.27.xxx.43) - 삭제된댓글

    맞고요.
    책 좋아하는건 타고난 성향이고 취향이고 일종의 취미활동이라고 보심 됩니다.
    입시에서는 수학이 관건이니까요.
    다만, 다독은 박학다식해집니다.
    뭐 학업성적과 조금은 연관시킬수 이겠지만 그닥....

  • 9. ...
    '16.5.4 7:24 PM (112.149.xxx.183)

    저 책 엄청 좋아했는데 수학은 포기했어요
    윗님처럼 아는게 많다는 말은 많이 들어요...2222

    어문학과 나왔구요;; 제 주위에 어릴적부터 죽 알았던 애들 중에 공부로 성공, 명문대 나온 애들 중에 책 좋아했던 애들은 아무도 없어요;; 문과 간 애들도 마찬가지. 얘들 공통점은 일반 문학이니 책 같은 건 관심도 없고 공부에만 관심 많았음..
    어른들도 그러세요..책 좋아하면 잡다한 데 관심 많아 공부 못한다고..;;

  • 10. 책을 좋아하지 않고 공부만 잘한사람은
    '16.5.4 8:36 PM (218.149.xxx.195) - 삭제된댓글

    시회적으로 성공해도 공무원이나 이과계통의 기능적인 사람들이 되며
    예를들어 노벨상을 탈 정도라든지 큰 학자나 인물은 못됩니다.
    한국사회가 단순히 학벌좋은 기능적인 사람들만 양산하는 경향이 높습니다.
    결국 다양한 독서를 통해 깊은 지식을 쌓지 못한 사람은 대화를 해보면 깊이가 낮습니다.
    서울법대 나와서 높은 직위에 있는 사람도 깊이가 없어요. 책을 다양하게 폭넓게 읽은 사람은
    지방대를 나와도 정말 폭넓은 사고와 대화할 거리가 많습니다.
    인생은 긴 길입니다. 죽을때 결정납니다. 성공도 돈도 지식도 명예도 저승길에는
    아무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 11. 지나다가
    '16.5.5 7:15 AM (175.223.xxx.204)

    저희 아들 초등5학년 걸어다니면서 책을 읽을정도로 좋아하는데 글쓰기가 안되는건 왜일까요...
    수학은 아무리 어려운 문제도 곧잘 푸는데...-_-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81769 남편이 바에서 5 Ltte 2016/08/02 3,082
581768 흑설탕.저는요~ 6 사과 2016/08/02 2,347
581767 히트레시피 엘에이 갈비..대실패..알려주세요 7 요리무식자 2016/08/02 2,083
581766 40대 주부에 어울리는 가장 지적인 헤어스타일이 뭘까요? 9 헤어 2016/08/02 8,375
581765 힙이 무척 커요 ㅠ 22 엉큰이 2016/08/02 7,283
581764 최남선과 이광수 문학상, 친일 문학상 논란 1 ... 2016/08/02 468
581763 아이 성적알 수 있는 방법 있나요 5 아아 2016/08/02 1,484
581762 우상호의원님, 3만원짜리 점심 먹고 싶어요 9 생각 2016/08/02 1,693
581761 립스틱 추천 부탁드려요ㅜ 11 로또 2016/08/02 2,835
581760 여성스러워지는 방법 공유해주세요~~ 11 40대 중반.. 2016/08/02 4,745
581759 '헬조선' 돌파구가 박정희식 신상필벌? 해도 너무한 대통령 비서.. 1 세우실 2016/08/02 537
581758 가방) 가죽 말고 합성피혁은 어떤가요 15 패션 2016/08/02 3,380
581757 오늘 같은 날씨에 매직펌 해도 돈아깝 2016/08/02 524
581756 8월 1일자 jtbc 손석희뉴스 브리핑 입니다 3 개돼지도 .. 2016/08/02 1,200
581755 애들도 가지밥 잘 먹던가요? 5 가지 2016/08/02 2,237
581754 동네엄마 8 .. 2016/08/02 4,428
581753 2016년 8월 2일 경향신문, 한겨레, 한국일보 만평 1 세우실 2016/08/02 614
581752 안녕하세요란 프로 진짜예요? 25 ㅇㅇ 2016/08/02 13,381
581751 어학연수 질문 있습니다 4 고민 2016/08/02 1,094
581750 수영장 라커룸 이용할경우 5 살빼자 2016/08/02 1,219
581749 과외할 때만 쓸 에어컨- 벽걸이 이동형 중 뭐가 나을까요. 4 . 2016/08/02 1,757
581748 복숭아.. 구입 후 며칠까지 당도가 유지 되나요? 2 복숭아 2016/08/02 2,224
581747 살 10키로넘게찐거 빼는 중인데 이제 자신감이 떨어지네요 3 tkf 2016/08/02 3,701
581746 새우꿈도 태몽인가요? 6 라벤더 2016/08/02 6,484
581745 엄마한테 새로운사람이 생겼어요 30 171711.. 2016/08/02 14,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