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82에는 자가소유집 갖고 계신분들 얼마나 많나요?

조회수 : 2,240
작성일 : 2016-04-28 17:35:07
저는 외국에서 월세 살고요.
부모님은 가난하지만 그래도 자가소유의 집은 있어서 매달 월세나 전세 걱정은 없어요. 물론 집이 후진곳에 위치해있어서 집값이 오르지도 않고요.. 1억도 안되는 집... 대략 짐작 가시죠? 

그런데 이렇게 노력하고 밤샘 야근하고 해도, 집 사서 시세 오르는 것 만큼 제 연봉이 따라가진 않더라구요.. 부럽죠..
집값이 이제 안오른다 등등 얘기 많지만 집도 없는 저에겐 참 머나먼 얘기 같습니다. 

다들 집 물려받지 않고 스스로 집 마련해서 집값 잘 올리신 분들 많은가요?
아니면 여전히 빛에 허덕여가며 은행빛 내고 있는지.. 
아니면 그냥 원래 운이 좋아서 부모님한테 물려받은 집으로 계속 재산 불리며 살고 계신지...
저같이 월세 내며 하루 살이로 살아가는 분들도 많겠죠?
하... 좀 갑갑하긴 합니다.
경제 이야기글 봤지만 흙수저는 그 놀음에서 벗어날 틈도 없는 것 같아요

IP : 90.195.xxx.130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지금월세
    '16.4.28 5:58 PM (175.113.xxx.180) - 삭제된댓글

    12년 전.1억도 안되는. 전세로 시작. 알뜰하게 2년모아. 조금의 적금, 조금의 원조(1/10), 조금의 대출로
    집 삿더랫어요. 두어 번 옮겨타면서. 6년 동안 .. 3억~3억5천 정도. 불엇네요
    학군 땜에. 그것도 굳이 넓은평수에 새아파트 고집하는 남편땜에. 전세살이 6년째예요.
    다만. 대출없고. 여유잇게 살았다는 걸로 위안.. 마지막으로. 전월세 2년 계획하고 잇네요
    향후론. 학군 상관없는 좀 집값 저렴한, 공기좋은 곳 가서 싸악~ 내맘에 맞게 인테리어해서 살고싶어요

  • 2. 지금월세
    '16.4.28 5:59 PM (175.113.xxx.180) - 삭제된댓글

    12년 전.1억도 안되는. 전세로 시작. 알뜰하게 2년모아. 조금의 적금, 조금의 원조(1/10), 조금의 대출로
    집 삿더랫어요. 두어 번 옮겨타면서. 6년 동안 .. 3억~3억5천 정도. 불엇네요
    학군 땜에. 그것도 굳이 넓은평수에 새아파트 고집하는 남편땜에. 전세살이 6년째예요.
    강남에서 양가 원조 없이 이 조건 충족하긴. 돈이안되니까요

    다만. 대출없고. 여유잇게 살았다는 걸로 위안.. 마지막으로. 전월세 2년 계획하고 잇네요
    향후론. 학군 상관없는 좀 집값 저렴한, 공기좋은 곳 가서 싸악~ 내맘에 맞게 인테리어해서 살고싶어요

  • 3. 자가
    '16.4.28 6:08 PM (122.35.xxx.146) - 삭제된댓글

    11년전 6천 전세로 시작, 6년전 7500 대출해서 1억8천에 집장만, 인제 시세가 2억초반 되나봐요
    재산증식 그런거 모르겠고 우리 형편에 살만한 곳에 샀어요 이사다니기 싫어서요
    이젠 빚다 갚고 새차 사고 예금잔고도 1억정도 있네요

    학군 생각하면 옮겨야 하는데
    현실과 이상의 괴리가 너무 커서 ㅎㅎ
    가격대 성능비좋은 이동네에 그냥 있어요

    집사고 3년쯤 빚 다 갚았는데,
    그때까지 뚜벅이로 살고 양가말고는 여행 한번 못갔네요
    그래서 또 빚내서 집옮기기 싫은거 있죠 ㅎㅎ
    양가원조는 커녕..집 사기 직전에 양가에서 3천씩 도합 6천 다 가져가셨어요. 살기 너무 팍팍하네요

  • 4. 10년전
    '16.4.28 6:15 PM (58.231.xxx.36)

    10년전 3천오백 전세로시작해서 대출받아7천오백전세로 넓혀
    또대출받아 1억칠천 집을삿어요
    대출금이자만갚다가 시세차익배로보고 팔고 더많이대출받아
    5억집사서 지금 한 육칠억사이하네요
    저축만했다가는 집못사는 시대를 거치긴했네요

  • 5. 라일락사랑
    '16.4.28 6:16 PM (175.113.xxx.180) - 삭제된댓글

    12년 전.1억도 안되는. 전세로 시작. 알뜰하게 2년모아. 조금의 적금, 조금의 원조(1/10), 조금의 대출로
    집 삿더랫어요. 두어 번 옮겨타면서. 6년 동안 .. 3억~3억5천 정도. 불엇네요
    순 이사만으로엿지요
    학군 땜에. 그것도 굳이 넓은평수에 새아파트 고집하는 남편땜에. 전세살이 6년째예요.
    강남에서 양가 원조 없이 이 조건 충족하긴. 돈이안되니까요

    다만. 대출없고. 여유잇게 살았다는 걸로 위안.. 마지막으로. 전월세 2년 계획하고 잇네요
    학군 상관없는 좀 집값 만만한, 공기좋은 곳 가서 싸악~ 내맘에 맞게 인테리어해서 살고싶어요

  • 6. 반전세죠
    '16.4.28 6:17 PM (175.113.xxx.180)

    12년 전.1억도 안되는. 전세로 시작. 알뜰하게 2년모아. 조금의 적금, 조금의 원조(1/10), 조금의 대출로
    집 삿더랫어요. 두어 번 옮겨타면서. 6년 동안 .. 3억~3억5천 정도. 불엇네요
    순 이사만으로엿지요
    학군 땜에. 그것도 굳이 넓은평수에 새아파트 고집하는 남편땜에. 전세살이 6년째예요.
    강남에서 양가 원조 없이 이 조건 충족하긴. 돈이안되니까요

    다만. 대출없고. 여유잇게 살았다는 걸로 위안.. 마지막으로. 전월세 2년 계획하고 잇네요
    학군 상관없는 좀 집값 만만한, 공기좋은 곳 가서 싸악~ 내맘에 맞게 인테리어해서 살고싶어요

  • 7. 2000
    '16.4.28 6:27 PM (165.225.xxx.81)

    2000년 결혼했는데 결혼 1년 전에 지하철도 안 들어왔던 17평 중랑구 아파트를 6500 에 둘이 같이 있던 돈 털어서 미리 샀어요. 결혼해서 거기 들어가 7년 살았네요. 지하철 생기고 아파트도 값이 좀 올라서 팔고, 대출 좀 끼고 25평 갈아타고.. 지금은 서울 다른 동네에서 6억 좀 넘는 30평대 아파트 사네요. 대출은 여전히 끼고 있고, 이 아파트는 제가 샀던 가격보다 5-6천 올랐다고 하고. 둘이 맞벌이하면서 대출 갚으며 허덕 까지는 아니고 평범하게 먹고 삽니다.

  • 8. 나는나
    '16.4.28 6:32 PM (116.127.xxx.3)

    물려받은거 빚이죠.
    결혼할 때 1억 남짓한 아파트 받았는데, 13년만에 8억 정도 하는 새 아파트 입주했어요. 은행에 월세 내고 살아요. ^^

  • 9. 나는나
    '16.4.28 6:45 PM (116.127.xxx.3)

    물려받은거 빚-->물려받은거 더하기 빚

  • 10. 기쁨맘
    '16.4.28 6:52 PM (128.86.xxx.96)

    빛이 아니고 빚이요 서울은 집값 오르면 오르지 떨어지지는 않습니다

  • 11. ㄷㄷ
    '16.4.28 6:55 PM (59.17.xxx.152)

    저도 자기집 있는 분들 보면 참 신기해요. 제 주변은 전부 결혼할 때 부모님이 만들어 주신 거고 본인들이 돈 모아서 산 경우는 아직까지는 한 번도 못 봤어요. 사실 젊은이들이 자기 힘만으로 집 마련하기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죠. 엄청난 고소득자가 아닌 이상. 그리고 고소득자라도 소비 수준이 높고 양가 부양하거나 자식 교육시키려면 그만큼 많이 써야 하니까 쉽게 목돈 못 만들더군요. 왜 결혼할 때 집을 해 줬니 안 해 줬니 분쟁하는지 정말 이해가 되네요.

  • 12. 원글
    '16.4.28 7:49 PM (77.67.xxx.226)

    시작점이 다른 게 느껴져요.. 나이든 부모님은 자꾸 병이 많이 생기셔서 이런저런 돈 지원 해드려야하고, 한번도 즐겨본적 없는 인생,, 부모님 돌아가시기 전에 좀더 행복하게 해드릴려고 대책없이 좋은거 사드리고 하게 되네요. 그런데 안그러면 후회 할 것 같고요... 전 외동딸이라서요. 다들 은행 대출 받고 시세차익 보면서 집값 불려 나갔네요. 대출을 알아 봐야 하는건가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85989 서민은 아무리 죽이고착취해도 세상은잘돌아가는것같아요 5 ㅇㅇ 2016/08/15 936
585988 말린 고추 어디서 사야 할까요? 5 ... 2016/08/15 974
585987 송로버섯이 1 유리병 2016/08/15 852
585986 내일 건강검진인데요.. 3 내시경 2016/08/15 983
585985 캐치맙밀대 쓰시는분들 제가 힘을 너무 준건가요 ㅠ 8 캐치맙 2016/08/15 1,607
585984 보험도 저축에 들어가나요? 8 저축글올린사.. 2016/08/15 1,828
585983 돌아오는 주일에 아버님 생신상 반조리식품 문의 질문 2016/08/15 911
585982 새누리, "위안부 합의는 부단한 노력의 성과".. 2 위안부합의는.. 2016/08/15 449
585981 파주가구단지 근처 맛집~~~ 파주 2016/08/15 725
585980 폰 미납요금 내면 바로 멤버쉽 포인트 사용 가능한가요??? .... 2016/08/15 416
585979 서울 호텔 중에서 객실이 제일 쾌적하고 좋았던 호텔이 어딘가요?.. 7 호텔 2016/08/15 4,331
585978 중고차 530만원 자차 들까요? 2 ... 2016/08/15 1,415
585977 삼척을 초보가 운전해서 가기 힘들까요? 8 경기도에서 2016/08/15 2,318
585976 광역버스탔는데 옆에남자가... 5 .... 2016/08/15 3,147
585975 자기보다 못한 남자들을 계속 만나는 여자 15 궁금이 2016/08/15 8,049
585974 유산균이 백억/십억 어떤게 좋은가요 8 유산균 2016/08/15 2,370
585973 X선에 배 곳곳에 ㄸ이 많은 변비는 어떻게 해결해야 13 배아파요 2016/08/15 2,284
585972 우사인 볼트 대단하네요 10 2016/08/15 3,193
585971 폭식과 우울증과 노화의 원인ㅡ설탕ㅡ대안 30 연재 2016/08/15 8,142
585970 제피부 왜이래요 ㅠㅠ 5 오후 2016/08/15 2,095
585969 가수 윤상 노래 들으세요? 들을때마다 넘 힘들어요 감정적으로 ㅋ.. 23 ... 2016/08/15 6,270
585968 운동하면 처진 뱃살/ 처진 가슴이 좀 올려 붙나요? 4 궁금 2016/08/15 2,603
585967 이 더운 여름에 집에서 뭐 시원한 옷을 입으시나요? 11 더위 2016/08/15 2,395
585966 녹차티백의 내용물을 갈아도 녹차가루 되나요? 3 녹차가루필요.. 2016/08/15 1,136
585965 경남은 꼭 비올 것 같은 날씨네요 ^^ 2016/08/15 4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