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부모님 의료비가 연말정산에 많이 도움되나요?

.. 조회수 : 1,807
작성일 : 2016-04-20 19:58:03
아버님이 작년에 쓰신 의료비가 700만원 정도예요.
의료보험은 저희신랑 회사보험으로 같이 쓰고 계신데
이번에 연말정산이 300만원 넘게 환급되었어요.
작년에 집을사서 이사비며 돈을 많이 썼고 대출이자 원금 갚는게
한달에 80만원 정도 되서 전
그 덕이라고 생각했는데 남폄은 아버님 의료비쓴거 땜에 많이 환급되었다고 하네요..
이쪽으로는 잘몰라서 궁금해서요...의료비 환급 비율이 이리 높나요?
IP : 121.137.xxx.204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16.4.20 8:01 PM (49.142.xxx.181)

    의료비도 의료비지만 인적 공제도 받은거 아닌가요?
    그럼 당연히 크죠.

  • 2. ...
    '16.4.20 8:02 PM (114.204.xxx.212)

    인적공제가 젤 크고요 ㅡ 노인에 암환자나 장애 있으면 더 커요

  • 3. ...
    '16.4.20 8:04 PM (66.249.xxx.221)

    의료비 맞을거같아요.
    저희 남편 사회초년생 청약저축을 비롯해 아무런 공제도 안했는데, 어머니 병원비 몇백에 백만원 넘게 환급되더라구요.

  • 4. ..
    '16.4.20 8:07 PM (114.206.xxx.173) - 삭제된댓글

    먼저 의료비의 연말정산금액에 대해 알아보면

    총급여액의 3%를 초과하는 금액이 일단 공제대상금액입니다

    만약 총급여가 5천만원 이라면 5천만원의 3%인 150만원 이상의 금액부터 공제대상이

    된다는 말이지요

    예를들어 연봉이 5천만원이고 한해 의료비로 500만원을 사용했다면

    500만원 - 150만원 = 350만원

    즉 공제대상 금액은 350만원이고 350의 15%인 525,000원이 세액공제 되는것입니다



    공제한도는 위에서 보시는바와 같이 본인, 65세이상 부양가족, 장애인 의료비, 난임수술비

    의 경우 한도가 없고 그외 ( 자녀등을 말하겠지요)은 700만원이 한도 입니다.

  • 5. ..
    '16.4.20 8:25 PM (210.107.xxx.160) - 삭제된댓글

    의료비는 급여의 3%가 한도예요. 연말정산 환급의 가장 큰 덕은 인적공제일 거예요. 만약 님 시아버지가 인적공제 대상이었다면 그거랑 의료비랑 다 합치니 많이 됐겠죠.

  • 6. ..............
    '16.4.20 8:29 PM (175.112.xxx.180)

    의료비가 갑이더라구요. 하지만 뭐 그만큼 나간거니까.......
    저는 그래서 환급금 부모님께 돌려드려요.
    생활비는 조금 보태드리긴합니다만 쌈짓돈 모아 병원비 내신거 생각하면 제가 못쓰겠더라구요.

  • 7. ..
    '16.4.20 8:35 PM (210.107.xxx.160)

    의료비는 급여의 3%가 넘는 부분부터예요 (처음에 한도라고 단어선택을 잘못해서 다시 씁니다) 연말정산 환급의 가장 큰 덕은 인적공제일 거예요. 만약 님 시아버지가 인적공제 대상이었다면 그거랑 의료비랑 다 합치니 많이 됐겠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50187 확실히 좋은 학교를 가니 좋은 선생님들을 5 ㅇㅇ 2016/04/21 2,959
550186 초2 조카(여자) 레고 프렌즈/디즈니공주 어느계열이 좋을까요^^.. 8 큰엄마 2016/04/21 917
550185 비행청소년과 제주 도보 여행 1 뭉클 2016/04/21 804
550184 민변 "관세청, 미군 탄저균 통관신고 받고도 질본에 안.. 1 뭐가 민생이.. 2016/04/21 539
550183 손석희의 오만 ... 왜건느나? 38 .. 2016/04/21 5,259
550182 목과 허리가 안 좋아서 치료중인데, 수영 배워야 할까요? 6 조언 부탁해.. 2016/04/21 1,947
550181 집에서 건조한 식품 말인데요.. 2 건조초보 2016/04/21 1,080
550180 예쁜 볼터치 추천해 주세요 4 봄봄 2016/04/21 1,648
550179 댓글 성지순례 하세요. 5 반전 2016/04/21 2,015
550178 여즘 고3 고1두딸 야식 , 간식 뭘루 준비해 주시나요? 24 고3엄마 2016/04/21 5,263
550177 그냥 잎녹차에도 카페인이 있나요? 1 ... 2016/04/21 870
550176 가치관이 맞지 않는 친구 6 ... 2016/04/21 2,941
550175 리베라시옹, 정부 검열로 한국 문화예술계 위축 2 light7.. 2016/04/21 518
550174 42세 이상인분들 기억력 원래 이러신가요? 16 기억 2016/04/21 3,629
550173 고양이가 물에다가 응가도 하나요? 7 카누가맛있어.. 2016/04/21 1,098
550172 교수하고 싶으면 학부가 중요할까요 26 ㅇㅇ 2016/04/21 9,477
550171 어버이 연합과.. 깨어있는 시민 & 전라도 2 성찰 2016/04/21 932
550170 어린남자 좋네요 11 ... 2016/04/21 4,392
550169 미국에서 영문학 전공하면 7 ㅇㅇ 2016/04/21 1,331
550168 공중 화장실 변기 위에 올라가서 용변보다 변기 깨진 사진 있는곳.. 7 ... 2016/04/21 3,074
550167 한식조리사 자격증 공부하신는 분들께 1 궁금증 2016/04/21 2,927
550166 수납정리전문가 전망이 어떻다고보세요? 9 봄비 2016/04/21 3,453
550165 펌글. 어느 인문사회계열 석사생의 글 13 2016/04/21 4,161
550164 물고기자리 이노래 좋지않나요? 3 추억 2016/04/21 696
550163 치약도 액체에 들어가나요? 4 2016/04/21 9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