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왜 클래식 음악은 작품번호 이렇게 나가는 걸까요?

어려움 조회수 : 1,890
작성일 : 2016-04-20 00:42:33

그냥 쉽게 제목을 붙이면 안되나요?

꼭 보면 작품번호 몇 장조 ~~ 뭐 외울 수도 없게 길어요. ㅠㅠ

지금도 그렇게 하나요?? 외국도 여전히 그러나요??

IP : 223.62.xxx.95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작가가 제목을 안 썼고
    '16.4.20 12:45 AM (1.228.xxx.147)

    후세에 발견되는대로 붙여져서 그런 거 아닌가요?...

  • 2.
    '16.4.20 12:48 AM (223.62.xxx.95)

    그렇다고 들었는데 지금 클래식 전공자들도 여전히 그런가요?? 궁금하네요. 지금 클래식하는 분들 작곡가들도 여전히 작품번호로만 제목을 다는지...

  • 3. 비전공자
    '16.4.20 1:15 AM (119.82.xxx.84)

    취미로 피아노치는 사람인데..
    일반인이 아는 유명한곡보다 안유명한 곡들이 더 많잖아요.
    그리고 곡마다 다 이름을 짓지도 않아요.
    작곡가마다 곡번호가 있고... 그 곡의 장조나 단조? 이런게 있고 그래서 그런거같은데..

  • 4. 듣는 사람 맘대로
    '16.4.20 1:54 AM (112.169.xxx.238) - 삭제된댓글

    일반 가요 같이 가사가 있는것도 아니니
    곡의 해석은 듣는 사람에게 맡긴다 이거 아닌가요?
    제목을 '자장가' 라고 붙인 곡을 듣고 질투,실연..이런 느낌을 받기 힘드므로..

  • 5. 생각
    '16.4.20 8:55 AM (116.40.xxx.2)

    작곡가들에게 제목은 대부분의 경우 의미가 없어요.
    작품을 쓸 때, 제목을 붙여야겠다는 생각은 드물게 나타나죠. 청각예술인 그 음악이 그냥 듣는 사람에게 흘러가는 거예요. 르네상스 바로크 이후 현대까지 별 차이 없습니다. 그러니 목록과 순서가 필요했죠. 그것도 고전 이후에나 그랬고, 그 이전에는 무심했어요. 나중에 악보출판하면서 번호 좀 매겨야겠다, 그런거죠.

    대략 후기낭만 이후, 목록이나 순서(작품번호) 필요없다고 생각하는 작곡가가 대거 늘어납니다. 그래서 쾨헬이니(K 혹은 Kv) 슈베르트 목록인 도이치(D) 등등의 재밌는(?) 용어가 싹 사라진 것이죠. 의미부여를 안한다는 겁니다. 요즘 작곡가들의 경우 조성을 쓰기도 하지만, 조성 자체가 파괴되기도 해서 가지각색이예요. 물론 꿋꿋하게 순서번호 붙이는 사람도 있습니다. 바이올린 소나타 1번, 현악 사중주 3번 하는 식으로.

    외국 연주자들 중에 작품번호에 둔감한 사람 많아요. 예컨대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27번 하면 모르고, 후기의 B플랫장조하면 이해하죠. 왜냐하면 27번이란 번호 설정을 모차르트가 한게 아니니까요.

    그냥 한가지는 기억해 두세요. 대중음악은 제목이 되게 중요하다, 그러나 클래식 음악은 거의 아니다.
    오페라 아리아에 제목이 있다고 생각하세요?
    없습니다. '저 별은 빛나건만' 이런 거 아리아의 원래 제목 아닙니다. 나중에 사람들이 대충 붙였어요. 아리아의 제목은 곧 그 아리아의 첫 가사로 대체됩니다. 제목 대신에 구별하기 위해서.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49937 부모님 의료비가 연말정산에 많이 도움되나요? 6 .. 2016/04/20 1,807
549936 피지오겔크림 매니아인분 있나요?? 2 궁금 2016/04/20 4,325
549935 기분 좋거나 기분 흥분되거나 설렐때가 없고 늘 짜증나고 신경질만.. 5 2016/04/20 1,797
549934 웃기다고 해야 하나? 어이없다 해야하나? 3 지나다 2016/04/20 1,258
549933 맹물 김치찌개 말씀하신 분 9 감사의 글 2016/04/20 2,889
549932 안경- 미국보다 한국이 싼가요? 16 눈뜬장님 2016/04/20 2,446
549931 가족이 저를 단체로 증오하면 독립이 답 맞나요? 3 가족상담 2016/04/20 1,940
549930 대표이사 면접까지 가면? 4 sss 2016/04/20 2,407
549929 염색 블랙빼기가 뭔가요? 1 ;;;;;;.. 2016/04/20 1,539
549928 옆집 아홉살 초등 남자아이.. 저와 다른 그아이 엄마와의 교육방.. 13 .. 2016/04/20 3,504
549927 드루킹? 11 뭐지 2016/04/20 2,362
549926 알파고~알파오~담에 뭐가나올까요~ㅎ 2016/04/20 869
549925 (기사) 어버이연합 “청와대가 보수집회 지시했다” 24 아무렴 2016/04/20 3,422
549924 어린이 화상영어 어떤가요? Jj 2016/04/20 703
549923 오븐에 야채가 들어가면 물이 너무 많이 생겨요 오븐 2016/04/20 648
549922 임플란트대신 브릿지 하신분들~~ 3 고민 2016/04/20 3,010
549921 여자들도 나이들면서 앞머리 탈모로 인해 이마가 넓어지나요? 3 이마 2016/04/20 3,586
549920 어떤 식재료 소화안되세요? 전 챔기름~~ 18 위장장애 2016/04/20 3,473
549919 눈높이 중국어 3 2016/04/20 1,737
549918 보험설계자하시는분께묻습니다. 2 ㅡㅡㅡㅡㅡ 2016/04/20 1,114
549917 비오니까 반찬에 집밥 먹기가 싫으네요. 10 비오는날 2016/04/20 3,429
549916 한국 '환율조작국' 대신 조작의심국 포함 가능성 수출로 먹고.. 2016/04/20 943
549915 참빗 이마트에 있을까요? 6 ㅇㅇ 2016/04/20 3,480
549914 어머님이 보낸 문자 지우는 남편 15 .. 2016/04/20 5,343
549913 더불어 민주당 지지하시는 님들 25 만약에 2016/04/20 1,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