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왜 클래식 음악은 작품번호 이렇게 나가는 걸까요?

어려움 조회수 : 1,890
작성일 : 2016-04-20 00:42:33

그냥 쉽게 제목을 붙이면 안되나요?

꼭 보면 작품번호 몇 장조 ~~ 뭐 외울 수도 없게 길어요. ㅠㅠ

지금도 그렇게 하나요?? 외국도 여전히 그러나요??

IP : 223.62.xxx.95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작가가 제목을 안 썼고
    '16.4.20 12:45 AM (1.228.xxx.147)

    후세에 발견되는대로 붙여져서 그런 거 아닌가요?...

  • 2.
    '16.4.20 12:48 AM (223.62.xxx.95)

    그렇다고 들었는데 지금 클래식 전공자들도 여전히 그런가요?? 궁금하네요. 지금 클래식하는 분들 작곡가들도 여전히 작품번호로만 제목을 다는지...

  • 3. 비전공자
    '16.4.20 1:15 AM (119.82.xxx.84)

    취미로 피아노치는 사람인데..
    일반인이 아는 유명한곡보다 안유명한 곡들이 더 많잖아요.
    그리고 곡마다 다 이름을 짓지도 않아요.
    작곡가마다 곡번호가 있고... 그 곡의 장조나 단조? 이런게 있고 그래서 그런거같은데..

  • 4. 듣는 사람 맘대로
    '16.4.20 1:54 AM (112.169.xxx.238) - 삭제된댓글

    일반 가요 같이 가사가 있는것도 아니니
    곡의 해석은 듣는 사람에게 맡긴다 이거 아닌가요?
    제목을 '자장가' 라고 붙인 곡을 듣고 질투,실연..이런 느낌을 받기 힘드므로..

  • 5. 생각
    '16.4.20 8:55 AM (116.40.xxx.2)

    작곡가들에게 제목은 대부분의 경우 의미가 없어요.
    작품을 쓸 때, 제목을 붙여야겠다는 생각은 드물게 나타나죠. 청각예술인 그 음악이 그냥 듣는 사람에게 흘러가는 거예요. 르네상스 바로크 이후 현대까지 별 차이 없습니다. 그러니 목록과 순서가 필요했죠. 그것도 고전 이후에나 그랬고, 그 이전에는 무심했어요. 나중에 악보출판하면서 번호 좀 매겨야겠다, 그런거죠.

    대략 후기낭만 이후, 목록이나 순서(작품번호) 필요없다고 생각하는 작곡가가 대거 늘어납니다. 그래서 쾨헬이니(K 혹은 Kv) 슈베르트 목록인 도이치(D) 등등의 재밌는(?) 용어가 싹 사라진 것이죠. 의미부여를 안한다는 겁니다. 요즘 작곡가들의 경우 조성을 쓰기도 하지만, 조성 자체가 파괴되기도 해서 가지각색이예요. 물론 꿋꿋하게 순서번호 붙이는 사람도 있습니다. 바이올린 소나타 1번, 현악 사중주 3번 하는 식으로.

    외국 연주자들 중에 작품번호에 둔감한 사람 많아요. 예컨대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27번 하면 모르고, 후기의 B플랫장조하면 이해하죠. 왜냐하면 27번이란 번호 설정을 모차르트가 한게 아니니까요.

    그냥 한가지는 기억해 두세요. 대중음악은 제목이 되게 중요하다, 그러나 클래식 음악은 거의 아니다.
    오페라 아리아에 제목이 있다고 생각하세요?
    없습니다. '저 별은 빛나건만' 이런 거 아리아의 원래 제목 아닙니다. 나중에 사람들이 대충 붙였어요. 아리아의 제목은 곧 그 아리아의 첫 가사로 대체됩니다. 제목 대신에 구별하기 위해서.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49897 지성과 외모는 둘다 가지기 힘들다고 14 ㅇㅇ 2016/04/20 3,951
549896 고딩2학년되면 열심히 공부해도 6 중간고사 2016/04/20 2,265
549895 폐토너 처리방법 문의 2 찾아봐도모름.. 2016/04/20 6,751
549894 안방 tv크기 4 1111 2016/04/20 3,023
549893 모임 1/n 하는데요 이런경우 27 ??? 2016/04/20 5,119
549892 설탕대신 스테비아같은 인공감미료는 괜찮을까요? 9 aaa 2016/04/20 2,411
549891 영어 잘하시는 분들 이것 한 줄만 부탁드립니다~~ 6 짧은 번역 2016/04/20 1,029
549890 요즘 방영하는 드라마 중 어떤게 재밌나요?추천부탁요 13 궁금 2016/04/20 3,099
549889 치과치료..신경치료...에 관해서 잘 아시는분 ㅠㅠ 3 계란 2016/04/20 2,448
549888 짠 잡채 어떻게 구제하나요 6 ..... 2016/04/20 2,007
549887 이쁘다는 소리 듣기 싫어요 8 싫다 2016/04/20 3,655
549886 북한에 돈 바치는 종편과 지상파 방송국 1 무식한 농부.. 2016/04/20 675
549885 중간고사 시험문제집,, 5 중1아들맘 2016/04/20 1,291
549884 호남은 더 이상 민주당 지지하지 않아요 46 호남 2016/04/20 2,928
549883 정말 궁금해서요. 샤넬백에 나온 가방 가격이요 6 별거 아님 2016/04/20 3,403
549882 변기에 스펀지 빠졌어요 3 ^^* 2016/04/20 1,193
549881 할머니가 위암3기 판정을 받으셨어요 수술을 해야할지.. 11 손녀 2016/04/20 3,790
549880 병원 어느 과를 가야할까요? 3 .. 2016/04/20 869
549879 허리가 아픈데 왜일까요? 좀 봐주세요! 2 Dddd 2016/04/20 919
549878 김수현드라마 "작별" 기억나세요? 31 ㅇㅇ 2016/04/20 13,115
549877 까만게 콤플렉스인 아이..오이마사지 도움될까요?ㅜ 17 궁금 2016/04/20 2,643
549876 냉장고에서 8일 된 전복 전복아 2016/04/20 531
549875 청약예금 해약해도 될까요? 4 조언부탁 2016/04/20 2,144
549874 부산 한번가기 참 어렵네요.. 저만 그런가요?;; 8 부산 2016/04/20 1,817
549873 김밥 소화 안되는거 맞죠? ㅠ.ㅠ. 18 니모 2016/04/20 12,0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