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왜 클래식 음악은 작품번호 이렇게 나가는 걸까요?

어려움 조회수 : 1,881
작성일 : 2016-04-20 00:42:33

그냥 쉽게 제목을 붙이면 안되나요?

꼭 보면 작품번호 몇 장조 ~~ 뭐 외울 수도 없게 길어요. ㅠㅠ

지금도 그렇게 하나요?? 외국도 여전히 그러나요??

IP : 223.62.xxx.95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작가가 제목을 안 썼고
    '16.4.20 12:45 AM (1.228.xxx.147)

    후세에 발견되는대로 붙여져서 그런 거 아닌가요?...

  • 2.
    '16.4.20 12:48 AM (223.62.xxx.95)

    그렇다고 들었는데 지금 클래식 전공자들도 여전히 그런가요?? 궁금하네요. 지금 클래식하는 분들 작곡가들도 여전히 작품번호로만 제목을 다는지...

  • 3. 비전공자
    '16.4.20 1:15 AM (119.82.xxx.84)

    취미로 피아노치는 사람인데..
    일반인이 아는 유명한곡보다 안유명한 곡들이 더 많잖아요.
    그리고 곡마다 다 이름을 짓지도 않아요.
    작곡가마다 곡번호가 있고... 그 곡의 장조나 단조? 이런게 있고 그래서 그런거같은데..

  • 4. 듣는 사람 맘대로
    '16.4.20 1:54 AM (112.169.xxx.238) - 삭제된댓글

    일반 가요 같이 가사가 있는것도 아니니
    곡의 해석은 듣는 사람에게 맡긴다 이거 아닌가요?
    제목을 '자장가' 라고 붙인 곡을 듣고 질투,실연..이런 느낌을 받기 힘드므로..

  • 5. 생각
    '16.4.20 8:55 AM (116.40.xxx.2)

    작곡가들에게 제목은 대부분의 경우 의미가 없어요.
    작품을 쓸 때, 제목을 붙여야겠다는 생각은 드물게 나타나죠. 청각예술인 그 음악이 그냥 듣는 사람에게 흘러가는 거예요. 르네상스 바로크 이후 현대까지 별 차이 없습니다. 그러니 목록과 순서가 필요했죠. 그것도 고전 이후에나 그랬고, 그 이전에는 무심했어요. 나중에 악보출판하면서 번호 좀 매겨야겠다, 그런거죠.

    대략 후기낭만 이후, 목록이나 순서(작품번호) 필요없다고 생각하는 작곡가가 대거 늘어납니다. 그래서 쾨헬이니(K 혹은 Kv) 슈베르트 목록인 도이치(D) 등등의 재밌는(?) 용어가 싹 사라진 것이죠. 의미부여를 안한다는 겁니다. 요즘 작곡가들의 경우 조성을 쓰기도 하지만, 조성 자체가 파괴되기도 해서 가지각색이예요. 물론 꿋꿋하게 순서번호 붙이는 사람도 있습니다. 바이올린 소나타 1번, 현악 사중주 3번 하는 식으로.

    외국 연주자들 중에 작품번호에 둔감한 사람 많아요. 예컨대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27번 하면 모르고, 후기의 B플랫장조하면 이해하죠. 왜냐하면 27번이란 번호 설정을 모차르트가 한게 아니니까요.

    그냥 한가지는 기억해 두세요. 대중음악은 제목이 되게 중요하다, 그러나 클래식 음악은 거의 아니다.
    오페라 아리아에 제목이 있다고 생각하세요?
    없습니다. '저 별은 빛나건만' 이런 거 아리아의 원래 제목 아닙니다. 나중에 사람들이 대충 붙였어요. 아리아의 제목은 곧 그 아리아의 첫 가사로 대체됩니다. 제목 대신에 구별하기 위해서.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52710 ˝朴대통령의 私黨 아닌데…˝ 속 끓는 與 1 세우실 2016/04/28 1,058
552709 올 첫날부터 오늘까지 얼마 저금하셨어요? 6 오늘은 월급.. 2016/04/28 1,423
552708 급) 카페라떼 어제 샀는데 오늘 먹어도 괜찮겠죠?? 7 ㅠㅠ 2016/04/28 1,226
552707 선 보기로 한 상대 사진이 맘에 안 드는데...;; 5 ㅇㅇ 2016/04/28 1,497
552706 어릴때 성추행한 선생이 있었어요 7 ㄷㄴㄷㄴ 2016/04/28 3,084
552705 부산에 일본주방용품 많이 파는곳 있을까요? 5 슈크레 2016/04/28 1,497
552704 일반고 스타일, 자사고 스타일?? 23 고등학교 2016/04/28 3,354
552703 작년 8월 14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한 후 4 zzz 2016/04/28 1,598
552702 주얼리 세팅(?) 잘하는 곳 좀 1 궁금 2016/04/28 1,103
552701 인생 살면서 50대 후반에 망하고 다시 일어서고 이런게 가끔 있.. 7 ... 2016/04/28 3,883
552700 방향제를 많이 뿌리는데 오늘은 숨쉴때마다 폐로 들어오는것같고 4 회사직원이 2016/04/28 1,252
552699 다이어트 하고 싶어요 10 ㅇㅇ 2016/04/28 2,063
552698 여권만료일이 5월 1일인데 여행 가능한 방법이 없을까요? 6 만수무강 2016/04/28 1,704
552697 라식검사하고 왔어요 완전 체력고갈 ㅜㅜ 14 베이베 2016/04/28 2,028
552696 카톡을 동시에 두기계에서 사용 가능한가요? 5 겨울 2016/04/28 1,939
552695 사과식초랑 양조식초 어떤거 쓰세요? 8 식초 2016/04/28 4,995
552694 서러운 마음에 글써봅니다 8 ..... 2016/04/28 3,234
552693 한의원 치료 괜찮을까요? 4 잔기침 여고.. 2016/04/28 974
552692 린넨 침구 잘 아시는 분께 조언을 부탁드려요 4 침구 2016/04/28 1,587
552691 아파트 담배연기 범인은 누구일까요? 4 체스터쿵 2016/04/28 1,567
552690 급여계산 좀 도와주세요. 12 동안 2016/04/28 1,589
552689 특정번호 수신 거부하게 설정되는 전화기는 없을까요? 6 전화기 2016/04/28 3,142
552688 딸아이의 눈물 8 엄마 2016/04/28 2,770
552687 김종인 할아버지가 더민주당을 귀족당으로 만들 생각인가! 4 2016/04/28 1,143
552686 주말농장에 옆집 아줌마~ 4 ... 2016/04/28 2,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