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왜 클래식 음악은 작품번호 이렇게 나가는 걸까요?

어려움 조회수 : 1,937
작성일 : 2016-04-20 00:42:33

그냥 쉽게 제목을 붙이면 안되나요?

꼭 보면 작품번호 몇 장조 ~~ 뭐 외울 수도 없게 길어요. ㅠㅠ

지금도 그렇게 하나요?? 외국도 여전히 그러나요??

IP : 223.62.xxx.95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작가가 제목을 안 썼고
    '16.4.20 12:45 AM (1.228.xxx.147)

    후세에 발견되는대로 붙여져서 그런 거 아닌가요?...

  • 2.
    '16.4.20 12:48 AM (223.62.xxx.95)

    그렇다고 들었는데 지금 클래식 전공자들도 여전히 그런가요?? 궁금하네요. 지금 클래식하는 분들 작곡가들도 여전히 작품번호로만 제목을 다는지...

  • 3. 비전공자
    '16.4.20 1:15 AM (119.82.xxx.84)

    취미로 피아노치는 사람인데..
    일반인이 아는 유명한곡보다 안유명한 곡들이 더 많잖아요.
    그리고 곡마다 다 이름을 짓지도 않아요.
    작곡가마다 곡번호가 있고... 그 곡의 장조나 단조? 이런게 있고 그래서 그런거같은데..

  • 4. 듣는 사람 맘대로
    '16.4.20 1:54 AM (112.169.xxx.238) - 삭제된댓글

    일반 가요 같이 가사가 있는것도 아니니
    곡의 해석은 듣는 사람에게 맡긴다 이거 아닌가요?
    제목을 '자장가' 라고 붙인 곡을 듣고 질투,실연..이런 느낌을 받기 힘드므로..

  • 5. 생각
    '16.4.20 8:55 AM (116.40.xxx.2)

    작곡가들에게 제목은 대부분의 경우 의미가 없어요.
    작품을 쓸 때, 제목을 붙여야겠다는 생각은 드물게 나타나죠. 청각예술인 그 음악이 그냥 듣는 사람에게 흘러가는 거예요. 르네상스 바로크 이후 현대까지 별 차이 없습니다. 그러니 목록과 순서가 필요했죠. 그것도 고전 이후에나 그랬고, 그 이전에는 무심했어요. 나중에 악보출판하면서 번호 좀 매겨야겠다, 그런거죠.

    대략 후기낭만 이후, 목록이나 순서(작품번호) 필요없다고 생각하는 작곡가가 대거 늘어납니다. 그래서 쾨헬이니(K 혹은 Kv) 슈베르트 목록인 도이치(D) 등등의 재밌는(?) 용어가 싹 사라진 것이죠. 의미부여를 안한다는 겁니다. 요즘 작곡가들의 경우 조성을 쓰기도 하지만, 조성 자체가 파괴되기도 해서 가지각색이예요. 물론 꿋꿋하게 순서번호 붙이는 사람도 있습니다. 바이올린 소나타 1번, 현악 사중주 3번 하는 식으로.

    외국 연주자들 중에 작품번호에 둔감한 사람 많아요. 예컨대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27번 하면 모르고, 후기의 B플랫장조하면 이해하죠. 왜냐하면 27번이란 번호 설정을 모차르트가 한게 아니니까요.

    그냥 한가지는 기억해 두세요. 대중음악은 제목이 되게 중요하다, 그러나 클래식 음악은 거의 아니다.
    오페라 아리아에 제목이 있다고 생각하세요?
    없습니다. '저 별은 빛나건만' 이런 거 아리아의 원래 제목 아닙니다. 나중에 사람들이 대충 붙였어요. 아리아의 제목은 곧 그 아리아의 첫 가사로 대체됩니다. 제목 대신에 구별하기 위해서.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91418 중학생 체험학습 갈때 수행평가는 어떻게 하나요? 3 궁금 2016/08/31 936
591417 아파트동옆에 빨간높은굴뚝 그건 뭐에요? 1 건강이 2016/08/31 810
591416 기본도 없는 사람들이 꽤 있네요 9 에티켓 2016/08/31 2,175
591415 또 등장한 ‘익명’…우병우 수석이 직접 ‘정치 공작’ 조종하나 .. 3 세우실 2016/08/31 871
591414 문자 답에 넹! 하는 사람 어때요? 39 사람 2016/08/31 8,571
591413 혼자 차 타는 엄마한테 서운해요. 255 abc 2016/08/31 28,449
591412 강아지가 고양이 간식 먹어도 될까요? 6 두리맘 2016/08/31 6,473
591411 불청 본 후 궁금한점.. (외모관련..) 3 궁금 2016/08/31 2,127
591410 다 늙어 이제야 이쁘다는 남편 5 흥칫 2016/08/31 2,746
591409 땀돌이 초등 무얼 입히시나요 3 땀돌이 2016/08/31 444
591408 냄새나는방 냄새 어떻게 없앨까요? 1 미래 2016/08/31 1,314
591407 문화의날 오늘 2016/08/31 390
591406 흑설탕 물마사지하면 세면대 벽,주변 다 난리나지 않나요? 7 흑설탕마사지.. 2016/08/31 1,953
591405 얼굴쳐짐 1 얼굴 2016/08/31 1,440
591404 결혼예정 집문제, 뭐가 더 나을까요? 19 고민중 2016/08/31 3,188
591403 유인나도 사드덕분에 12 사드반대 2016/08/31 4,931
591402 면세점 콤팩트 커버력 좋은거 추천해 주세요. 1 팩트 2016/08/31 1,673
591401 이노래좀찾아주세요 ㅡ 7 ... 2016/08/31 565
591400 변기에 버리는 음식물 21 궁금이 2016/08/31 13,709
591399 구르미그린달빚 영의정 어떻게 엿먹이는 거였나요? 6 동그라미 2016/08/31 2,903
591398 믹스커피 구입하실분 2 풍경 2016/08/31 2,270
591397 발런티어 하면서 허구헌날 늦는 여자 2 dm 2016/08/31 1,574
591396 어제 잠 못잤어요.. 3 .... 2016/08/31 1,336
591395 17도라네요. 지난주만 해도 체감온도 40 넘고 15 도깨비 2016/08/31 4,329
591394 오늘 강릉 날씨 많이 안좋나요? 3 연필깎이 2016/08/31 8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