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김치 담가 먹기 시작했네요

.... 조회수 : 2,392
작성일 : 2016-04-19 23:34:44

20년차 주부입니다. 전업된 지는 일년 남짓.

최근에 김치를 담가 먹기 시작했어요..

요리는 남들과 비교해서 빠지지 않게 합니다.

갈비찜도 잘하고 파스타도 소스별로 할 줄 알고 간단한 중식, 일식에 베이킹도 하고 ㅋㅋ

이런 제가 잘하지 못하는 게 두 가지가 있는데 바로 김치와 밑반찬!!!

멸치볶음, 연근졸임, 깻잎 장아찌 뭐 이런 거요.

그동안 이 둘은 시댁과 친정에서 해주셔서 제가 할 기회가 없었어요.

다들 알다시피 안 가져오면 화 내고 섭섭해해서...저도 다 먹지 못해

많이 버렸답니다. 최근엔 거의 가지 오지 않았고요.  김장할 때는 가지만 거드는 수준.

그러다가 양가 어머니께서 사정상 김치를 못해주셔서 몇 번 사먹었는데

오 마이 갓. 동네 재래시장에서 겉절이 샀는데 어쩜 맛이 그렇게 없는지...

전에 살던 동네는 정말 맛있었는데..게다가 제가 살림 못하게 생겼는지 얼마나 비싸게 받던지..

에휴..하지만 그 아주머니 덕분에 김치 담가 먹는데 괜찮네요^^

겉절이하고 오이소박이, 파김치 담갔는데 먹을만. 이제부터 살살 해보려고요.

그나저나 김치맛은 잘 절이는 것과 젓갈이 좋아야 하는 것 같아요.

젓갈 추천 좀 ㅋㅋ(친정엄마는 사다가 집에서 달이고 어쩌고 하시며 몇 년씩 보관해두고 쓰던데 그것까지는 차마...)

 

IP : 121.165.xxx.21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보리보리11
    '16.4.19 11:42 PM (211.228.xxx.146)

    김치는 절이는게 반이예요. 그것만 잘해도 반은 맛있는 김치가 됩니다. 전 중딩때부터 김치만들어 먹었어도 아직도 엄마김치 못 따라가요. 금방 할때는 차이가 없는데 익어가면서 맛이 달라지더라구요. 물론 맛없는 쪽으로...김치가 제일 어려워요.

  • 2. ...
    '16.4.20 12:02 AM (122.40.xxx.85)

    저는 숙성과정이 제일 중요한것 같아요.
    덜 절여져도 숙성될때까지 공기차단하고 열지 않으면 맛있게 익어요.

  • 3. 진짜
    '16.4.20 12:25 AM (223.62.xxx.81)

    젓갈 달이는것 쉬워요
    그거 먹다가 시판 액젓은 맛없어서
    못먹겠더라구요
    젓갈 상회가면 금풍?인가 통에 멸치 삭힌거
    사다가 끓여서 창호지 두장받쳐서 거르면 됩니다

  • 4. 젓갈을
    '16.4.20 11:00 AM (175.126.xxx.29)

    여러종류 섞어서 해보세요.
    새우젓(전 광천새우젓 7천원짜리?그거 써요)하고
    까나리액젓,멸치액젓...등등 서너가지 섞어쓰면 그나마 좀 나은거 같아요.

  • 5. 저의 kick!
    '16.4.20 3:05 PM (218.234.xxx.133)

    그닥 요리 잘하는 편은 아닌데요, 김치는 좀 맛있게 담그는 듯해요.
    (담그기 전에 여러 종류로 김치 사먹어봤는데 비교해서 맛있는 듯... )

    저의 김치 담그는 팁은 갈치속젓입니다..
    옛날에 엄마가 김장할 땐 젓국 다리고 막 그랬는데 전 그렇게까지는 못하겠고요,
    노량진에서 갈치속젓 1킬로 정도 사와요. (만원 안될 걸요? 다 안써요. 남는 건 젓갈로 먹음)
    넣는 양은 액젓의 3분의 1정도? (따라서 기존 액젓, 새우젓 양을 줄여야죠..)
    믹서기에 김치 양념들하고 함께 엄청 고르게 갈아서 양념.
    갈치젓이 달달하잖아요. 그래서 김치가 좀더 달달하게 맛있어지는 듯.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50572 35-45미혼여성분의 노화불안과 삶의 질에 대한 연구 설문응답좀.. 9 기프티콘답례.. 2016/04/22 3,054
550571 제가 한 다이어트 - 도대체 이해가 안 되는 대목이 있어요 8 다이어트 2016/04/22 2,234
550570 신부측 가족들 한복 색상은 핑크톤 으로 하나요 8 2016/04/22 1,782
550569 친조카 결혼식에 축의금을 보통 얼마나 하시나요? 18 곰곰이 2016/04/22 29,144
550568 저희집에 안 떨어지게 사놓는 것 중에 하나가 옥시크린인데 18 .... 2016/04/22 6,116
550567 이런 사람 어떻게 해야하나요? 5 봄비 2016/04/22 1,572
550566 아이패드 뒷면이 깨졌어요 3 아이패드 2016/04/22 663
550565 아파트 매매가가 1억8500이면 취득세가 2,035,000원인데.. 12 ... 2016/04/22 2,925
550564 요즘 다이아몬드 가격 궁금이 2016/04/22 971
550563 베란다바닥에 뭘깔아야할까요? 4 문의 2016/04/22 1,458
550562 운전면허 4달만에 합격했어요~~ 16 ^__^ 2016/04/22 3,204
550561 기승전 나에게 화살 1 주부 2016/04/22 747
550560 [갤럽] 대통령 지지율 30% 붕괴 3 ㅎㅎㅎ 2016/04/22 902
550559 바람막이와 방풍자켓이 같은건가요? 5 제어 2016/04/22 1,446
550558 5월부터 샤넬가격인상된다는거요 11 땅지맘 2016/04/22 4,212
550557 아마존 냉장배송 문의합니다 5 직구문의 2016/04/22 810
550556 프린스가 사망했군요... 하나씩 떠나니 허무하네요. 5 Prince.. 2016/04/22 1,719
550555 윤석화 학력위조 관련 기사 보다가... 25 ... 2016/04/22 7,111
550554 김밥한줄 4000원씩이나 3 ㅠㅠ 2016/04/22 3,088
550553 이혼상담 받으러 갈때요 여자 변호사나 법무사가 좋을까요? 1 .. 2016/04/22 1,372
550552 일산쪽 과학과외 2 과학쌤 2016/04/22 805
550551 노력의 가치 1 강태공 2016/04/22 598
550550 어버이연합 "전경련 돈 받았지만, 무료급식 위한 것&q.. 8 샬랄라 2016/04/22 1,209
550549 이태원에 책읽기 좋은 카페나 갈곳 추천해주세요 3 Ejrqh 2016/04/22 975
550548 야채는 일본식 단어가 아니에요 10 아니에요 2016/04/22 2,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