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근데 그냥 공부보다 기술 설계 이런쪽이 더 어렵지 않나요?

dsfd 조회수 : 1,162
작성일 : 2016-04-05 16:30:58

어렸을때보면 공부못하는애들이 공고 실업고 가잖아요

그리고 전문대 무슨 입결낮은 대학일수록 기술쪽에 초점이 맞춰져있는데

사실 문과보다(경제학 빼고) 기술이나 설계쪽이 더 어렵지않나요?


근데 왜 공부못하는사람일수록 이런쪽으로 빨리 길을 틀거나 빠지는걸까요?

고등학교도 일반고가서 중학교때배운거 좀더심화해서 배우는게 더 수월하지않나요?

그리고 공고 전문대 이런데서 가르치는 기술 설계같은게

 공부못하는애들이 따라갈수 있는 그런수준인건가요?

진심 궁금합니다. 중고등때 공부못하던애들 기술 설계쪽으로 빠져서 밥벌이하고 사는사람들


어떻게 중고등학교때 공부는못했는데 그 복잡한 설계도는 익혀서 돈은 버는걸까요?

설계도도 보면 엄청나게복잡한데 그런애들이  하는거보면 신기해서요

(물론 설카포 넘사벽 공대도 있지만요)

알보고면 간단하고 빨리배우고 그런건가요?

IP : 221.238.xxx.23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oops
    '16.4.5 4:34 PM (121.175.xxx.130) - 삭제된댓글

    기능과 기술의 차이겠죠.

    공업계 실업고 등에서 가르치는 기술이란 건 사실 거의 대부분 기능영역이죠.

  • 2. ㅎㅎ
    '16.4.5 4:36 PM (220.85.xxx.210) - 삭제된댓글

    기능이되면 기술도 늘겠지요
    이론으로 먼저 접하는것보다
    현장에서 체득하고 나면
    설계도가 저절로 머릿속에 들어올것같은데요
    우리도 음식 해 본것과 설명만 듣는것과 다르듯
    좀 해본사람은 설명만으로 응용도 된다는거

  • 3. oops
    '16.4.5 4:40 PM (121.175.xxx.130)

    기능과 기술의 차이겠죠.
    공업계 실업고 등에서 가르치는 기술이란 건 사실 거의 대부분 기능영역이죠.

    예를 드신 설계도 경우에도
    그런 설계도를 머릿속으로 생각하는 걸 그려내는 게 기술영역이라면
    기능영역에선 이미 작성된 설계도를 읽어내는 요령이나 규칙?같은 걸 익히는 것이죠.

  • 4. 윗님
    '16.4.5 4:58 PM (119.14.xxx.20)

    말씀이 얼추 맞고요.

    기능은 실물 가지고 반복적으로 익히면 습득가능하잖아요.
    유추해내고 뭔가를 창조해내야 하는 분야가 아니니까요.

    아마 공고에서는 그 기능을 중점적으로 배울 거예요.

    하지만, 그 기능습득이라고 쉬운 건 아닐테고, 성실이 바탕이 돼야 숙련공도 되고 하겠죠.
    그렇게 일단 숙련공 되고 성실하면 잘 먹고 잘 살 수 있어요.

    그러니 어른들이 공부 안 되면 기술 배우라 하는 거고, 그 때 말하는 기술은 기능을 얘기하는 경우가 많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68946 보험회사에 면접 복장 질문. ..... 2016/06/22 708
568945 중형에서 대형suv...운전 잘 할 수 있을까요? 16 ... 2016/06/22 2,565
568944 버락 오바마씨..우리는 당신들의 노예가 아닙니다. 11 성난민중 2016/06/22 1,702
568943 옷 수선 잘하는 곳 가면요 5 dd 2016/06/22 1,422
568942 돈으로 할 수 없는 게 뭐가 있을까요? 18 돈만세 2016/06/22 3,124
568941 일산에 조용히 책만 읽는 카페 없나요? 8 2016/06/22 1,746
568940 부추넣고 밥을 해도 될까요 6 우엉밥 2016/06/22 1,545
568939 시어머니 육아간섭... 16 휴우 2016/06/22 4,347
568938 여윳돈으로 소형아파트 매매하고 싶어서요 34 긴 장마 2016/06/22 9,062
568937 연봉설명좀 해주세요 6 ㅜㅜ 2016/06/22 1,196
568936 니 자로 시작하는 말 어떤게 있나요 44 아프다 2016/06/22 9,208
568935 일기예보가 안맞네요 8 우산 2016/06/22 1,999
568934 미세먼지 수치 현재 인천과 서울이 가장 높음 3 ㅜㅜ 2016/06/22 1,090
568933 두려움 때문에 회사를 못그만두고 9 ㅇㅇ 2016/06/22 2,327
568932 (질문) 남편명의 시부모님께 빌려주면 무슨 문제가 생기나요? 10 새댁 2016/06/22 1,752
568931 암보험 2천만원 보장이면 정확히 2천만 원 입금되나요. 7 . 2016/06/22 2,499
568930 옥시 뉴스 어디갔니? 국민연금, 지난해 '옥시·SK케미칼' 등에.. 3 옥수수 말고.. 2016/06/22 589
568929 이재명“위안부 유네스코’ 예산삭감.朴정부는 부활한 조선총독부인가.. 3 ㄹㄹ 2016/06/22 779
568928 70대 할머님 선물 뭐가 좋을까요 2 :: 2016/06/22 808
568927 서울 동쪽 비와요 12 드디어 2016/06/22 1,426
568926 창문 열었더니 살거같네요 7 소나기 2016/06/22 2,046
568925 오이지 물러서 다버린 주부에요..도움좀.. 6 도움 2016/06/22 2,156
568924 아파트에서 김치냉장고 땜에 화재가 났다는데 어떻게 청소해야 하나.. 6 .. 2016/06/22 2,629
568923 아기 이유식 대충 먹어도 잘크나요?ㅜㅜ 14 2016/06/22 3,272
568922 왜 운전하면 새로운 세계가 열린다 했는지 알겠어요. 너무 좋네요.. 17 좋으다 2016/06/22 5,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