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국민연금 얼마씩들 넣으세요

조회수 : 3,545
작성일 : 2016-04-01 10:28:17

국민연금 넣지 않고 있다가

40대 후반에 뒤늦게 급했나봐요.

차후 국민연금 고갈,  수익율  .. 등등 국민연금에 대한 꼬릿말들이

참 많네요.

여러분들은 얼마씩 넣으세요?


20만원 저는 생각하고 있는데, 오늘 전화로 가입할까 싶어요.

근데 왜이리 망서려만 지는지..

IP : 115.139.xxx.56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6.4.1 10:31 AM (122.46.xxx.75)

    첨 시작부터12만원조금넘게내고있어요

  • 2. ㄱㄴㄷ
    '16.4.1 10:35 AM (59.16.xxx.47)

    저도 매일같이 고민하고 있어요
    한쪽 사망시 버리는 돈이 될까봐요 둘다 골골해서 얼마나 오래살지도 모르겠구요

  • 3. dma
    '16.4.1 10:38 AM (119.192.xxx.184) - 삭제된댓글

    가정주부인 저는 안넣고 있어요.
    이거 몇년전에도 고민 많이 했었는데...
    부부 둘다 오래살면 둘다 오래 연금 받을수 있으니 정말 좋은 제도인건 맞는데.. 전화해서 물어보니, 만일 남편이 먼저 죽으면, 남편 유족연금과 내 국민연금 중에 선택해서 하나만 받는거더라구요. 짜증나게.
    그럼 내 연금을 선택하면 남편 연금은 그냥 날라가는거냐? 물었더니 그렇다며. 국민연금 자체가 오래 사시는 분들에게 좋게 설계된거라며.

  • 4. ...
    '16.4.1 10:39 AM (220.75.xxx.29)

    많이 넣는다고 많이 받는 거 아니에요.
    공적부조성격이라 있는 사람이 없는 사람 도와주는 면 있기에 납입액과 수령액이 비례하지않는다고 알아요.
    저는 직장다닐 때 10년 넘게 넣어놔서 추가로 10만몇천원 정도만 넣고 있습니다.

  • 5.
    '16.4.1 10:40 AM (119.192.xxx.184)

    가정주부인 저는 안넣고 있어요.
    이거 몇년전에도 고민 많이 했었는데...
    부부 둘다 오래살면 둘다 오래 연금 받을수 있으니 정말 좋은 제도인건 맞는데.. 전화해서 물어보니, 만일 남편이 먼저 죽으면, 남편 유족연금과 내 국민연금 중에 선택해서 하나만 받는거더라구요. 짜증나게.
    그럼 내 연금을 선택하면 남편 연금은 그냥 날라가는거냐? 물었더니 그렇다며.
    국민연금 자체가 오래 사시는 분들 지원 잘 되도록 설계된거라며.
    남편 사망시, 내 연금에 남편 연금 몇프로 정도라도 같이 나온다면 지금이라도 가입하겠지만 그게 아니라면.. 뭐.

  • 6. 그럼
    '16.4.1 10:51 AM (115.139.xxx.56)

    부부가 같이 국민연금 넣다가, 남편이 사망한 경우
    내연금 유족연금을 더해 받는게 아니라,
    유족연금을 선택하면 내가 넣어왔던 연금은 사라진단 말인가요???

  • 7. ㅇㅇ
    '16.4.1 10:52 AM (211.114.xxx.99)

    저는 직장을 다녀서 급여에서 7만 얼마씩 빠져나가네요
    직장에서 반을 내주니까 15만원 정도 들어가는 것 같은데요
    국민연금 조회해보면 이금액으로 60세까지 납부했을때
    50만원정도 타는걸로 나오네요...

  • 8.
    '16.4.1 10:57 AM (183.98.xxx.46)

    부부가 동시 가입자인 경우 한 쪽이 사망하면
    배우자 연금액의 70프로?를 받을 건지, 내 연금액을 받을 건지 한 쪽을 선택하게 되어 있어요.
    남편이 150만, 제가 50만원 받을 경우
    남편 사망시 남편 수령액의 70프로 받는 걸로 선택하는 게 더 유리한 거죠.
    그래서 한 쪽 사망시 대비해서 부부가 둘 다 고액의 국민연금을 가입하는 것보다
    한 쪽은 소액만 가입하는 게 낫다고 해요.

  • 9. 맞아요
    '16.4.1 11:00 AM (115.140.xxx.216) - 삭제된댓글

    유족연금과 내 연금 중 택1이에요
    국민연금이 저축이 아니라 은퇴후 생활을 지원하는 안전망 개념이라 그렇답니다
    저희 부부는 강제나 임의나 무조건 쭉 넣고 있어요
    주변에 노인들 보니 연금수입 액수에 따라 삶의 질이 완전히 갈리는 걸 봐서요

  • 10.
    '16.4.1 11:11 AM (116.36.xxx.198)

    가장 적은거, 9만원정도 나가요.
    유족연금 땜에 아까운거 아닌가 생각도 했는데
    뭐 받기 시작할 때 딱 맞춰서 둘 중 하나 죽을지 아닐지
    모르는거고...맘 편히 넣기로 했어요.
    일반 연금보다 더 이익이라더군요.
    물가상승에 따라 연금 수령액도 는다고 하구요.

  • 11. ditto
    '16.4.1 11:36 AM (39.121.xxx.69)

    저희 엄마는 아버지 돌아가시고 유족 연금 매달 얼마씩 받다가 엄마 본인의 연금 개시일이 되니 둘 중에 더 적은 금액으로 지급한다고 통지되더군요 부부 둘 다 넣으시려는 분들은 참고하세요

  • 12. 저는
    '16.4.1 12:14 PM (221.149.xxx.208)

    그냥 남편 연금으로 받으려구요,
    다 못채운 제 연금은 받을 수 있을 때되면 그냥 일시불로 받으렵니다.
    그나 저나 요즘 국민연금 관련 글들이 많이 올라오네요.

  • 13. 00
    '16.4.11 9:00 PM (223.62.xxx.41)

    더적은금액이 아니라 더많은금액이요.
    내연금 유족 20퍼 또는 유족만 둘중 유리한거 본인선택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44687 화장실 하수도 뚜껑 열려야 하는건가요? 1 ^^* 2016/04/05 537
544686 3.5센치정도의 크기면 폐암 몇기일까요? 6 폐암 2016/04/05 8,629
544685 육아 힘들다고 계속 하소연 하는 친구.. 11 ... 2016/04/05 6,360
544684 퇴근길.. 생일인데 눈물나요 17 .... 2016/04/05 4,052
544683 전복죽에 뭘 더 넣으면될까요? 7 전복죽 2016/04/05 1,224
544682 여자가 아이낳음 세지나요? 17 곧 줌마 2016/04/05 3,118
544681 여러분이라면 어케하실지... 2 에고이스트 2016/04/05 847
544680 인플란트후 4 ... 2016/04/05 1,516
544679 검은콩 초절임 하려고 하는데요 2 콩콩이 2016/04/05 1,148
544678 요즘 머리 많이 빠지는 시기인가요? ㅣㅣ 2016/04/05 1,054
544677 기미랑 검버섯이 어떻게 다른가요? 2 얼굴 2016/04/05 2,112
544676 돈모으는 앱 날씨좋다 2016/04/05 678
544675 오늘 저녁에 집에가서 마구 버려야겠어요.. 3 완전 깨끗한.. 2016/04/05 2,788
544674 코스트코 캐셔로 취직하고 싶어요. ㅜ ㅜ 23 처음본순간 2016/04/05 29,152
544673 초등학교가 단지내에 없는 경우 매일 데려다 주시나요? 5 ... 2016/04/05 1,018
544672 먹방하시는 분들 말이죠 5 부러웡 2016/04/05 4,504
544671 밑에 사투리 얘기나와서.. 15 ㅑㅑ 2016/04/05 2,519
544670 아동 브랜드인데 i♡jesus 라는 브랜드 아세요? 6 . . 2016/04/05 1,726
544669 대학은 왜 수시로 많이 뽑는걸까요 30 ㅇㅇ 2016/04/05 4,653
544668 교회 다니시는 분들 만 봐주세요 10 ** 2016/04/05 1,618
544667 아이 종교활동..저학년..기독교싫지만 ..교회어린이반 다니면 .. 10 초등저학년 2016/04/05 1,687
544666 [연구] 나쁜 음식으로 오해받던 다섯 음식, 누명 벗다 11 풀잎 2016/04/05 6,539
544665 (펌)페미니스트 남자를 만나는 방법이래요 24 타자 2016/04/05 4,926
544664 직원이 한명일 경우에도 4대보험 다 가입해야 하나요? 4 4대보험 2016/04/05 1,278
544663 근데 그냥 공부보다 기술 설계 이런쪽이 더 어렵지 않나요? 3 dsfd 2016/04/05 1,0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