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수시는 왜 이렇게 확대된건가요?

학부모 조회수 : 3,323
작성일 : 2016-03-21 14:56:14

새로운 정부가 들어설때마다 대입제도는 빠지지 않는 공약이죠

교육의 중요성을 떠나 인기를 얻기 가장 좋은 방법이잖아요

처음엔 한 가지만 잘해도 대학을 갈 수 있다는 취지로 수시가 생겼다고 들었어요

제가 고등학생 학부모가 되서 입시제도나 의견글들을 읽다보면

수시 확대에 대해 상당히 불만이 많고 아이들이나 엄마나 다 부담스러워하면서

수능을 좀 변별력 있게 내서 정시를 확대하자는 의견이 많아요

그래야 운이 덜 작용하고 결과에 수긍할 수 있다고요

그런데 어째서 수시는 점점 더 확대가 되고 정시는 점점 축소가 되는 분위기인건가요?





IP : 61.74.xxx.54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진짜
    '16.3.21 3:01 PM (175.201.xxx.241)

    미국교육에서 영향을 받은것같은데
    우리와 미국은 사람들의 마인드나
    주변환경이 다르죠.
    지금은 수시가 70%인데
    반대로 정시가 70%였음 합니다

  • 2.
    '16.3.21 3:03 PM (211.246.xxx.201)

    쉬운 수능탓과 ebs 연계탓이죠

    거기에 고2부터는 한번 더 수시가 대폭늘죠
    영 어절대평가해서 대학에선 영어가 중요한데
    정시엔 영어 안들아가니 누가 정시 뽑겠어요?
    영어절대평가 발표하고 100프로 수시하는 학교도 -서강대
    있고 고려대도 수시가 85프로
    기타등등

    따지고 보면 ebs 에서 다 알려주고 시험보게하는 게 이상하지않나요?

    국민들이 아둔해서 좋다고 지지하는것도 한몫하죠

    여기도 수시 지지하는 엄마들 되게 많아요

  • 3. 학교 생활 열심히
    '16.3.21 3:04 PM (211.245.xxx.178)

    한 애들도 기회주는 의미에서 수시 제도가 아주 나쁘지는 않다고 봐요.
    수시로 많은 아이들이 빠지고 나서 정시 원서를 쓰니 정서가 빡빡하지 않은것도 있구요.
    다만 수시가 너무 복잡하고 자꾸 정시를 줄이려고 하는게 불합리하다고 생각됩니다.
    지금처럼 7;3보다는 그냥 5;5 정도가 어떨까..싶어요,

  • 4.
    '16.3.21 3:05 PM (211.246.xxx.201)

    심지어 서울대는 수시생이 85프로인데-현재
    수능을 아예 안보고 입학하더라구요

  • 5. ㄴㄷ
    '16.3.21 3:07 PM (110.70.xxx.222)

    고1때부터 희망 과에 맞춰 스펙을 쌓아야 한다고 하던데
    이게 학생 혼자서 가능한 애들이 몇이나 될까요
    입시 설명회에 다녀봐도 강사들 말이 수시는 엄마의 정보력과 지원이 가능해야 한다고 하면서 자기들도 의심스럽대요
    기준조차 없다고...

  • 6. ..
    '16.3.21 3:16 PM (218.51.xxx.229)

    입시 상담 할 때 들은 얘가 입니다.
    수시로 입학한 학생들은..
    재수나 반수등으로 학교를 그만 두는 경우가 적답니다.
    학교를 안정적으로 운영 할 수 있어서..
    대학들이 비중을 줄이진 않을 것이라 들었습니다.
    대학들 입장에서는..
    수시로 안정되게 학교 운영하고..
    정시 인원 줄게 되니 수능 점수 올려서 학교위상 높이고..
    꿩 먹고 알 먹고죠.
    교육이 아이들을 위해서 존재 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들이 정책이나 대학에 들러리 서는 느낌입니다.
    어제 오늘 이야기가 아니죠.

  • 7.
    '16.3.21 3:17 PM (211.246.xxx.201)

    누가 수시 늘린게 아니라..

    수능이 너무 변별없어서

    대학들이 그럼 차라리 우리가 알아서 뽑겠다고 수시 늘리는거예요

  • 8. .....
    '16.3.21 3:31 PM (223.131.xxx.141)

    이명박이 돈많은 사람들 편의 봐주느라 수능 물수능으로 만들면서
    수시가 늘어난 것 아닌가요?
    수능을 ebs에 맡기면서 ebs는 떼돈 벌고.
    ebs가 번돈은 또 어딘가로 흘러갔겠죠.
    싱가폴 은행으로 흘러갔을 확률도 높고요.

  • 9. ,,,,
    '16.3.21 3:48 PM (119.67.xxx.28) - 삭제된댓글

    대학들 원서장사?

  • 10. 요즘 팟캐스트 들어보니
    '16.3.21 3:52 PM (211.253.xxx.34)

    변별력 없는 수능과 대학들이 원하는 인재를 뽑았을때
    가장 효율적이라는~
    윗님 말씀처럼 중간에 그만두면 4년동안 등록금이 수천이기 때문에~

  • 11. 어휴
    '16.3.21 3:55 PM (223.62.xxx.128)

    그넘의 이명박타령은 어디나 갖다부치네요
    시작은이해찬이었습니다 공부못해도 머하나라도 잘하면대학가게한다고 도입하고 자기딸은 연대보냈죠
    그 때부터 일대혼란이에요 중고애들이공부빼면 대체멀로 대학을?

  • 12. 저는
    '16.3.21 4:02 PM (218.147.xxx.246)

    저는 수시찬성합니다
    좋은제도라 생각하는데요.
    근데 수시, 정시, 학력고사 등 제도 바뀌어도 하는 애들은 하죠

  • 13. o.o
    '16.3.21 5:25 PM (220.76.xxx.40) - 삭제된댓글

    로스쿨처럼 좋은 취지로써 수시제도가 생겼어도 사실 수시는 있는 집 자녀들에게 분명 더 유리하고 능력 딸리는 있는 집 자녀들에겐 특혜를 줄 수 있는 제도로 기능하고 있죠. 학교 공부만으로 혼자 공부해서 대학 가는 시대는 지났고 학생, 사교육 그리고 엄마 이 세가지가 삼위일체가 되야지만 대학을 갈 수 있게 된거죠.
    옛날 학력고사나 각종 고시가 가진 것 없는 자들에겐 사다리인데, 이제 그런 것들을 서서히 다 거둬들이는 거예요.
    공무원이나 각종 시험제도에서 면접 강화된다는 소식에 곧 자기네들이 다 해먹겠다는 거예요.

  • 14. ...
    '16.3.21 7:03 PM (182.209.xxx.49) - 삭제된댓글

    학부모인데 모두다 왜이렇게 수시를 늘이는지 모르겠다 불만투성이예요
    그런데도 자꾸 희안한 이유를 대면서 꿋꿋이 늘여나가더니 인젠 수시80프로에다 중학도 수행평가비중을 올해부터 늘이겠다하고.....정부 혼자서만 부모들과 학생들의 고충은 귀막고 왜 저렇게 달려가는지 의아해요..
    아까 나경원의원딸 비리입학뉴스보니
    저래서 수시를 늘이는구나싶은생각이 드네요

  • 15. 장단점 있어요
    '16.3.22 10:31 AM (223.62.xxx.84) - 삭제된댓글

    지금 수시제도는 공부만 잘해선 좋은 대학 못가죠.
    그렇다고 외부 대회가서 상 많이 받았다고 좋은대학 가는것도 아니고
    학교생활 적극적으로 잘하고 열심히 한 애들이 갑니다
    정시 강화시켰을때 애들 학교생활 엉망됐었어요
    학교에서 자고 학원가서 공부하고
    근데 이제 그렇게 하면 생기부 엉망되니
    학교교육의 참여도가 올라간건 있습니다
    고등쯤 되면 애들 스스로 진로 맞춰서 그룹도 만들고
    동아리활동도 하구요
    실제로 그렇게 3년 보낸 아이들이 대학생활을 더 잘하더라는 보고들이 있어서 대학에서도 선호해요
    그런 애들이 결국 취업시장에서도 원하거든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40651 짠하네요 2 사랑해 2016/03/24 979
540650 논문에서 abstract는 뭘 말하는건가요? 7 초록 2016/03/24 10,528
540649 마스크팩 매일 붙이시는 분 계세요? 22 .... 2016/03/24 19,076
540648 옛날에 오방빵?오방떡 이라는 길거리음식 기억하시나요? 11 코코 2016/03/24 2,397
540647 줌인줌아웃에 원영이 49제 사진 올렸어요. 30초만 시간내서 봐.. 12 제발 2016/03/23 1,751
540646 팀장이 뒷통수 쳤습니다. 15 억울 2016/03/23 6,059
540645 강아지 구취에 좋은 것 여쭤봅니다 6 .. 2016/03/23 1,373
540644 저번회가 태후 리즈라고 생각했는데 오늘이 더 재밌네요. 4 인형같이 2016/03/23 2,379
540643 급질) 폰배터리가 없어서 꺼지면 전화 신호는 계속 가나요? 1 급질 2016/03/23 6,098
540642 친구머리에 껌을 붙인 초4 14 햇살 2016/03/23 2,631
540641 잘 모르는데 관심을 갖게 되는 경우? 2 관심 2016/03/23 800
540640 이재오 탈당, 무소속출마 선언 9 삐짐 2016/03/23 1,592
540639 김용익 의원님 트윗 14 동의해요 2016/03/23 2,048
540638 시아버지 칠순인데 며느리가 저밖에 없는 경우 11 제목없음 2016/03/23 4,992
540637 듀오백과 시디즈 의자 퍼시스 의자 중 3 ㄹㄹ 2016/03/23 3,287
540636 발 230 남자아이는 어디서 양말사나요 3 ㅇㅇ 2016/03/23 763
540635 현관문 우유넣는구멍 막고싶은데요 4 ㅇㅇ 2016/03/23 2,191
540634 메종드 히미꼬 보신분들 9 영화 2016/03/23 1,339
540633 미강가루가수질오염 일으킬까요?아시누분 답글주시면 고맙겠습니다 3 코스모스 2016/03/23 752
540632 13세 소녀의 성적 자기결정권도 인정한다는 나라에서 4 연예인성매매.. 2016/03/23 1,418
540631 굿바이 미스터 블랙 보시는 분은 없나요? 20 ... 2016/03/23 3,526
540630 김종인 부친은 왜 젊은 나이에 요절하셨나요? 84 2016/03/23 5,225
540629 밥먹고 커피안사먹는 직원 63 ᆞᆞ 2016/03/23 26,963
540628 두개 주차선 가운데에 주차하는 비양심 운전자를 보시면 어떻게 하.. 5 .. 2016/03/23 1,217
540627 아직도 고민중 조언부탁해요 수수꽃다리 2016/03/23 3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