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전원코드 뽑고 다니면 전기세 얼마나 절약할 수 있을까요?

bb 조회수 : 6,476
작성일 : 2016-03-16 11:00:19

전기세가 3인가족치곤 많이 나가는 편이라.. 좀 아껴볼려고 하는데..

낮에는 집에 아무도 없어요.

출근할 때 냉장고 등 기본적인 거 제외한 코드를 다 뽑고 다니면

좀 아껴지나요?

혹시 전후 전기세 비교해보신 분 없으실까요? ㅎㅎ

의외로 많이 절약되는거면 실천해보려구요..

IP : 163.152.xxx.34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형광등
    '16.3.16 11:04 AM (180.224.xxx.91)

    잘 끄고 할로겐 등은 켜지 마시고... 거실 형광등 대신에 Led 스텐드 싼거 몇개 켜면 줄어요.

  • 2. --
    '16.3.16 11:09 AM (123.109.xxx.185)

    비교치를 써가며 말할순없지만
    우리집도 전기요금 많이 나오는 집이라
    우선 가족들 나가고나면 티브 케이블박스전체 다 꺼버리고
    컴퓨터도 안할땐 전원전체 다 끄고
    보일러도 주택인데 낮엔 전원을 껐어
    일시적으로 쓰는 전자렌지나 믹서기같은거 켜고끄는 코드 쓰고
    안쓴만큼 요금은 확실이 준 듯
    6만원가까운쪽에서 5만원 4만원대까지 내려갔거든요

  • 3. --
    '16.3.16 11:10 AM (123.109.xxx.185)

    "요" 자를 빼먹었어요 ㅠ

  • 4. ㅁㅁ
    '16.3.16 11:11 AM (175.193.xxx.52) - 삭제된댓글

    티비셋톱박스랑 컴 밥통보온 멀티콘셋으로 관리하고난뒤
    전기요금 절반도 더 줄였어요
    사만원대였는데 어느달엔 만원대후반도 찍어봤어요

  • 5. 달달달
    '16.3.16 11:13 AM (207.244.xxx.214) - 삭제된댓글

    범국민적(?)차원에서 전기를 아끼자 차원에선 권하고 싶지만
    체감적 전기요금 인하로 이어지진 않아요.

    예비전력이란 게 있어용. ON 했을시 바로 작동되게끔 OFF시에도 전력이 돌아가게끔 되있는 구조의 전자제품들이 있는데 이런 건 뽑아두는게 좋아유. 이를테면 TV 셋톱박스, 오디오 컴포넌트라던지.. 그런 특정 제품 외 스탠드나 커피포트, 전자렌지, 이런류들은 뽑아나마나 미미.

    오히려 그런 걸 신경쓰기 보단, 소비전력이 큰 제품들의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는 게 몇 백배 전기요금 아끼는데 효율적이죠.

    순간 소비전력이 최소 1,000W가 넘어가는 헤어드라이기, 전기주전자, 청소기, 전기밥솥 등등 이런 것들의 소비를 가능한 줄이는 게 금전적으로도 더 효과적. 정수기도 온수정수기 같은 류 쓰지 마시구유.

  • 6. 달달달
    '16.3.16 11:15 AM (207.244.xxx.214) - 삭제된댓글

    범국민적(?)차원에서 전기를 아끼자 차원에선 권하고 싶지만
    체감적 전기요금 인하로 이어지진 않아요.

    예비전력이란 게 있어용. ON 했을 시 바로 작동되게끔 OFF 시에도 전력이 돌아가게끔 돼 있는 구조의 전자제품들이 있는데 이런 건 뽑아두는 게 좋아유. 이를테면 TV 셋톱박스, 오디오 컴포넌트라든지 특정 제품 외 스탠드나 커피포트, 전자레인지, 이런류들은 뽑아나 마나 미미.

    오히려 그런 걸 신경 쓰기 보단, 소비전력이 큰 제품들의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는 게 몇백 배 전기요금 아끼는데 효율적이죠.

    순간 소비전력이 최소 1,000W가 넘어가는 헤어드라이어, 전기 주전자, 청소기, 전기밥솥 등등 이런 것들의 소비를 가능한 줄이는 게 금전적으로도 더 효과적. 정수기도 온수 정수기 같은 류 쓰지 마시구유.

  • 7. bb
    '16.3.16 11:16 AM (163.152.xxx.34)

    달달달님/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어요..!!

  • 8. 저요
    '16.3.16 11:19 AM (183.102.xxx.123)

    저희도 3인 가족이고 전기요금은 3만원대, 기본 가전들만 있는 집이에요
    한달 쯤 신경 써서 플러그 뽑고 사람 없는 장소 전등 끄고 남편, 아이에게 잔소리 하고 절약한 요금은...
    딱 5000원이더라고요
    그래서 한달에 자장면 한 그릇 안먹고 말겠어, 하고 예전대로 삽니다
    플러그, 전등 신경 쓰고 가족에게 잔소리하며 스트레스 받고 싶지 않아서요
    전기사용량 많은 가정은 더 큰 폭으로 절감 효과가 있을 듯 합니다

  • 9. 우리는 두식구
    '16.3.16 11:29 AM (220.76.xxx.115)

    전기가많이 잡숫는 오래된 가전이고 정수기 전기밥솥 물끓이는주전자 밥솥보온 이런것들이주범이래요
    우리는 하루중 반은 컴하고 냉장고둘 티브이보일러인데 전기요금은 17000원데입니다 가전다새거구요
    비대도쓰고나서 스윗치를 꺼요 비대도 전기많이든데요

  • 10. 아껴집니다
    '16.3.16 11:34 AM (210.92.xxx.86)

    저희집이 한 전기 하는 집이었어요
    오죽하면 한전에서 쫓아왔었어요....
    전기료가 왜케 많이 나오냐고 점검 나왔다고ㅠㅠㅠ

    그뒤로 엄청 노력하는데....한달 전기료만 따지지 마시고.. 길게 보시면...됩니다..

    저희는 일단 플러그를 다 뽑아놓는데...그것도 귀찬으면..중간에 끄는 플러그 있쬬? 이름이 생각이 안나는데

    그걸로 다 교체해서....전기제품 쓰고나면....다 끕니다...

    그리고 전기료 많이 나가는게 전자렌지..이건 항상 쓰고 플러그 끄세요..
    그담이 전기밥통....밥한후엔 끄기 .. 보온이 전기 많이 나갑니다..
    그리고 비데...헤어드라이기..다리미..믹서기...등등이요..모드다 플러그 뽑기만 해도 됩니다....
    온수정수기도 한달에 만원정도 나와요...이것도 끄시고 .....
    그리고 결정적인건 형광등을 엘이디로 바꾼뒤로.전기료가 급감..
    전기절약은 평소에 습관인거 같아요...

    한달 5천원 만원..뭐 대수롭게 생각하면 암껏도 아니지만....1년을 생각하면 6만원. 12만원이 절약됩니다...

  • 11. 맞아요
    '16.3.16 12:18 PM (121.165.xxx.114)

    구형 가전이 전기 잡아먹는 귀신이에요 ㅋ
    차이는 어마어마하지요

  • 12. ..
    '16.3.16 12:44 PM (39.120.xxx.55)

    한전 진짜 짜증나요.
    쌍팔년도도 아니고 요즘 같은 세상에 누진요금이라니.
    많이 쓰면 우수고객 할인은 못해줄망정.
    누진만 아니면 쓰는만큼 내는거니까 사람들이 어떻게 해야 전기료 줄일까 궁리 안해도 되거든요.
    딱 쓴만큼 더 내고 줄인만큼 덜내고.
    이건 뭐 가전을 사도 누진은 계산이 안되니 전기요금이 얼마나 추가되는지 알수도 없고.
    정말 뭣같은 누진요금제.

  • 13. ...
    '16.3.16 1:35 PM (114.204.xxx.212)

    다 8ㅡ 13년된 구형가전인데
    월 3 만원 정도 나오는거 보면 그렇지도 않은가봐요
    그것도 바꾸면 더 적게 나오려나요
    대신 필요없는건 다 꺼요

  • 14. 3인 26평
    '16.3.16 2:18 PM (1.235.xxx.105) - 삭제된댓글

    멀티탭으로 출근 하면서 다끄고 나갔다
    퇴근하면서 키니 딱 5000원 절약 되요
    기존 3만원 초반 내다가 2만원 후반 내요
    냉장고 기치 냉장고등은 놔두고요

  • 15. 방울어뭉
    '16.3.16 8:18 PM (112.166.xxx.113)

    우리 세식구 정말 기본만 쓰는데 3만 5천원 나와요....
    도대체 뭘 줄어야 할지...여름엔 에어컨도 거의 못틀겠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53152 슈퍼맨이 돌아왔다 양동근 아내 출산 장면을 보고.. 18 덜덜 2016/04/30 16,785
553151 르몽드, 총선 결과는 권위적인 박 대통령 심판 1 light7.. 2016/04/30 737
553150 정청래 싸모님 보세용~^^ 12 부창부수 2016/04/30 3,275
553149 익힌 돼지고기 상한거 알수 있나요? 1 3333 2016/04/30 2,386
553148 5시간내 여행갈만한 나라가 없네요 19 2016/04/30 4,258
553147 82쿡 글 저장 어떻게 하나요? 2 pocari.. 2016/04/30 942
553146 여행박사님들 면세점 카드 어떻게 만들어요? 1 여행 2016/04/30 805
553145 고지용 멋지네요 23 무닉ㅇㅇㅇ 2016/04/30 16,365
553144 스위스 디크니타스에서의 준비된 죽음은 어떨까요? 13 alice 2016/04/30 2,888
553143 위염 인지 역류성 식도염인지 열흘 정도 배가 아파요 6 라일락 2016/04/30 5,312
553142 죄송합니다.원글 삭제 19 나 몰라 2016/04/30 5,487
553141 이 립스틱 사면 후회할까요? 6 .. 2016/04/30 3,127
553140 이시간에 현대오일뱅크상품권 오천원권 구할데 없을까요? ㅡㅡ 2016/04/30 576
553139 지금 mbc 드라마 채널에서 김삼순 1회부터 해요 연속 3 .... 2016/04/30 1,445
553138 직장생활 고민 8 .. 2016/04/30 1,758
553137 자랑 못하면 병나는 여자 15 에휴 2016/04/30 6,563
553136 중등남아친구 어려워요 2016/04/30 635
553135 런던vs뉴욕 어디가 자유여행 하기 더 나을까요? 20 2016/04/30 3,445
553134 깨끗깨끗 정리정리 대충 산다 7 //// 2016/04/30 5,072
553133 젝키 때문에 오랜만에 무도 봤는데 박명수 왜저렇게 됐나요? 6 ... 2016/04/30 6,689
553132 운전 두려움 극복했어요.ㅠㅜ 13 운전 2016/04/30 5,941
553131 [편도결석] 경험 있으신 분 계신가요... 5 건강 2016/04/30 4,825
553130 3등급과 4등급사이에 있으면 7 내신등급 2016/04/30 3,259
553129 치킨 시켜먹자는 남편에게 7 2016/04/30 4,092
553128 맹장수술후 가스? 1 그리 2016/04/30 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