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카드 사용에 대한 저의 생각

.. 조회수 : 4,471
작성일 : 2016-03-13 22:39:36
카드는 꼭 있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한개는 필수..
두세개까지는 선택..

요즘 세상에는 물건값이나
의료비, 교육비  등 한번에 지출하는 돈의 단위가 커졌어요(적은건 몇십만원, 많은건 백만원 이상)
예전의 전자제품 대리점에서처럼 가게 자체에서 할부로 하는 시스템 자체가 거의 없는거죠.

그리고 현금을 잘 안가지고 다니죠.
현금이 없기도 하거니와
월급은 들어왔다 나가는 바람 같은 것이죠..

또 예전처럼 이웃에게 돈을 빌리거나 하면 이상한 사람 되죠
대개는 자기스스로 돈을 융통하죠
현금서비스를 하거나,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하거나.

그리고 또 갑자기 무슨일이 닥쳐
급전이 필요할때...금융기관에서도 돈을 안빌려준다 또는
시간이 없다 할때는
카드론이라도 받아야죠.

카드론은 전업주부일경우엔
사용실적에 따라(그걸 역으로 하면 수입이 되니까) 대출을 해줘요.
물론 비싸지만,,,정말 급한경우엔 써야죠.

카드론 사용시는
bc카드는 안돼요..카드에 bc로고 있는건 해당사항이 없으니
혹시 자기 카드가 전부 bc라면(어떤분은 가지고 있는 카드 서너개가 전부 bc카드인 분들도 많더군요)
일반 롯데나 삼성...등의 카드를 새로 만드시는게 좋을거예요.

그리고 요즘은 카드가
신용등급 6등급 정도 아래로는 발급 받을수가 없으니,
형편 괜찮을때 만들어 두는게 좋다고 봅니다.

82에는 돈아끼려면 카드를 버려라 라고 하는데
돈 많은 사람(부자)은 카드 없어도 된다고 생각해요

하지만 돈없는 서민일수록 
어찌될지 모르는데,,,전 카드는 필수라고 생각해요.

쓰고보니 구구절절 카드 장사꾼 같네요 ㅋㅋ


IP : 175.126.xxx.29
1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3.13 10:43 PM (1.235.xxx.248)

    전 다른건 모르겠는데

    일반적으로 잘 쓰기만 하면 카드소비하는게 더 현명한것 같다는 생각이 들때가 있어요
    카드 포인트 적립이며 혜택 그냥 현금이면 다 날라가는 거잖아요.
    저는 현금 보유한 만큼 카드 쓰고 일시불로 다 하는데
    과소비도 없고 오히려 포인트 헤택으로 득 볼때가 많네요.
    세금처리도 편하고

  • 2. 버스 탈 때도......
    '16.3.13 10:43 PM (49.174.xxx.24)

    카드는 필수죠.

  • 3.
    '16.3.13 10:47 PM (110.11.xxx.168) - 삭제된댓글

    맞아요
    절제를 잘하는 사람은 요즘 카테크해요
    마일리지나 포인트를 모으죠
    그재미에 소소히 더 쓰기도 하지만ᆢ
    신용등급 낮거나 현금서비스 받으면 안돼고
    용도에 맞는거 잘 골라쓰면
    요즘은 한달 150만 몰아써도 일년이면 몆십만윈쯤 포인트가 하여서 ᆢ모을만해요

  • 4. ...
    '16.3.13 11:00 PM (119.64.xxx.92)

    돈 아끼려면 카드를 버려라..하는 사람들은 자기절제가 안되는 사람들이죠.
    옛날 고딩때 자기는 스스로 컨트롤이 안되니 학교에서 자율학습이라고 강제로 잡아둬야 공부를 할수있다..
    는 애들이 커서 그런 사람이 되는듯.

  • 5.
    '16.3.13 11:08 PM (180.224.xxx.92)

    매년 카드 포인트가 50만원 이상 쌓여요. 가족카드로 묶어서 부부 합산 150-200사이 평균 씁니다. 카드가 훨씬 이익이에요.

  • 6. dma
    '16.3.13 11:24 PM (61.73.xxx.187) - 삭제된댓글

    저도 돈 아끼려면 카드 버리라는 말 좀 이해 안되요.
    카드든 현금이든 똑같은건데.. 하는 생각이예요. 소비하느라 10만원 쓰는거, 내 지갑에서 현금 10만원이 나가면 아깝고, 카드 10만원 긁으면 덜 아까운가요 똑같지.
    전 경제관념이 확실하게 잡혀서 그런가 어쨌든.. 카드 긁는것도 내 지갑에서 현금 나가는거랑 똑같이 아깝게 생각되서 카드라고 막 긁고 그러진 않거든요. 현금 쓰듯이 정말 필요한데만 써요. 카드라고 더 과소비하고 그러진 않는다는.
    오히려 카드로 쓰면 마일리지도 덤으로 쌓이고 저는 카드가 이익이 더 많이 돼요. 어차피 쓸 돈 한 2~3년 쓰면 가족 동남아 여행 갈만큼 마일리지도 쌓이고... ㅎㅎㅎ 2년간 그냥 그 돈을 현금으로 썼다면? 아무것도 없는거죠.

  • 7. dma
    '16.3.13 11:24 PM (61.73.xxx.187)

    저도 돈 아끼려면 카드 버리라는 말 좀 이해 안되요.
    카드든 현금이든 똑같은건데.. 하는 생각이예요. 소비하느라 10만원 쓰는거, 내 지갑에서 현금 10만원이 나가면 아깝고, 카드 10만원 긁으면 덜 아까운가요? 똑같지.
    전 경제관념이 확실하게 잡혀서 그런가 어쨌든.. 카드 긁는것도 내 지갑에서 현금 나가는거랑 똑같이 아깝게 생각되서 카드라고 막 긁고 그러진 않거든요. 현금 쓰듯이 정말 필요한데만 써요. 카드라고 더 과소비하고 그러진 않는다는.
    오히려 카드로 쓰면 마일리지도 덤으로 쌓이고 저는 카드가 이익이 더 많이 돼요. 어차피 쓸 돈 한 2~3년 쓰면 가족 동남아 여행 갈만큼 마일리지도 쌓이고... ㅎㅎㅎ 2년간 그냥 그 돈을 현금으로 썼다면? 아무것도 없는거죠.

  • 8. 퍼인트
    '16.3.13 11:25 PM (121.168.xxx.138)

    카드로 해야 할인해주는 시스템도 있잖아요
    청구할인,포인트 이런거 생각하면 카드없음 불편해요

  • 9.
    '16.3.13 11:30 PM (116.125.xxx.180)

    무슨 카드인데 포인트가 50이나 생겨요?
    전 1년에 몇천원 생기나?
    그러던데~
    Kb국민올레카드예요 kt 매달 9000원할인해주는

  • 10.
    '16.3.13 11:32 PM (116.125.xxx.180)

    동남아 갈 마일리지라니
    어떤 카드 쓰세요?

  • 11. dma
    '16.3.13 11:38 PM (61.73.xxx.187) - 삭제된댓글

    10년전쯤부터 신한에서 나왔던 동화트래블 카드란거 계속 써왔고.. 그 카드는 그 이후 발급 중단됐는데.. 제가 들고있는 이 신한트래블 카드는 다음달 유효기간 끝나네요. 이걸로 몇년 마일리지 많이 모았죠.
    그 이후 씨티카드, 그 다음엔 씨티프리미어마일카드 만들어서 카드 몇 개 동시에 쓰다가 kb로블카드가 한때 월500이상 쓰면 대한항공 마일 두배로 주는 때가 있었어서 그때는 그걸 좀 쓰다가... 몇년전에 외환 크로스마일카드 나와서 요새는 이 크마카드를 주력으로 쓰고 있죠. 크마카드가 지금은 제일 전환률이 높아서요.

  • 12. dma
    '16.3.13 11:39 PM (61.73.xxx.187)

    10몇년전쯤부터 신한에서 나왔던 동화트래블 카드란거 계속 써왔고.. 그 카드는 그 이후 발급 중단됐는데.. 제가 들고있는 이 신한트래블 카드는 다음달 유효기간 끝나네요. 이걸로 몇년 마일리지 많이 모았죠.
    그 이후 씨티카드, 그 다음엔 씨티프리미어마일카드 만들어서 카드 몇 개 동시에 쓰다가 kb로블카드가 한때 월500이상 쓰면 대한항공 마일 두배로 주는 때가 있었어서 그때는 그걸 좀 쓰다가... 몇년전에 외환 크로스마일카드 나와서 요새는 이 크마카드를 주력으로 쓰고 있죠. 크마카드가 지금은 제일 전환률이 높아서요.

  • 13. 신한카드
    '16.3.13 11:41 PM (116.39.xxx.236)

    저도 신한카드쓰는데 이마트.11번가는 5프로 포인트적립해줘요. 이마트에서 한달에 10만원쓰면 5천원 받는셈이죠. 한달 150만에서 170만원 사이 카드결제하면 5만원 포인트로 돌려받아요. 저도 카드 사랑합니다.

  • 14. 근데...
    '16.3.13 11:49 PM (121.175.xxx.150) - 삭제된댓글

    카드 안쓰면 월급이 바람처럼 사라질 리가 없죠;;;
    당연히 한달 생활비 통장에 존재하고 지갑에 현금 넣어다녀요.
    따로 비상금 통장 있고 몫돈 쓸 일 있으면 적금이나 보험으로 대출받으면 금리도 낮구요. 정말 급하면 마이너스 통장 쓰고...

    현명한 소비습관이 있다면야 카드가 좋은 선택이지만 매번 월급 다가오면 생활비 모자라서 쩔쩔 매는 저같은 사람은 카드 쓰면 번번히 예산을 넘어서게 되어서...

  • 15. 전 싫어요.
    '16.3.14 12:13 AM (14.38.xxx.176)

    제품의 생산, 그리고 거래에 아무 역할도 하지않는 카드사가 수수료를 받는게 이해가 안되고싫어요.
    거대 자본을 갖고 미리 돌릴수 있다는 이유로
    수수료, 연회비를 챙기는게 못마땅해요.

    되도록이면 현금쓰고 가끔 체크카드 씁니다. 체크카드도 수수료가 있다는게, 그것도 신용카드랑 같다는게 정말 이해안되서 이젠 안쓰려고요.

    공급자- 구매자 사이에 돈놀이하는 거대 금융사나 대기업의 카드사 싫습니다.

  • 16. 탈세막는데
    '16.3.14 12:51 AM (188.23.xxx.145)

    도움이 되기도 하죠.

  • 17. 탈세가 걱정되면
    '16.3.14 1:05 AM (14.38.xxx.176)

    현금 영수증 발급받으면 되죠.

  • 18. 카드 애용합니다.
    '16.3.14 5:33 AM (100.37.xxx.20) - 삭제된댓글

    다만, 저는 카드로 사용한 금액을 매달 바로 바로 결제해서 이자로 돈을 지출해 본적이 없어요.
    카드사용한 마일리지나 호텔포인트, 현금적립등으로 아주 편리를 많이 보고 있어요.

  • 19. 카드 꾸준히 사용
    '16.3.14 9:49 AM (211.176.xxx.155)

    저도 윗분처럼 매달 바로 결제해서 이자 안 내고요. 충동구매도 안 해요.
    항공마일리지 꾸준히 적립해서 쓰고 있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39369 다이어트하면 이뻐지나요? 11 성형 2016/03/19 3,965
539368 귀여운 꼬마아이 6 ㅋㅋㅋ 2016/03/19 1,413
539367 헝거게임 재미있을까요? 8 2016/03/19 2,120
539366 드럼 세탁기 배수고장...새로 사는게 나을까요? 5 돈덩어리 2016/03/19 3,553
539365 항상 낙서하는 아이 2 ... 2016/03/19 760
539364 일본 고등 교과서 '독도는 일본땅, 한국이 불법 점거' 미국prox.. 2016/03/19 527
539363 강아지 이름 좀 말해보세요. 37 사랑 2016/03/19 3,168
539362 정청래가 밝힌 컷오프 과정에서의 문재인의 행보 7 ㅇㅇ 2016/03/19 2,160
539361 송혜교 발음은 잘 들리세요? 32 ... 2016/03/19 6,507
539360 아이 ㅎㅂ 물건 팔려고 별짓을 다하네요.. 3 .... 2016/03/19 4,025
539359 은수미의 성공 김광진의 실패 1 ㅇㅇ 2016/03/19 1,293
539358 에휴 아래 김밥글보고 1 ..... 2016/03/19 1,966
539357 런던에서 자유시간 24시간 뭘하면 좋을까요? 12 --- 2016/03/19 1,410
539356 중2병 - 음식투정 3 하아 2016/03/19 1,444
539355 경구피임약 질문드려요 2 마레 2016/03/19 862
539354 날짜 지난 우유에 닭고기 담궈놔도 될까요? 4 닭볶음캉 2016/03/19 1,947
539353 힐러 이석현 의원 페북 jpg 2 짠합니다. 2016/03/19 1,523
539352 신사역 근처 찜질방에 와 있는데요~ 1 신사역 2016/03/19 1,897
539351 유방암 진단 받았는데요... 22 병치레..... 2016/03/19 7,937
539350 김밥을 처음 싸보려는데 참 엄두가 안나네요 28 .. 2016/03/19 4,877
539349 이사가는 날 이라는 업체로 이사해 보신 분 계세요? ... 2016/03/19 512
539348 죽 끓일 때 - 쌀을 볶아서 죽 만드는 것과 밥을 해서 만드는 .. 7 궁금 2016/03/19 2,624
539347 여배우들 얼굴이 너무 이상해요. 12 40대 여배.. 2016/03/19 8,704
539346 아래층과 인터폰후 결국 싸움이났어요 82 레드 2016/03/19 30,037
539345 액정이 나갔는데요, 수리비가 27만원인데~고치는게 맞을까요? 7 티비 2016/03/19 2,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