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새담임쌤들은 반애들 신상파악 다된거에요?

궁금 조회수 : 2,929
작성일 : 2016-03-02 12:06:31
초등입학식때 생활기록부같은거 써서 내잖아요?
가족구성원부터 아빠직업,회사
자녀수 이런거 말예요

그렇담 새학년이 올라갈때마다 선생님들은 자기네반애들
신상파악을 그기록부 보며 알 수 있단거에요?

그래서 그렇게
의사아들,딸들 은
매년 선생님들께 이쁨을 받았던거였나봐요
그것두 학기초부터 말이에요
IP : 49.175.xxx.96
2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16.3.2 12:10 PM (49.142.xxx.181)

    ;;;
    의사가 무슨 사회적 지도자도 아니고 의사 아들딸이 고유명사도 아니고;;;
    그게 뭐라고 이뻐하나요? 가르치는 애들 부모가 의사면 선생님한테 월급이 더 들어오는것도 아닌데?

  • 2. ㅠㅠ
    '16.3.2 12:14 PM (1.228.xxx.202) - 삭제된댓글

    요즘은 부모 직업,학벌 쓰는 항목자체가없어진걸로 알고있는데~~ ㅠㅠ 소문으로 부모의 직업이 의사니,판사니 하는정도는 알수있겠지만

  • 3. 처음
    '16.3.2 12:19 PM (49.175.xxx.96)

    써내는 그 가정환경조사서에 부모직업, 상세한 근무처
    ,직위 까지 써내게 되어있더라구요

  • 4. ..
    '16.3.2 12:21 PM (223.33.xxx.95)

    무신말씀.
    초등ㅇ아이들 부모직업 등 구체적으로 써서냅니다

  • 5.
    '16.3.2 12:28 PM (121.129.xxx.216)

    예전 담임이 반별로 인수인계 해요
    웬만한건 다 이어진다고 보면 돼요

  • 6. ㅋㅋㅋ
    '16.3.2 12:49 PM (175.223.xxx.184)

    의사 아들딸이라고 예뻐하지 않아요 ㅋㅋ
    촌지받는 시대도 아닌데

  • 7. 티니
    '16.3.2 12:53 PM (125.176.xxx.81)

    저 교산데요 부모직업 안읽어봐요.. 읽어봐도 까먹고요..

  • 8. ....
    '16.3.2 1:03 PM (211.232.xxx.50) - 삭제된댓글

    쓰란다고 다 쓰면 되나요?
    안 써서보냈더니 애에게 왜 안 썼냐? 울 엄마가 쓰기 싫대요?
    아빠,엄마는 어디 다녀? 아빠는 회사원, 엄마는 살림해요. 아빠 어느 회사? 그건 몰라요.

  • 9. ..
    '16.3.2 1:11 PM (106.252.xxx.14)

    우리애 초등 4학년인데
    부모직업 써낸적 없어요

  • 10. 요즘
    '16.3.2 1:11 PM (175.214.xxx.175)

    그런 거 물어보거나 써내게 하면 안됩니다.
    가정환경조사서에 가족 경제사정, 부모 직업, 직위 물어보면
    인권조항에 걸린다고 절대로 조사하지 말라고
    매년 공문오고 강조합니다.
    그런 학교 있으면 교육청에 신고하세요.

    단, 담임이 한 명씩 면담할 때 간단히 질문을 하긴 합니다.
    학비지원 대상자를 알아야 하기 때문에요.
    그래서 담임의 관심사는 오히려 잘 사는 애들이 아니라 어려운 아이들입니다.
    그것도 대충 묻고 말지 뭐 그렇게 꼬치꼬치 묻지 않습니다.

    이게 기본이고, 나머지 이상한 느낌의 조사를 접하셨다면
    그 교사의 인격 문제입니다.

    저도 교사라서 저와 제 주변 상황을 기준으로 말씀드렸어요.

  • 11. 이상하네요
    '16.3.2 1:37 PM (211.179.xxx.210)

    우리애들 고1, 중3인데 초등 입학때 조사서에 그런 항목을 금지하는 분위기였고
    실제로 부모의 나이 외엔 묻지 않았어요.
    지원이 필요한 아이들은 개별적으로 신청하게 했고요.
    어느 동네길래 아직도 부모의 직업을 써 내나요?

  • 12.
    '16.3.2 1:48 PM (49.175.xxx.96)

    저도 그거 써내면서 아니 아직도 이렇게 써내는제도
    인가 의아했었거든요 ㅠㅠ

  • 13. 썼는데요
    '16.3.2 2:35 PM (119.71.xxx.143) - 삭제된댓글

    오늘 아이가 초등학교 입학했어요.
    사전 예비소집일에 가정환경에 관한 조사지를 배포했고
    오늘 걷어갔는데 부모 직업 쓰는 란이 있었어요.

  • 14. 있던데요
    '16.3.2 2:38 PM (220.72.xxx.46)

    조카가 옛날보다 더 자세하게 아예 부모님의 일대기 뭐 그런식으로 자세하게 써가더라구요. 지금 초3인 아이에요.

  • 15. ..
    '16.3.2 3:13 PM (211.46.xxx.253)

    부모직업 안 써서 내는데요

  • 16. 학교마다 틀린가요?
    '16.3.2 3:14 PM (118.223.xxx.14)

    큰애때는 가족 이름, 나이, 동거여부, 직업난있었구요, 다들 그냥 회사원, 공무원, 자영업 그런식으로 표기. 두살터울인 둘째는 직업난도 없어졌었어요.대신 2학년땐가 교과수업과 연계되서 아빠나 엄마 가족직업에 대해 알아오기 같은 게 있었어요. 지금 중딩, 초6 학부모입니다.

  • 17. ..
    '16.3.2 4:03 PM (58.122.xxx.68) - 삭제된댓글

    어느 조직이나 교사도 교사 나름입니다.
    그런거에 민감하신 분도 있고
    전혀 안그러신 분도 있고요.

    몇 년 전에 저희 애 중학교 처음 입학시키고
    30대 초반의 젊은 여 선생님이셨는데
    학년 초 아이가 가정조사서를 4장이나 들고 와서 놀랐던 기억이..
    굉장히 세분화되고 자세했고요.
    제일 인상 깊은 건 부모의 최종학력을 쓰는 란과
    부모의 직업, 상세한 근무처,거기다 직위까지 적으라고 해서
    제가 이것까지 쓰는 게 이 학교 특징인가 고심까지 했는데
    2학년때 선생님은 간단히 직업만 적으라 보내셨는데
    3학년때 직업조차 묻지 않으시더라고요.

    어쨌든 1학년때 그 선생님은 저나 아이나
    아주 안좋은 기억으로 남은 스승이었는데
    아직도 그 세세한 호구조사를 생각하면
    어이가 없습니다.

  • 18. ..
    '16.3.2 4:09 PM (58.122.xxx.68) - 삭제된댓글

    어느 조직이나 마찬가지지만 교사도 교사 나름입니다.
    그런거에 민감하신 분도 있고
    전혀 안그러신 분도 있고요.

    몇 년 전에 저희 애 중학교 처음 입학시키고
    30대 초반의 젊은 여 선생님이 담임이셨는데
    학년 초 아이가 가정조사서를 4장이나 들고 와서 놀랐던 기억이..

    굉장히 세분화되고 자세했고요.
    제일 인상 깊은 건 부모의 최종학력을 쓰는 란과
    부모의 직업, 상세한 근무처(회사면 구체적 회사명 기입),
    거기다 현재 직위까지 적으라고 해서
    이런 것까지 알아야 하는 게 이 학교 특징인가 고심까지 했는데
    2학년때 선생님은 간단히 직업만 적으라 보내셨고
    3학년때 직업조차 묻지 않으시더군요.

    어쨌든 1학년때 그 선생님은 저나 아이나
    아주 안좋은 기억으로 남은 스승이었는데
    아직도 그 세세하고 치밀한 호구조사를 생각하면
    솔직히 어이가 없습니다.도대체 뭐에 써먹으려고..ㅎㅎ

  • 19. ..
    '16.3.2 4:11 PM (58.122.xxx.68) - 삭제된댓글

    어느 조직이나 마찬가지지만 교사도 교사 나름입니다.
    그런거에 민감하신 분도 있고
    전혀 안그러신 분도 있고요.

    몇 년 전에 저희 애 중학교 처음 입학시키고
    30대 초반의 젊은 여 선생님이 담임이셨는데
    학년 초 아이가 가정조사서를 4장이나 들고 와서 놀랐던 기억이..

    굉장히 세분화되고 자세했고요.
    담임샘이 직접 타이핑하고 출력,나눠 준 용지였는데
    제일 인상 깊은 건 부모의 최종학력을 쓰는 란과
    부모의 직업, 상세한 근무처(회사면 구체적 회사명 기입),
    거기다 현재 직위까지 적으라고 해서
    이런 것까지 알아야 하는 게 이 학교 특징인가 고심까지 했는데
    2학년때 선생님은 간단히 직업만 적으라 보내셨고
    3학년때 직업조차 묻지 않으시더군요.

    어쨌든 1학년때 그 선생님은 저나 아이나
    아주 안좋은 기억으로 남은 스승이었는데
    아직도 그 세세하고 치밀한 호구조사를 생각하면
    솔직히 어이가 없습니다.도대체 뭐에 써먹으려고..ㅎㅎ

  • 20. ..
    '16.3.2 4:21 PM (58.122.xxx.68) - 삭제된댓글

    어느 조직이나 마찬가지지만 교사도 교사 나름입니다.
    그런거에 민감하신 분도 있고
    전혀 안그러신 분도 있고요.

    3 년 전에 저희 애 중학교 처음 입학시키고
    30대 초중반의 젊은 여 선생님이 담임이셨는데
    학년 초 아이가 가정환경조사서를 4장이나
    들고 와서 놀랐던 기억이..

    굉장히 세분화되고 자세했고요.
    담임샘이 직접 타이핑하고 출력,나눠 준 용지였는데
    제일 인상 깊은 건 부모의 최종학력을 쓰는 란과
    부모의 직업, 상세한 근무처(회사면 구체적 회사명 기입),
    거기다 현재 직위까지 적으라고 해서
    이런 것까지 알아야 하는 게 이 학교 특징인가 고심까지 했는데
    2학년때 선생님은 간단히 직업만 적으라 보내셨고
    3학년땐 직업조차 묻지 않으시더군요.

    어쨌든 1학년때 그 선생님은 저나 아이나
    아주 안좋은 기억으로 남은 스승이었는데
    아직도 그 세세하고 치밀한 호구조사를 생각하면
    솔직히 어이가 없습니다.도대체 뭐에 써먹으려고..ㅎㅎ

    2,3학년때는 사춘기 아이들의 지도를 위해
    교사로서 중심을 열심히 애써주셨음에도
    1학년 때 그 분은 호구조사만 열심히 하지
    아이들 문제에 관해 해결하려는 조금의 성의도 보이지
    않고 철저하게 방관자모드로 일관하셨으면서
    뭐 그리 남의 집 부모학력과 직장,직위까지
    적으라고 보냈는지...솔직히 한심하더군요.

  • 21. ..
    '16.3.2 4:23 PM (58.122.xxx.68)

    어느 조직이나 마찬가지지만 교사도 교사 나름입니다.
    그런거에 민감하신 분도 있고
    전혀 안그러신 분도 있고요.

    3 년 전에 저희 애 중학교 처음 입학시키고
    30대 초중반의 젊은 여 선생님이 담임이셨는데
    학년 초 아이가 가정환경조사서를 4장이나
    들고 와서 놀랐던 기억이..

    굉장히 세분화되고 자세했고요.
    담임샘이 직접 타이핑하고 출력,나눠 준 용지였는데
    제일 인상 깊은 건 부모의 최종학력을 쓰는 란과
    부모의 직업, 상세한 근무처(회사면 구체적 회사명 기입),
    거기다 현재 직위까지 적으라고 해서
    이런 것까지 알아야 하는 게 이 학교 특징인가 고심까지 했는데
    2학년때 선생님은 간단히 직업만 적으라 보내셨고
    3학년땐 직업조차 묻지 않으시더군요.

    어쨌든 1학년때 그 선생님은 저나 아이나
    아주 안좋은 기억으로 남은 스승이었는데
    아직도 그 세세하고 치밀한 호구조사를 생각하면
    솔직히 어이가 없습니다.도대체 뭐에 써먹으려고..ㅎㅎ

    2,3학년때는 사춘기 아이들의 지도를 위해
    교사로서 중심을 잡고 열심히 애써주셨음에도
    1학년 때 그 분은 호구조사만 열심히 하지
    아이들 문제에 관해 해결하려는 조금의 성의도 보이지
    않고 철저하게 방관자모드로 일관하셨으면서
    뭐 그리 남의 집 부모학력과 직장,직위까지
    적으라고 보냈는지...솔직히 이해불가입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56953 사춘기 짜증내는 아이..해결법 8 남매엄마 2016/05/13 3,541
556952 빵집에서 진물이 나는 손으로 10 난감 2016/05/13 4,023
556951 카카오택시 2 카카오 2016/05/13 1,281
556950 단문) 미움 받을 용기라는거요. 7 .. 2016/05/13 2,836
556949 맛없는 김 자반 어떻게 처리 해야 될까요? ..... 2016/05/13 777
556948 노인 대상 사업은 어떤 게 유망할까요? 17 앞으로 2016/05/13 6,321
556947 차 사니까 돈이 엄청 드네요 ㅠㅠ 12 .... 2016/05/13 6,168
556946 미림 판매하는곳이 없네요. 9 2016/05/13 2,536
556945 상품평.. 후기 중에서 제일 웃겼던 거... 3 .. 2016/05/13 3,695
556944 연애) 이렇게 생각하는게 예민한건가요? 6 ddd 2016/05/13 1,708
556943 런던에 집사려고 하는데 어디지역이 좋을까요? 7 런던 2016/05/13 2,546
556942 2박3일 부산여행 동선좀 도와줘요~~~ 9 부산좋아 2016/05/13 1,628
556941 죄인처럼 세워놓고 '성과연봉제' 강요 8 분노 2016/05/13 1,496
556940 여름 성수기 호텔 예약 - 어떻게들 하세요? 2 호텔 2016/05/13 1,009
556939 굶으니까 얼굴이 패이네요... 6 2016/05/13 3,001
556938 헤나염색 중독되버렸어요.. 29 딸기체리망고.. 2016/05/13 8,869
556937 시댁형제들 정말 싫습니다. 정말 4 제목없음 2016/05/13 4,056
556936 고1인데 중간고사 영어점수가 형편없네요 8 아..고딩여.. 2016/05/13 2,517
556935 냉동실보관한 고기 .. 2016/05/13 763
556934 오늘 고터몰가서 쇼핑했는데 너무 뿌듯해요 13 ㅇㅇ 2016/05/13 7,371
556933 요가 오래하신분 3 요가 2016/05/13 2,236
556932 입시설명회를 놓쳤는데요? 2 고3맘 2016/05/13 1,222
556931 단호박은 왜 안될까요?ㅜㅜ 1 ㅇㅇ 2016/05/13 1,277
556930 치킨을 후식으로 먹나요? 아니면 한끼떼우나요? 13 ㅇㅇ 2016/05/13 2,484
556929 사람의 말이 중요하다 싶어요. 3 2016/05/13 1,7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