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수학공부 하루 30분..

잠이안와 조회수 : 3,554
작성일 : 2016-03-01 01:16:12
수학 공부요..

선행이니 뭐니 말들 정말 많은데..

초등때는 하루 30분..
중등때는 하루 1시간.. 예습복습 심화
방학때 선행.. 방학땐 좀 많이
고 1때 수 2까지 다 끝내고..
이러면 다 되는거 아닐까요..

뭐 더 있을까요..

그냥 꾸준히 매일 조금씩 하다가
운동 근육만들듯이 키우는게 수학적 재능이라 생각하는데..

대단한거 있나요.. 너무 쉽게 표현하나요..
제가 저렇게 공부해서 수능 수학 만점.. 엄청 어려울때.
IP : 223.62.xxx.89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그냥
    '16.3.1 1:16 AM (223.62.xxx.89)

    사교육 시장에서 과외받느라 월 천씩 쓰고
    고생하신다는 얘기를 듣고 문득 생각나서 써봅니다...

  • 2. 수학 교수
    '16.3.1 1:23 AM (174.54.xxx.205)

    수학 교수에요.
    님 말씀에 100% 공감해요. 대단 한 것 하나 없어요.
    애들 성향 차이겠지만, 예습 보다는 복습! 꾸준히 하는게 중요 한 것 같아요.
    화이팅!!!

  • 3. 동감
    '16.3.1 1:39 AM (122.40.xxx.31)

    저는 아이 초등때부터 늘 그리 해 왔네요.

    중학교부터 모르는 문제 나와서
    문제 전부 다 풀어주는 인강 하나 들으니 해결.

    지가 풀다가 모르겠는 문제만 샘 강의 몇 번이고 듣고 이해하고.
    그런 식으로 수학 공부합니다.

    최고수준은 아니어도
    이 정도로 혼자 풀고 하다보면 앞으로 충분히 가능성 있다고 생각해요.

  • 4. ....
    '16.3.1 1:41 AM (59.28.xxx.145) - 삭제된댓글

    전 40대 중후반 여상 출신이예요.
    대학가고 싶었는데 부모님에게 떠밀려 여상 나와 직장다니다 부모님 몰래 입시 준비를 했어요. 그때가 수능 2회였어요.
    아무 정보도 없이 그당시 서울역 근처에 있던 종합학원에 등록을 했는데 끝까지 수학때문에 고생을 했죠.
    어찌어찌 운이 좋아 대학은 들어갔지만 수학을 잘하고 싶은 미련이 남아 틈나는 대로 수학책을 뒤적였어요.
    여전히 지금도 학년을 막론하고 수학책을 봐요.
    요즘은 제 아이 눈높이에 맞춰 설명하고자 초등 교과서 꼼꼼히 봐요. 요즘 수학교과서 정말 친절하대요.
    나 어릴적엔 왜 진작 몰랐을까?
    수학이 이리 재미 있었다는것을..

    중학교 때까지 그 흔한 참고서도 문제집도 없이 교과서만
    팠던(다들 그런줄 알았던) 어린 나는 요즘 같았던 환경이면 서울대를 가지 않았을까 하는~ 말도 안되지만 즐거운 상상을 하곤합니다.
    시간을 되돌려 초등학생으로 돌아갈수 있다면..

  • 5. 하루
    '16.3.1 1:47 AM (115.137.xxx.79)

    1시간 아니 가끔 풀이까지 2시간 걸릴 때도 있어요.
    하루 두세장...그것도 온전히가 아닌 겨우겨우.
    예비중인데 초1 부터 꾸준히 해왔는데
    정말 학원으로 보내야하나 싶어요. ㅜ.ㅜ
    애는 학원은 싫다는데 그렇다고 내가 하라는데로 하지도 않고.
    어찌됐든 문제집은 꼬박꼬박 성실하게 푸는데 구멍이 많아서
    실력이 안 늘어요.

  • 6. 머리
    '16.3.1 1:49 AM (180.224.xxx.92)

    머리 좋은 분들이시네요. 진심으로요. 들으면 듣는대로 읽으면 읽는대로 술술 풀려서 이해되고 머리에 차곡차곡 쌓이는 분들인 거지요.

    읽고 듣지만 술술 풀리지 않고 자꾸 엉키고, 엉킨거 푸는 동시에 새로 입력되는 정보 또 처리해야되고..간신히 처리해놓으면 제자리 찾아서 차곡차곡 저장되지 않으니 그거 또 자리잡아서 저장해줘야 되고...

    잘안되는 아이들이 더 많아요.

    그럼 다른 길 찾으라고요?

    요즘은 체대를 가려고 해도 어느정도는 공부 해야되요...

  • 7. ...
    '16.3.1 1:55 AM (183.98.xxx.95)

    아이마다 다르고 목표가 다르면 하루 30분으로 부족할수도 있다고 봅니다
    수학 머리가 있었던 아이 아닌 아이 둘 키워보니
    초등 저학년땐 하루 10분이면 되는 아이가 있고
    한문제 설명하고 이해시키고 다시 혼자 풀게 하는게 한시간도 넘게 ..
    어떤 문제는 끝까지 이해를 못하는 아이도 있었어요
    두 아이 이과가고 문과 가서 수학은 다 1등급 받았지만..
    결론은 아이마다 다르고 시기와 원하는 바에 따라 달라질수 있어요

  • 8.
    '16.3.1 1:56 AM (211.109.xxx.142)

    영재고 과고 준비학생한텐 택도 없어요
    종~~~~~~~~~~~~~일 수학만 해야해요 ㅜㅠ

  • 9. 수학 교수
    '16.3.1 2:15 AM (174.54.xxx.205)

    수학은 머리가 좋아야 한다는 소리를 많이 듣곤 하는데요. 머리가 얼마나 좋아야 할까요? 어떤 이론을 만들고 증명 하는 수준이 아닌, 대학 1-2년 수학 까지 경우, 대부분 보통 사람들은 다 잘할 수 있다고 생각 해요.

    예습/선행 이런 것 보다 복습 또 복습 또 복습이 중요 합니다.

    더하기를 배우고 나서 곱하기를 배우잖아요. 사실 더하기를 정말 열심히 연습했다면, 곱하기는 그냥 되어야 하는데, 대부분 곱하기 외우잖아요. 마찬가지로 삼각 함수만 잘 하면 나머지 미분 적분은 그냥 되는데...삼각 함수 대충 해 놓고는 미분 적분 하니까..걷는게 서투른 아이에게 뛰라고...

    요즘 부쩍, 숫자를 대충 아는 아이들(!) 더하기를 가르치고, 더하기를 대충 알 뿐인데, 곱하기를 가르치곤 하죠. 왜 때문에? 빨리 아는게 뭐가 그리 급할까요?

    어린 아이들 급하게 더하기 곱하기 이런 거 가르치지 말고, 놀이 삼아서 1,, 2, 3,...100까지 말 해 가면서 걷고, 거꾸로도 세어 보고... 하나 건너 뛰어 세고...1, 3, 5, 7... 2, 4, 6, 8... 더 잘 하면 두개 건너 뛰고... 세개 건너 뛰고... 이것만 주구장창 잘 해 놓으면, 학교 들어 가서, 더하기 배우면 뚝딱 할텐데... 아쉬워요. 더하기 일단 시작 해서 좀 한다 싶으면 곱하기...아니 왜 때문에? 더하기를 주구장창 지겨워 죽을때 까지 하다 보면, 곱하기 배우면, 뭐 구구단 외울 필요도 없이 뚝딱 할 텐데 말이죠.

    모든 단계가 항상 이런 씩이에요. 부모들의 욕심이 아이들과 수학계를 망쳐요. 제발 선행/예습 관두시고, 복습 복습 복습...부탁 드립니다.

    약간 지겹게 머리 자극을 들 받고 자란 아이들이 창의적이지 않나...하는 생각을 가끔 하곤 합니다. 여기서 자극이란, 억지로 공식을 가르쳐서 외워 적용 시키는 것을 말하는 거에요. 창의적인 생각을 할 수 있으려면, 멍~~~~ 때리고 있는 시간이 절대적으로 필요 하다고 생각 해요.

    장난감.게임 이런 시간 없애고, 그냥 맨땅에 해딩...하는 시간을 주자는 거죠. 아무 것도 주지 말고..... 멍~ 지겨워 죽겠다 하는 시간.... 바닷가에 갈때 이런 저런 놀이 기구를 가져 가지 말고...그냥 바다만 멍~ 때리고 바라 모는 시간을 주자는 거죠.

    헉...말하다 보니 너무 멀리 간 듯...ㅎㅎ
    나중에 제가 적은 글 보고 부끄러워 지울 듯 하네요.

    그만 갈께요.

  • 10. 수학교수님
    '16.3.1 2:42 AM (211.178.xxx.221) - 삭제된댓글

    재밌는글 잘봤는데요.
    수학과에서는 주로 무슨공부를 하나요.?
    서울대 수학교양수업하시는 선생님 특강들은적있는데
    생각보다 비주얼해서 깜짝놀랐거든요.
    철학이나 예술에 가까운 가설을
    이미지화한다는 인상을 받았는데
    어떻게 생각하세요?

  • 11. 여기서
    '16.3.1 7:59 AM (211.179.xxx.210)

    영재고 과고 준비하는 아이들 얘기는 뭔가요?
    원글님이 말하는 일반적인 경우가 아니잖아요.

  • 12. 과도한 선행이
    '16.3.1 8:25 AM (223.62.xxx.89)

    좀 뜨악한게...

    한살짜리에게 기저귀 떼라고 하는거 같아요
    해봤자 고생만 하고 시간만 버리고 아무리 노력해도 안되죠

    적절한 시기에 기저귀 떼라고 하면 몇일만에 떼는데...

    그리고 하루 30분 하루 한 시간 큰거 같죠..?
    그거 정말 충실하게 잘 하는 사람 잘 없던데..

  • 13. 위에 수학교수님
    '16.3.1 8:26 AM (223.62.xxx.89)

    좋은 댓글 인데 지우지 말아주세요
    부탁드립니다 ㅎ

  • 14. 저도 그냥 현행만
    '16.3.1 9:22 AM (112.152.xxx.96)

    했지만 ᆢ중학교 가려고 학원 가니 멘붕ᆢ그테두리가 초등밖에 해당안된다는 생각이ᆢ들더군요 6반중에 지학년꺼 시작하는반이 딱1반밖에 없어요ᆢ나머진 다 선행반 이고요

    웃낀건 혼자 하다가 늦게 학원가면 진도 맞춰서 들어갈반도 없겠더라구요 현실은 6년동안 학원 신경끄고 살아서 그렇구나 싶더라구요 좀더 빨리 학원 보낼껄 싶더라구요 현실은 내의지 내생각이랑 많이 달라서 씁쓸했어요

  • 15. ..
    '16.3.1 10:18 AM (220.121.xxx.245)

    원글에 동의하는 입장이지만
    저는 시간을 정하기 보다는
    학습량을 정해서 꾸준히 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고 생각해요.
    때로는 빨리 끝내기도 하고 때로는
    두, 세배의 시간이 걸려서 끝내기도 하면서
    생기는 만족감과 약간의 희열감이 수학공부를
    더 재미있게 할 수 있다고 생각해요.

  • 16. ..
    '16.7.21 3:45 AM (64.66.xxx.204)

    수학공부...감사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72045 운전면허 도로주행 떨어졌어요 5 면허 2016/07/01 2,370
572044 점쟁이가 천도제 지내면 운 풀린다는걸 믿고 시키는대로 하려는 남.. 5 ,,, 2016/07/01 2,252
572043 리틀팍스 괜찮나요.. 7 5학년 2016/07/01 3,837
572042 추워서 식당을 못가겠어요. 24 2016/07/01 6,085
572041 쇼미더머니5 10 봄밤 2016/07/01 1,144
572040 어제 능력자들에 나온 항공사 마일리지 구입하는 방법 5 ;;;;;;.. 2016/07/01 2,833
572039 성수기 마일리지 항공권 5 아이린 2016/07/01 1,323
572038 용인수지 한선교도 가족채용..새누리 가족채용 7명으로 늘어 18 벌써7명째 2016/07/01 2,807
572037 부자가 되고 싶어요. 8 ㅇㅇ 2016/07/01 3,266
572036 발아현미 샀는데요.. 쌀이랑 섞어서 밥하면 되는건가요? 2 열매사랑 2016/07/01 965
572035 직장다니시는 분들.. 2 난처 2016/07/01 792
572034 단독주택 구입할 만한 동네 어딜까요? 6 Sd 2016/07/01 3,536
572033 들깨 모양 벌레가 있어요 12 뭐지 2016/07/01 3,967
572032 감자 버터 구이 해먹었어요 12 내살도 찐다.. 2016/07/01 3,279
572031 혹시 골프 캐디하시는분 있으신가요? 2 이비 2016/07/01 3,134
572030 자유와 안정은 동시에 못갖나봐요 1 ㄴㄴ 2016/07/01 829
572029 설사나서 병원약 일주일 먹었는데 그대로에요~ 6 호롤롤로 2016/07/01 1,294
572028 아까 월세 만기 물어본 사람인데요 2 안녕 2016/07/01 793
572027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사드 배치에 거듭 우려 표명 1 미쿡사아드 2016/07/01 472
572026 지친 인생도 다시 정비해야 하겠죠? 6 오십 이후 2016/07/01 2,128
572025 잘못한건 사과 좀 하고 살아요 우리.. 7 이럴수는 2016/07/01 1,122
572024 세살 아이가 김치맛에 반했나봐요^^ 17 하늘 2016/07/01 3,349
572023 샤워할때, 양손에 끼는 장갑,,추천해주세요. 9 .. 2016/07/01 1,834
572022 생물 오징어 언제까지 냉장고에 보관가능한가요? 4 궁금 2016/07/01 2,977
572021 사주라는 걸 처음 봤는데, 이럴땐 어떻게 생각해야 하나요. 황당.. 14 .... 2016/07/01 4,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