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연말정산.....

..... 조회수 : 4,381
작성일 : 2016-02-29 16:01:01
이번 달에 월금에서 160만원 깎여서 들어왔길래 남편한테 연말정산 내역서 좀 보내달라고 했더니
이번에 480만 원 뱉어내야 하네요.

작년에 비슷한 조건에서 90만 원만 더 냈거든요.

그런데 연봉금액대도 비슷하고 다 비슷한데 작년에 비해 400만 원이나 더 내는게 말이 되나요.

경리가 다시 확인해서 내역 보내줬는데 480만 원 확정이에요.

석 달에 걸쳐 나눠낸다고 하는데 정말 황당하네요. 


IP : 114.93.xxx.181
3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16.2.29 4:05 PM (211.237.xxx.105)

    뭐 그만큼 인적공제가 적어졌든지 했겠죠. 애들이 성인이 됐다든지 (예를 들어서 말이예요)
    아니면 기존 세액공제를 덜해서 급여를 조금씩이라도 더 많이 받아왔든지요.
    세금 미리 덜 낸거 더 내는 거라서 무작정 억울해 할게 아니래요.
    전 이럴줄 알고 차라리 미리 많이 떼어가라 했어요. 환급받는게 낫지 토해내면 너무 힘들어져서..
    저희 회사는 경리과에 문의하면 미리 세금을 더 내게 해주던데요.

  • 2. ...
    '16.2.29 4:08 PM (114.93.xxx.181)

    6세 이하 어린이가 자라났고요. 나머진 다 똑같아요.
    올해부터 월 작년의 120% 세금 내기로 했어요.
    타격이 너무 커서 이거 뭐 정신을 못차리겠네요.
    소득구간 변경이 좀 컸나봐요. 작년에 소득구간 경계에 있었던듯... ㅠㅠ

  • 3. ....
    '16.2.29 4:10 PM (112.220.xxx.102)

    연말상여금이나 성과금 왕창 받으셨나..?
    제작년보다 세금도 더 많이 냈는데도 토해내다니요..
    그럴일은 없어요..

  • 4. 저휘두요~
    '16.2.29 4:18 PM (182.209.xxx.224)

    완전 같은데
    작년보다 2백 더 내요.흑흑
    어이가 없어요!

  • 5. 저휘두요~
    '16.2.29 4:18 PM (182.209.xxx.224)

    심지어 올해엔 연금저축도 들었는데요.흑 ㅠ

  • 6. 와...
    '16.2.29 4:21 PM (211.210.xxx.30)

    연봉이 좀 높은가 보네요. 저도 몇만원 더 내긴 합니다만.

  • 7. ....
    '16.2.29 4:25 PM (114.93.xxx.181)

    작년과 비슷한데 200 더 내는 분 계시군요.
    저 같은 분이 또 계신지 궁금했어요.

  • 8. 회계 파트
    '16.2.29 4:27 PM (128.134.xxx.83)

    회계 파트가 잘못했네요..
    연봉이 인상되면 그만큼 조금은 계산하고 세금을 더 제하고 지급했어야 하는데..
    나라에서 무이자로 빌린 거다 생각하세요.. 세금 비율 조정할 수 있게 되어서 동료 중에서는 최소한으로 조정한 경우 좀 있어요. 특히 남자 동료들.. 무이자로 빌리는 거라고..
    하지만 기분은 좀 나쁘죠.. 그래서 저도 뭐 최대로 떼는 것을 선택하지는 않았지만 걍 중간만 떼는 걸로 내버려뒀어요..

  • 9. ㅇㅇ
    '16.2.29 4:27 PM (211.237.xxx.105)

    솔직히 연봉 높으신거죠.. 너무 속상해 마세요. 많이 버니까 세금 그정도 내는겁니다..

  • 10. 전반적으로
    '16.2.29 4:32 PM (119.67.xxx.187)

    세금인상된건 사실이에요.
    저희도 비슷힐 조건에ㅈ올해 더 소비했는데 작년에 70만원 돌려받았는데 올해는 150. 더 냅니다!75씩 두달에 나뤼 뜯깁니다.저도ㅈ너무 어처구니가 없는데 세액공제로 뭔가로 변경돼서 이제 13월의 월급도 옛말이라하네요!!실질적인 증세인데 증세없는 복지한다고 입에 침도 안바르고 거짓말하는 정권을 욕해야지요.

    주변에 작년.올해 돌려받는다는 지인들 거의 못봤어요.
    그렇다고 급여가 올랐냐하면 꼭 그렇지도 않습니다.
    교묘히 세법을. 다 고친게 주원인건 같습니다!!

  • 11. ...
    '16.2.29 4:32 PM (175.192.xxx.186)

    매달 뗀 세액을 재작년과 비교해 보세요.
    작년엔 매월 세액을 덜 떼었을 것 같ㄴ요

  • 12. ㅇㅇㅇ
    '16.2.29 4:35 PM (203.251.xxx.119)

    국가에 세금이 모자란답니다.
    재벌 법인에 깎아주고해서

  • 13. ....
    '16.2.29 4:36 PM (114.93.xxx.181) - 삭제된댓글

    작년 세금을 제작년보다 조금씩 매월 더 냈구요.
    그래서 그나마 저 정도구요.
    재작년과 똑같이 냈다면 아마 뱉는 금액 훨씬 많아졌을거에요.

  • 14. ....
    '16.2.29 4:36 PM (114.93.xxx.181)

    작년 세금을 재작년보다 조금씩 매월 더 냈구요.
    그래서 그나마 저 정도구요.
    재작년과 똑같이 냈다면 아마 뱉는 금액 훨씬 많아졌을거에요.

  • 15. 우리도
    '16.2.29 4:38 PM (61.83.xxx.60) - 삭제된댓글

    170토해요. 바뀐해부터 쭉!!!!!! 열불이 나서 정말...

  • 16. ㅇㅇ
    '16.2.29 5:02 PM (211.215.xxx.166)

    아직 정산안했는데 두렵습니다.
    주위에 정산한 친구들 다들 원글님처럼 말하네요.

  • 17. .......
    '16.2.29 5:05 PM (175.192.xxx.186) - 삭제된댓글

    왜 애초에 제대로 세액을 공제하지 않는걸까요?
    걱정되네요.

  • 18. .......
    '16.2.29 5:06 PM (175.192.xxx.186)

    왜 애초에 제대로 세액을 공제하지 않는걸까요?
    걱정되네요.
    나라에서 중도에 세법을 변경했을 것 같지 않고 소득이 비슷하다면
    경리파트에서 안일하게 처리한건가요?

  • 19. ......
    '16.2.29 5:12 PM (218.236.xxx.244)

    앞으로 점점 더 늘어날겁니다. 내년부터 신용카드는 아예 공제가 안된다고 하구요.
    이런식으로 서서히 목을 조르고 있는거죠.

  • 20. ...
    '16.2.29 5:15 PM (114.93.xxx.181)

    작년부터 건강보험료가 공제가 안되는걸로 바꼈네요. ㅠㅜ

  • 21.
    '16.2.29 5:19 PM (119.14.xxx.20) - 삭제된댓글

    작년엔 이백만원 가량 더 냈는데, 올해는 몇 백 수준이라 해서 떨고 있습니다.ㅜㅜ

  • 22. ...
    '16.2.29 5:21 PM (114.93.xxx.181)

    윗님...어떡해요.... ㅠㅠ
    맘의 준비 단단히 하셔야 할 듯...

  • 23. 일반적으로
    '16.2.29 5:24 PM (119.67.xxx.187)

    연봉.성과금을. 더. 받은걸로. 사람들이 치부해버리는데 빠진항목.세법을 바꾸서 세액이 더 늘었습니다.
    작년부터..
    작년에 연말정산 대란 일었을때 사람들이 항의하고 난리 피워 일부 조정은 되었지만 크게 달라지지 않았고 공제대상 도 많이 빠져서 실제 증세가 된거라고 보면 됩니다!@

    뭐.다달히 급여에서. 세금을 덜 제했다고 과거식으로. 짐작하는데 실제. 세금을 교묘하게 늘렸습니다.
    주변에 몇년전처럼. 병원비.체크카드.신용카드 한도액 꽉꽉 채워도 환급받는 액수도 인원수도 엄청 줄어서 국세청이 두둑하게 거둬들였습니다.

  • 24. 작년
    '16.2.29 5:37 PM (211.204.xxx.197)

    제가 남편꺼 매년 국세청 자료 확인하고 내는데
    저도 카드, 체크, 현금 더 많이 지출했고
    공제부분 똑같고
    작년엔 의료비도 많이 쓰서 이번엔 의료비도 해당되었는데
    작년보다 더 토해네요.
    참고로 월급은 3년째 동결상태입니다.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 다 올랐어요.

  • 25. ///
    '16.2.29 5:37 PM (183.103.xxx.233)

    원글님 다시 보세요
    건강보험료와 고용보험료 공제 됐었요.

    기본적으로 경리담당자가 급여에서 세액을 공제할때 조견표에 나와 있는
    세금으로 공제했으면 절대 환수당하는일이 없을텐데,
    기분의 문제지만 환급보다 환수당하는게 개인들에게는 이익이니까
    경리에게 고맙다고 해야될것 같기도하네요.

  • 26. //
    '16.2.29 5:42 PM (114.93.xxx.181)

    다시 봤는데요.
    특별공제란에 있는 건강보험료가 작년엔 공제되지 않았어요.
    재작년엔 공제 됐고요.

    고용보험료는 작년에도 공제됐네요.

  • 27.
    '16.2.29 6:00 PM (39.7.xxx.179)

    서민들 세금 걷는게 무섭네요. ㅠㅠㅠㅠ
    정멀 숨통 조이나봐요

  • 28. ..
    '16.2.29 6:29 PM (119.204.xxx.212)

    4년전부터 100~200 늘 토해냈는데 올해는 월급 날라갔어요.. 600이상 3개월동안 월급에서 200이상 떼내면
    뭐 먹고 살라는건지.. 무쟈게 떼가네요. 이제 이맘때만 되면 무서워요... 주변에 돌려받는 사람없고 몇백씩 다들 떼가더군요.TT

  • 29. 교묘하게 세금 올린것
    '16.2.29 7:08 PM (14.54.xxx.168) - 삭제된댓글

    유리지갑 봉급생활자들 상대로
    교묘하게 세금 올렸습니다
    소득공제를 세액공제로 어쩌구 하면서요

  • 30. 지나가다
    '16.2.29 9:03 PM (1.235.xxx.250)

    이해가 안되서 몇자적습니다
    올해 우리회사 급여에서 연말정산산것은
    환급이 대부분인데...
    세금이 원글님 말하는 수준으로 많이 올랐다면
    회사에 문의해보세요
    원글님,몇몇댓글들과같이 세금이 인상되었다면
    뉴스에 먼저나옵니다
    작년에 연말정산후 세금토해내는것때문에
    뉴스거리였는데..
    올해는 선거철이라 환급이많나했거든요
    참고로 저는 경리파트 담당자입니다

  • 31. ///
    '16.3.3 9:22 AM (183.103.xxx.233) - 삭제된댓글

    원글님 댓글을 이제야 봤었요.

    제가 가지고 있는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에는
    특별소득공제란에서 건강보험료(노인장기요양보엄료포함) 공제 되어 있어요

    그 회사에서 연말정산시 뺐는지, 빠졌는지 다시 확인해 보시고
    정말 빠졌다면 5월달에 수정 신고 해 달다고 하세요.

    이상하네요. 이걸 회사에서 뺄수도 없을텐데...

  • 32. ///
    '16.3.3 9:28 AM (183.103.xxx.233) - 삭제된댓글

    원글님 댓글을 이제야 봤었요.

    제가 가지고 있는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에는
    특별소득공제란에서 건강보험료(노인장기요양보엄료포함) 공제 되어 있어요

    그 회사에서 연말정산시 뺐는지, 빠졌는지 다시 확인해 보시고
    정말 빠졌다면 5월달에 수정 신고 해 달다고 하세요.

    저도 저희회사 경리책임자라서 연말정산에 대해서 알만큼 아는데요
    단언컨데, 연말정산시 건강보험료가 공제는 반듯이 됩니다

  • 33. ///
    '16.3.3 9:31 AM (183.103.xxx.233)

    원글님 댓글을 이제야 봤었요.

    제가 가지고 있는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에는
    특별소득공제란에서 건강보험료(노인장기요양보엄료포함) 공제 되어 있어요

    그 회사에서 연말정산시 뺐는지, 빠졌는지 다시 확인해 보시고
    정말 빠졌다면 5월달에 수정 신고 해 달다고 하세요.

    저도 저희회사 경리책임자라서 연말정산에 대해서 알만큼 아는데요
    단언컨데, 연말정산시 건강보험료가 공제되는게 맞습니다.

  • 34. ....
    '16.3.3 4:33 PM (114.93.xxx.41)

    그런가요.
    그럼 다시 회사에 문의할게요.
    건강보험료 공제건으로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53943 김종인이 당선자회의에서 12 .. 2016/05/03 1,477
553942 초6여학생 질문 2016/05/03 569
553941 할머니의 편애 1 오래전 일 2016/05/03 972
553940 서울대에서 시간보낼곳, 어디가 좋은가요? 11 서울 2016/05/03 1,767
553939 E1등급 장롱 6개월정도 두면 독성이 빠질까요. 2 .. 2016/05/03 1,187
553938 지금 마른 여중생 학원 혼자 걸어가면 위험할까요? 8 직딩맘 2016/05/03 1,705
553937 월세 얼마에 사냐고 묻는 사람 7 ..... 2016/05/03 2,943
553936 어제 뉴스룸 앵커브리핑 한줄.. 1 손사장님짱 2016/05/03 876
553935 또! 오해영 보는데 불편했어요 5 ㅇㅇ 2016/05/03 4,280
553934 아침에 티비앞에서 오빠가 김고은씨에프보더니... 25 날흐리네 2016/05/03 7,844
553933 50대 여성이 입는 편한 캐주얼바지는 어디서 살까요? 3 바람 2016/05/03 2,070
553932 드라마 시그널이 아직도 생각 나요. 5 2016/05/03 1,498
553931 정수기 수조형 or 직수형 어떤게 나은지요? 2 정수기 2016/05/03 1,974
553930 임신에 대한 두려움 14 마음 2016/05/03 3,394
553929 배가 뒤틀리면서 숨이 순간적으로 안 쉬어져요ㅠㅠ 7 위궤양인가요.. 2016/05/03 3,134
553928 3학년 딸아이이 상장에 대하여...이게 공평한건지 봐주세요 5 공평? 2016/05/03 1,393
553927 3인 식구 24평. 작나요? 10 ... 2016/05/03 7,827
553926 맨하탄에서 말도 안했는데 한국사람인줄 아네요. 29 .. 2016/05/03 6,256
553925 20평대 아파트 추천 부탁드려요.. 2 나르샤 2016/05/03 1,161
553924 제발 말좀 해줬음 좋겠어요 1 ㄷㄴㄷㄴ 2016/05/03 711
553923 멀미 심한 분들 어떻게 지내세요 17 .. 2016/05/03 2,176
553922 제가 어떤 결정을 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12 결정 2016/05/03 2,461
553921 진공 이불팩 쓰시는 분들께 여쭤봅니다. 5 2424 2016/05/03 2,374
553920 강남 영동대로에 만든다는 지하도시(?) 싱크홀 문제는 없는것인지.. 2 .. 2016/05/03 1,287
553919 연년생 아이들 서열 39 점오 2016/05/03 3,5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