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집안에 같은 질환이 몇명이상 있어야 가족력 또는 유전력으로 판단하나요?

........... 조회수 : 1,875
작성일 : 2016-02-27 09:23:29

보통 병원가면 가족력 있나 유전력이 있나 묻잖아요.

같은 질환으로 몇명 이상이 들어가야 해당되나요?



IP : 216.40.xxx.149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아~~~
    '16.2.27 9:26 AM (59.11.xxx.51)

    주로 부모님중한분만 계셔도 가족력있다고 하더군요 결과적으로 한집안에 같은 즉 직계가족중 두명만있어도~~

  • 2. 예전에
    '16.2.27 9:31 AM (112.149.xxx.111) - 삭제된댓글

    사기결혼 당한 지인이 처음 시가에 갔더니 반 이상 갑상선 항진증으로 눈이 튀어나와 있다길래,
    자식 낳으면 유전되는 거 아니냐고 82에 물었어요.
    유전병 맞다고 할 줄 알았는데 낳아봐야 안다는 댓글이 많아서 놀랬네요.
    한국에 갑상선 환자가 급증했다더니 죄다 갑상선 환자만 들어와 댓글 단 건지,
    아님 다들 그 정도 확률에는 자식을 놓고도 도박이 가능한 건지 의아하더군요.

  • 3.
    '16.2.27 9:55 AM (223.33.xxx.100) - 삭제된댓글

    병원에선 가족 중 한명만 병 있어도 가족력이라 하던데요. (아빠 아님 엄마)

  • 4.
    '16.2.27 9:57 AM (211.36.xxx.254) - 삭제된댓글

    2명이상요 가족이나 가까운친척중 그런병이 혼자걸려있음 가족력이 아니죠

  • 5. ..
    '16.2.27 10:02 AM (219.250.xxx.57) - 삭제된댓글

    병에 따라 다르다고 알고 있어요
    유전 요인이 많은 질병은 한 명만 있어도 가족력이 있다고 말하는게 맞고요
    그렇지 않은 병이라면 가족력이라고 하기는 좀 어렵지요
    건강검진을 때 가족 중 다음에 병을 앓은 사람이 있습니까 체크 하는 항목이
    보통 흔하게보는 병 중에서 가족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질병들인 것 같아요

  • 6. ///
    '16.2.27 10:09 AM (1.224.xxx.99)

    부 또는 모. 또는 친조부모 외조부모중의 하나라도 유전병 있으면 그게 가족력 입니다.
    두명도 아니고 한명 입니다. 한명.
    이래서 집안을 봐야한다는 말이 나오는거지요.

    친아빠 고혈압 이였어요. 오빠 나 고지혈증 이에요. 이미 10대부터 높았어요.

  • 7. 원글
    '16.2.27 10:14 AM (216.40.xxx.149)

    무섭네요. 단 한명만 있어도 가족력이라니 참....

  • 8. 가족력질환
    '16.2.27 10:26 AM (218.147.xxx.246)

    대부분하나씩은 있을걸요??

  • 9. ..
    '16.2.27 11:20 AM (112.140.xxx.220)

    가족력과 유전은 다릅니다.

    유전으로 인한 질환은 염색체나 유전자의 변이로 인하여 나타나는것에 비해
    가족력은 환경적인 요인이나 생활습관 등의 지배를 받습니다.

    따라서 유전과 달리 가족력은
    자신의 조부모, 외조부모, 부모, 형제자매까지 3대를 기준으로
    같은 질환자가 2명 이상일 경우 가족력이 있다고 판단합니다.

    보통 부모 보다 형제에게 질병이 있을 경우 내가 걸릴 확률이 평균적으로 2배이상 높아요.

  • 10. 저희 외가..
    '16.2.27 6:45 PM (218.234.xxx.133)

    제 외가, 즉 엄마와 엄마 형제들요, 6남매인데 그 중 4명이 암이에요. 저희 엄마 포함해서.
    친가는 고혈압-뇌졸중 병력인데 저희 아버지 포함 3분이 뇌졸중.

    저나 제 형제들 다 전전긍긍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55660 미국도 어지간히 바보들인가봐요 8 2016/05/09 1,660
555659 문재인 ,조선일보 사주 방상훈과 비밀리에 만났다. 21 ㅡㅡㅡㅡ 2016/05/09 3,087
555658 입맛 맞추기 너무 까다로웠던 어버이날 5 힘들다 2016/05/09 2,398
555657 아파트 1층 커텐 쳐놓고 살아야하나요? 2 ... 2016/05/09 2,656
555656 12살 노견 자궁축농증 수술후에도 토하고 49 걱정 2016/05/09 2,802
555655 시아버지상이라고 부고왔는데 문상가야하나요? 5 몰라서요.... 2016/05/09 8,896
555654 엄마들은 어쩜 이렇게 맛있게 반찬을 잘할까요? 10 행복 2016/05/09 3,840
555653 이케아 부엌이요 4 ;;;;;;.. 2016/05/09 1,754
555652 저가 스테이크 창업 어떨까요 30 장미축제 2016/05/09 5,305
555651 보험들고 병원처음 가는데... 3 보험무지 2016/05/09 813
555650 수시로 강아지풀어놓는 이웃에게 경고문..ㅠ 5 @@ 2016/05/09 1,406
555649 걷기운동 하면 얼굴이 붓는데... 16 ㅇㅇ 2016/05/09 5,375
555648 아버지가 제 아이들에게 백만원씩 주신다는데... 2 용돈 2016/05/09 3,234
555647 중이염 수술 후 비행기 탈 때 요. 4 중이염 2016/05/09 2,787
555646 퀴즈맞혀 보세요 6 !!?? 2016/05/09 15,654
555645 초면인 새댁들이 말을 까는데 ... 22 초면에 2016/05/09 4,474
555644 저의 다이어트 방법 6 ㅇㅇ 2016/05/09 3,773
555643 서울 강북쪽에 아이 보약 5 보약 2016/05/09 938
555642 해고가 쉬워지는 나라 2 부글부글 2016/05/09 1,066
555641 중학교수학공부법문의 2 중1 2016/05/09 1,162
555640 아기들 놀이 중에 이걸 뭐라고 검색하면 좋을까요? 3 바나나 2016/05/09 678
555639 월세 구할때 새입주아파트는 피하는게 좋나요? 2 .. 2016/05/09 1,492
555638 레스토랑에서 먹은 요리 집에서 구현 가능한가요? 4 2016/05/09 1,028
555637 서울/경기 18개월 아기랑 놀러갈만한 곳 추천해주세요'-'# 2 새별 2016/05/09 6,132
555636 빌라나 다세대 전세 들어갈시 유위사항좀 알려주세요~ 3 부동산 2016/05/09 1,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