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집안에 같은 질환이 몇명이상 있어야 가족력 또는 유전력으로 판단하나요?

........... 조회수 : 1,879
작성일 : 2016-02-27 09:23:29

보통 병원가면 가족력 있나 유전력이 있나 묻잖아요.

같은 질환으로 몇명 이상이 들어가야 해당되나요?



IP : 216.40.xxx.149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아~~~
    '16.2.27 9:26 AM (59.11.xxx.51)

    주로 부모님중한분만 계셔도 가족력있다고 하더군요 결과적으로 한집안에 같은 즉 직계가족중 두명만있어도~~

  • 2. 예전에
    '16.2.27 9:31 AM (112.149.xxx.111) - 삭제된댓글

    사기결혼 당한 지인이 처음 시가에 갔더니 반 이상 갑상선 항진증으로 눈이 튀어나와 있다길래,
    자식 낳으면 유전되는 거 아니냐고 82에 물었어요.
    유전병 맞다고 할 줄 알았는데 낳아봐야 안다는 댓글이 많아서 놀랬네요.
    한국에 갑상선 환자가 급증했다더니 죄다 갑상선 환자만 들어와 댓글 단 건지,
    아님 다들 그 정도 확률에는 자식을 놓고도 도박이 가능한 건지 의아하더군요.

  • 3.
    '16.2.27 9:55 AM (223.33.xxx.100) - 삭제된댓글

    병원에선 가족 중 한명만 병 있어도 가족력이라 하던데요. (아빠 아님 엄마)

  • 4.
    '16.2.27 9:57 AM (211.36.xxx.254) - 삭제된댓글

    2명이상요 가족이나 가까운친척중 그런병이 혼자걸려있음 가족력이 아니죠

  • 5. ..
    '16.2.27 10:02 AM (219.250.xxx.57) - 삭제된댓글

    병에 따라 다르다고 알고 있어요
    유전 요인이 많은 질병은 한 명만 있어도 가족력이 있다고 말하는게 맞고요
    그렇지 않은 병이라면 가족력이라고 하기는 좀 어렵지요
    건강검진을 때 가족 중 다음에 병을 앓은 사람이 있습니까 체크 하는 항목이
    보통 흔하게보는 병 중에서 가족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질병들인 것 같아요

  • 6. ///
    '16.2.27 10:09 AM (1.224.xxx.99)

    부 또는 모. 또는 친조부모 외조부모중의 하나라도 유전병 있으면 그게 가족력 입니다.
    두명도 아니고 한명 입니다. 한명.
    이래서 집안을 봐야한다는 말이 나오는거지요.

    친아빠 고혈압 이였어요. 오빠 나 고지혈증 이에요. 이미 10대부터 높았어요.

  • 7. 원글
    '16.2.27 10:14 AM (216.40.xxx.149)

    무섭네요. 단 한명만 있어도 가족력이라니 참....

  • 8. 가족력질환
    '16.2.27 10:26 AM (218.147.xxx.246)

    대부분하나씩은 있을걸요??

  • 9. ..
    '16.2.27 11:20 AM (112.140.xxx.220)

    가족력과 유전은 다릅니다.

    유전으로 인한 질환은 염색체나 유전자의 변이로 인하여 나타나는것에 비해
    가족력은 환경적인 요인이나 생활습관 등의 지배를 받습니다.

    따라서 유전과 달리 가족력은
    자신의 조부모, 외조부모, 부모, 형제자매까지 3대를 기준으로
    같은 질환자가 2명 이상일 경우 가족력이 있다고 판단합니다.

    보통 부모 보다 형제에게 질병이 있을 경우 내가 걸릴 확률이 평균적으로 2배이상 높아요.

  • 10. 저희 외가..
    '16.2.27 6:45 PM (218.234.xxx.133)

    제 외가, 즉 엄마와 엄마 형제들요, 6남매인데 그 중 4명이 암이에요. 저희 엄마 포함해서.
    친가는 고혈압-뇌졸중 병력인데 저희 아버지 포함 3분이 뇌졸중.

    저나 제 형제들 다 전전긍긍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60117 신랑들 스스로 건강관리 얼마나 하시나요? 7 oo 2016/05/24 1,216
560116 바리스타 자격증관련 궁금해서요 4 궁금 2016/05/24 1,816
560115 40대아줌마 4개월 재밋게 일하고 6 콩000 2016/05/24 3,204
560114 생리대 살 돈이 없어 휴지를 사용한다는 저소득층 청소년 65 아이구 2016/05/24 19,235
560113 레몬테라스 카페매니저요? 6 .. 2016/05/24 3,652
560112 반기문은 대선에 출마 할수 없군요 27 유엔결의안 2016/05/24 7,392
560111 전현희 토론 여유롭네요- 이것이 정치다에서 전현희 2016/05/24 699
560110 마카다미아 너무 맛있어요...살찌겠죠? 8 ㅠㅠ 2016/05/24 2,913
560109 스테인레스 텀블러는 보온보냉.... 4 보통 2016/05/24 1,311
560108 공부의 배신 1부에 나온 여학생 말이에요... 8 .... 2016/05/24 5,997
560107 잠실에 와인이나 술한잔 할만한곳 추천해주세요. 1 서울촌사람 2016/05/24 636
560106 중1 논술수업 필요한가요? 6 논술 2016/05/24 1,629
560105 집을 점유하겠다면서 중도금은 10프로만 내겠대요. 22 보통 2016/05/24 3,218
560104 버릴 옷이 많은데 13 베이지 2016/05/24 4,350
560103 일본소설을 읽었는데 기분이 나쁘네요 24 짜증 2016/05/24 5,857
560102 강인 음주사고 15 ㅉㅉ 2016/05/24 6,242
560101 소화잘되는 생선요리 5 반찬 2016/05/24 2,342
560100 내 엄마가 재혼해서... 52 솔직히 2016/05/24 12,074
560099 곰취나물, 나물취가 많은데 뭐 만들면 좋은가요 5 ㅇㅇ 2016/05/24 1,237
560098 전세금 반환 보증보험 가입하신 분 계시나요? 2 주인이 지불.. 2016/05/24 1,520
560097 서울대학교 근처 맛집 있나요? 6 서울 2016/05/24 1,973
560096 죽고싶지만 죽어지지 않네요 8 ㅇㅇ 2016/05/24 2,631
560095 헬스랑 수영 둘중 뭐가 살 잘 빠지죠? 16 살빼고싶어요.. 2016/05/24 4,432
560094 남편이든 아내든 다른 이성얘기를 꺼내는게 이상하다고 봐요. 7 구루루루 2016/05/24 2,525
560093 노회찬은 진짜 ㅎㅎㅎㅎ 8 ㅋㅋ 2016/05/24 2,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