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강순의김치강좌 들으면 김치 잘 담그게 될까요?

ㄹㄹㄹ 조회수 : 3,656
작성일 : 2016-02-25 13:58:31
혹시 들은 분 계실까요?
전화해보니 선생님이 시연하고 수강생들은 받아적고 시연한 그김치를 다음에 먹어본다고 하던데요
문제는 가격이 비싸서 망설여지네요. 드는 비용만큼 김치 담그는 실력이 늘까요? 하기나름이겠죠?
IP : 122.42.xxx.78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6.2.25 2:01 PM (112.155.xxx.165)

    방송프로그램에 나와서는 계량이 대충 주먹구구식이던데 강좌에서는 정확히 알려주시려나 궁금하네요

  • 2. 요리
    '16.2.25 2:03 PM (218.146.xxx.72) - 삭제된댓글

    요리 초보자보다, 기본적으로 김치를 담글 줄 아는 사람들이 듣는 것이 더 낫습니다.
    자기 김치보다 더 맛있게 담글 수 있는 비결을 담아 가는 거지요.
    근데, 조금 본인과 안 맞거나 귀찮은 과정을 거쳐야 한다면...못하는 거지요.
    그분은, 과정이 어렵고 몸이 힘들어도 숙명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있지만,
    일반인인 우리가 그 과정을 겪을 수 있을지요.
    요즘 김치도 사먹고 많이 먹지 않는 시대라서요.

  • 3. 저라면
    '16.2.25 2:07 PM (121.155.xxx.234)

    여기서도 맛있다는 레시피 찾아서 먼저 해볼래요
    실력을 키울려면 이거저거 많이 실습해보세요...
    김치맛이 거기서 거기 아닌가 싶은데

  • 4. cho
    '16.2.25 2:09 PM (223.62.xxx.83) - 삭제된댓글

    정확히 안 알려줘요^^;; 수업때도 주먹구구고요. 레시피가 있긴 한데 그 레시피가 정확하진 않아요. 그리고 그 분 김치는 맛은 확실히 있어요. 맛이 되게 독특해요~ 만드는 방식도 확독?학독?에 건고추 갈고. 고추씨 쓰고, 고구마 가루 쓰고..일반 김치랑은 조금 다르고요, 재료 고르는 건 깐깐하게 하시더라고요.
    근데 이런 건 레시피에 없는 거라..역시 요리솜씨는 시간이필요한 듯 해요.
    수업 때 미원 쓰신다는 말도 많은데..제가 직접 보진 못했어요. 대량으로 담궈서 더 맛있는 거 같기도 한데..요즘 가정에서는 그렇게 못하죠. 김치는 한 두번 배운다고 되는건 아니더라고요.
    차라리 가정요리 잘하시는 선생님거 수업 듣는 것이 레시피 면에서는 더 도움이 되실 수도 있답니다

  • 5. 또 욕먹을라
    '16.2.25 2:11 PM (211.36.xxx.40) - 삭제된댓글

    성질 드럽네 어쩌네 해도
    그 강좌들어보면 야채엄청싫어하는 모 블로거가 얼마나 대단한 포스팅을 했는지 알게될겁니다

  • 6. ㅁㅁ
    '16.2.25 2:14 PM (175.193.xxx.52) - 삭제된댓글

    그분 방식대로 하면 맛은 보장입니다
    다만 다 배우고도 힘들어서 생략합니다 ㅠㅠ

  • 7. 또 욕먹을라
    '16.2.25 2:14 PM (211.36.xxx.40) - 삭제된댓글

    참 저 김치배운다고 돈 많이 쓴 여잡니다

  • 8. ...
    '16.2.25 2:43 PM (218.156.xxx.149) - 삭제된댓글

    설탕말고 그린스위트 쓰라고 ㅎ
    그게 무슨

  • 9. 요리
    '16.2.25 3:07 PM (218.146.xxx.72) - 삭제된댓글

    ... 님
    나도...그거 그린스위트인가 뉴수가인가...그것 때문에요
    뉴슈가를 넣으면, 김치의 시원한 맛이 있고 어느 이상 시어 지지 않는다네요.
    방부 역활도 있고...

    울 시누이가 더운 나라에서 음식점을 하는데 뉴슈가를 넣은 물김치를 담는답니다.
    맛도 좋고, 시어지지도 않고 짱하고...여튼 칭찬을 많이 합니다.
    그 시누이...많은 병을 가지고 있어요.

  • 10. 따봉
    '16.2.25 3:41 PM (144.59.xxx.226)

    이분 책자가 나왔기에 지난 10월달에 구매해서,
    클래스 들을 엄두는 못하고 그냥 레시피 따라해보기 하기로 결정하고,
    김장 김치는 못하고, 총각김치를 시도 해보았어요.

    물론 레시피는 있어요.
    허나, 그 레시피의 양에 관해서는 주관적이기에 자신의 입맛을 감안을 해서 사용했지요.

    결과는!
    완전 따뽕! 따따봉!

    고추씨와 건고추 조금 갈아서 하는 것이 약간의 맛의 팁?이라고 저도 생각하고,
    건고추 가는 것은 그냥 믹서기 사용해서 갈았고,
    의외로 총각김치에 설탕이 레시피에서 이곳저곳 찾어도 없어서 고민하다,
    레시피 그대로 설탕을 안넣었어요. 아마 가을 총각무 자체가 달거라는 전제하에 레시피가 그랬나? 생각!

    많은 사람들이 이번 총각김치 먹어보고 완전 뽕~~ 하트 연시 날려 주었고,
    식구들 완전 뿅~~ 갔습니다.

    내년에는 배추김치도 시도 해 볼 예정입니다.

  • 11. 따봉님~
    '16.2.25 3:49 PM (219.255.xxx.213)

    간략하게 레시피 좀 알려주시면 감사합니다~
    고추씨는 건고추 안에 들은 걸로 넣으면 되나요?
    건고추 믹서기에 갈면 안에 들어 있는 씨랑 고추랑 같이 갈리니까요
    액젓은 뭘로 쓰나요?
    부탁 종 드립니다~^^

  • 12. 다른 과정 배웠는데,
    '16.2.25 4:57 PM (211.246.xxx.251)

    건고추는 물에 불렸다가 확독에 갈아서 쓰고, 풀 쑬때 고구마 가루 날콩가루 찹쌀가루로 쑨다고 들었어요. 총각김치 담을때 찹쌀조밥 갈아서 쓰시던 분도 있었고요. 확독은 항아리 만드는 곳에서 단체 주문해서 받았어요. 젓갈은 해물을 산지에서 직접 구매해서 소금 넣고 집에서 담으시더군요. 2002년 11월에 ebs최고의 요리 비결에서 강의하신게 나오네요.

  • 13. ...
    '16.2.25 5:26 PM (14.54.xxx.168) - 삭제된댓글

    김치는 절이기와 맛있는젓갈 사용하는것이
    맛을 좌우하더군요

  • 14. 211님~
    '16.2.25 5:39 PM (219.255.xxx.213)

    감사합니다~^^

  • 15. 저는
    '16.2.25 7:02 PM (223.33.xxx.42)

    당근정말시러님 백김치
    대박났어요
    김치는 그대로따라하면
    맛있었어요

  • 16. ...
    '16.2.25 7:05 PM (1.251.xxx.173)

    정성과 솜씨도 중요하지만요
    원재료가 맛있어야 해요
    배추절이는게 관건이죠
    젓갈도 맛있어야 하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73501 2016년 7월 6일 경향신문, 한겨레, 한국일보 만평 세우실 2016/07/06 581
573500 일국의 대통령이 시간도 많아요 일개 방송국 보도국장을 사퇴..... 6 대통령의 뜻.. 2016/07/06 2,047
573499 미국에서 요리하는 망치라는 분이요 11 . 2016/07/06 3,374
573498 詩) 아침에 시한술 - 내려갈 때 보았네 그 꽃 4 시가조아 2016/07/06 1,254
573497 분노조절장애.. 이런것도 사주에 나오나요? 5 ... 2016/07/06 3,452
573496 묵주 기도 하시는 분들.. 5 ;;;;;;.. 2016/07/06 2,832
573495 투자에 대한 고견을 듣고 싶습니다. 1 궁금이 2016/07/06 1,033
573494 인사하는게 너무 힘들어요. 5 ㅠㅠ 2016/07/06 1,870
573493 텔레그램. 메세지 삭제 정말 되나요? 3 2016/07/06 3,492
573492 돈없고 차 필요한 내가 본 180만원짜리 중고차- 31 ... 2016/07/06 8,401
573491 국회, '황교안 총리 궤변 말라'에 새누리 폭발 아수라장 5 .. 2016/07/06 1,493
573490 제가 아이를 잘 못 키우는 것 같아 괴로워요 24 무명씨 2016/07/06 9,107
573489 82하는 중에 치명적인 바이러스에 감염 됐다고. 7 2016/07/06 3,032
573488 영어잘하는 이과 여자 아이 진로.... 6 dd 2016/07/06 1,839
573487 다들 82 괜찮으세요???? 17 ....82.. 2016/07/06 3,962
573486 심플한 디자인이 이제 안 어울리네요.. 1 .. 2016/07/06 1,996
573485 알란탐 고맙네요. 6 불타는 청춘.. 2016/07/06 3,800
573484 로이터, 한상균 5년 선고는 평화적 시위의 권리 무시한 것 2 light7.. 2016/07/06 652
573483 연애하지 않을 자유 연애하지 않.. 2016/07/06 841
573482 깍두기 담을때 멸치액젓을 꼭 넣어야 하나요..?? 7 ... 2016/07/06 2,270
573481 울산 해역서 진도 5.0 지진 지진 2016/07/06 802
573480 교통사고 났어요. ㅠㅜ 2016/07/06 1,490
573479 악수 세게 하는 사람은 습관인가요? 별 의미는 없겠지만 7 // 2016/07/06 1,509
573478 열무 15단... 뽑아놓고 처리가 힘들어서 ㅠㅠ 5 ㅇㅇ 2016/07/06 1,788
573477 질염증상 질문드려요 1 .... 2016/07/05 1,7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