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왜 테러방지법이 필요한지에 대한 반박은 없고

ㅇㅇ 조회수 : 706
작성일 : 2016-02-25 11:31:35
반대여론 까기에만 급급함
명분도 없는데 우기고 인신공격 물타기에만 혈안... 이것만으로도 알만하네요. 물타기하려해도 다 티나는데 어쩔...
그래도 찍어주는 사람들이 있다는게 더 기함할만한 일이지만요
IP : 175.223.xxx.243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중국이
    '16.2.25 11:43 AM (223.62.xxx.116)

    사드 배치안한단조건으로 대북재제에 동참한답니다
    돈줄막힌 북한의 선택은 테러가 가장유력하죠

  • 2. ..
    '16.2.25 11:58 AM (121.100.xxx.145) - 삭제된댓글

    중국이

    '16.2.25 11:43 AM (223.62.xxx.116)

    사드 배치안한단조건으로 대북재제에 동참한답니다
    돈줄막힌 북한의 선택은 테러가 가장유력하죠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그러면 총선에 누구를 찍어야 할까요?

  • 3. 원글
    '16.2.25 12:33 PM (175.223.xxx.243)

    테러방지법이 북한을 고려한게 아니라는 글을 어디서 분명 봤는데 못찾겠네요

  • 4. jtbc 뉴스에서
    '16.2.25 12:45 PM (121.100.xxx.145) - 삭제된댓글

    [정의화/국회의장 : IS 등 국제적 테러 발생과 최근 북한의 도발적 행태를 볼 때, 국민 안위와 공공의 안녕·질서가 심각한 위험에 직면한 것으로 볼 수 있다는 판단을 내렸습니다.]

    여기에서 쟁점이 발생하는데, 정말 지금이 국가비상사태냐, 이렇게 얘기할 수 있느냐는 것이죠. 그러니까 이것 때문에 논란인데…

    이호진 기자, 정 의장의 말대로라면 직권상정이 가능한 겁니까?

    [기자]

    네, 국회법에는 모두 세 가지 경우 직권상정을 할 수 있게 돼 있는데요.

    말씀하신 대로 정 의장이 선택한 것은 두 번째, 전시·사변 또는 이에 준하는 경우입니다.

    [앵커]

    무척 간단하게 나와 있기는 합니다, 그렇죠? 일단 국가비상사태로 직권상정을 한 전례가 없기 때문에, 어떤 기준으로 살펴볼 수 있을까요.

    [기자]

    국가비상사태라면 어떤 것이 가능해지는지, 우리나라 법령을 통해 들여다봤습니다.

    먼저 헌법이 있죠. 대통령이 계엄도 선포할 수 있다, 이렇게 돼 있습니다.

    정상적인 정치활동이 중단되고, 국민의 기본권까지 제한될 수 있다는 거죠.

    [앵커]

    만일 비상사태라면. 계엄령에 관한 부분 방금 나왔습니다만, 물론 법률에 나와 있는 것을 그대로 전한다고 해도 너무 극단적인 경우를 얘기하는 것이 아닌가. 꼭 저것만 이번에 적용할 수 없지 않으냐 이런 의견인데 그건 어떻게 봅니까?

    [기자]

    그만큼 우리 법령에서 '국가비상사태'를 전시에 준하게 판단하고 있다는 건데요.

    여러 가지 법령이 있겠지만 일단 국가공무원 규칙에 따르면, 공무원부터 비상이 걸려야 합니다. 연가를 중지하고, 최대 3분의 1까지 비상근무를 해야 한다고 돼 있습니다.

    예비역이신 분들 놀라실 수도 있는데요. 병역법에는 병무청장이 예비역 등을 동원해서 소집할 수 있다고 되어 있습니다.

    또, 전기통신법과 철도법상 정부는 전화나 철도도 끊을 수 있습니다.

    [앵커]

    비상사태라면.

    [기자]

    네. 이 정도는 돼야 국가비상사태라고 볼 수 있는 거죠.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과연 이 상황을 법적으로 국가비상사태라고 볼 수 있느냐, 하는 겁니다. 전문가 이야기 들어보시죠.

    [한상희 교수/건국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 군대에 비상동원령이 내려진 것도 아니고, 경찰에 전국 경계령이나 진돗개 상황이 발령된 것도 아니고, 하다못해 대한민국 정부 어느 귀퉁이에도, 비상대책위원회 하나 되어 있는 게 없거든요? 최소한 국회의장이 비상사태라고 이야기를 하려면, 적어도 국회 사무처에 비상기획단을 만든다든지, 북한이 핵무기를 쏘면 국회는 어떻게 대처할 건지 계획을 짜라든지, 그 정도는 해놓고 비상사태라고 해야죠.]

    발생할 가능성만으로 비상사태가 될 수는 없다는 설명입니다.

    [앵커]

    이렇게 말씀하시는 전문가들도 있으실 테고 아마 국회의장실에서는 다른 사람들한테 물어보고 판단을 했을지도 모르겠는데 일단 그것까지는 제가 잘 모르겠고. 현실적인 면도 고려할 수밖에 없지 않으냐. 그러니까 논란은 있는 부분이기는 하지만 명백하게 위험한 상황이 예상된다면, 그러니까 정의화 의장의 말대로 불가피하게 결단을 내려야 하는 그런 상황, 그런 건 상정해 볼 수 없을까요?

    [기자]

    국회의장이 재량에 따라 판단할 수 있게 돼 있으므로, 그만큼 존중해야 되지 않느냐는 주장인데요. 정치적 판단을 할 수밖에 없다는 의견입니다.

    개정 국회법이 의장의 직권상정을 사실상 거의 불가능하게 만들어놨기 때문에 더 그렇다는 겁니다. 전문가 이야기 들어보시죠.

    [정태원/변호사 : 새누리당 입장에서는 우리 쪽에 대한 테러를 바로 오늘이라도 할 수 있다, 이렇게 주장하는 입장이고, 더불어(민주당)는 무슨 소리냐 그렇지 않다, 이러는 거고, 그런 거죠. 그게 일종의 정치적인 해석이기 때문에, 그게 정답이 있을 수가 없고, 그거에 대해서 법원이 판단할 수도 없죠. 재판 가봐야 법원이 판단 안 해요, 그건.]

    [앵커]

    이런 건 재판 가도 법원이 판단할 수 없는 그런 문제다… 글쎄요. 그러면 의장의 정치적 판단은 법적으로 가늠하기 어렵다, 그런 얘기가 되면 지금 정의화 의장이 이렇게 판단해서 비상사태라고 얘기한 것에 대해서 뭐라고 따질 만한 그런 상황이 아니다, 그런 얘기인가요?

    [기자]

    사실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의견은 엇갈리는 상황입니다.

    일부에선 법적인 개념은 맞지만 사법적으로 판단하기 어렵다는 의견이 있었고요.

    또, 입법부가 스스로 판단해서 맞다고 생각하면 할 수 있다는 의견도 있었고요.

    그리고 마지막으로 1차적 판단은 의장이 독자적으로 해도 국회의원이나 위원회의 심의 표결권을 제한하기 때문에 결국 헌법재판소에서 다퉈봐야 한다는 지적도 있었습니다.

    이 같은 논란이 이어지고, 또 국가비상사태라는 정황을 두고 국민 사이에서도 온도차가 나타나는 건요. 정 의장이 전례가 없는 중대한 결정을 내리면서 결국 설득과 설명을 충분히 하지 못한 것이 아니었나 하는 지적이 나옵니다.

    [앵커]

    지난번 직권상정 요구가 있었을 때는 국가비상사태라고 볼 수 없다, 그때 경제 관련 법안이었습니다마는. 지금은 또 국가비상사태라고 본다라고 했기 때문에 그 차이가 무엇이냐에 대한 명확한, 설득력 있는 설명, 이런 것들은 분명히 좀 필요해 보이기는 합니다. 이호진 기자였습니다. 수고했습니다.

    http://news.jtbc.joins.com/html/960/NB11179960.html

  • 5. 어머
    '16.2.25 2:35 PM (183.104.xxx.158)

    사드는 중국과 관계가 없다고 박근혜대통령이! 엄격하게 주장했는데요.
    왜 ?....? 중국과 미국이 사드를 협의하죠?
    대통령이 설마 거짓말 한 선가요?
    국가 안보가 걸린 문제를 대통령이 국민에게 거짓말한 건가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64869 새벽 동틀때까지 밤새워 미드 보신 경험있으세요? 어떤거였어요??.. 40 미드 2016/06/08 4,277
564868 래미안 루체하임.. 경쟁률60대1 넘는 평형도 있네요.. 6 대박 2016/06/08 3,314
564867 기혼이신분들은 남편이랑 얼마만에 처음 잤나요? 49 궁금 2016/06/08 37,088
564866 남자친구 집 첫방문때 과일바구니 선물 14 dd 2016/06/08 5,074
564865 칼슘,철분,비타민,단백질이 많이 들어 있는 음식이 뭐가 있을까요.. 9 요리고수님들.. 2016/06/08 2,426
564864 법률스님 좋은 말씀은 9 3333 2016/06/08 2,374
564863 오메가3 영양 기능 정보 봐주세요 3 릴리 2016/06/08 1,208
564862 마늘 장아찌 국물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요? 8 맛있는 2016/06/08 1,432
564861 수술하고 의사가 퇴원하라고 하면 무조건 퇴원해야 하나요. 33 . 2016/06/08 4,290
564860 아이폰 연락처에서 문자모양 안 뜨는 것 2 하나 여쭘 2016/06/08 1,005
564859 만약 저와 같은 상황이라면 어떻게 하시겠어요? 7 고민 2016/06/08 1,682
564858 등받이 있는 좌식의자 편한가요? 5 궁금 2016/06/08 1,728
564857 마늘 너무 좋아하는 딸 7 사춘기 2016/06/08 2,464
564856 배탈이 왜 났을까요? 2 나만 2016/06/08 740
564855 무기력 극복 어떻게 하나요? 17 인삼 2016/06/08 4,787
564854 어른들 태국음식 잘 드실까요? 5 ㅇㅇ 2016/06/08 1,299
564853 걸을때보니 왼쪽 발가락이 바깥쪽으로 많이 휘었어요 2016/06/08 595
564852 세월호785일) 미수습자님들이 꼭 가족분들과 만나게되시기를. ... 9 bluebe.. 2016/06/08 520
564851 운동해도 살찌길래 병원갔더니 갑상선기능저하증이래요 5 챠우깅 2016/06/08 5,225
564850 연비 사기 사건 이후 매출이 오히려 10% 늘어.. 4 .... 2016/06/08 1,003
564849 해외거주자 양도소득세 문의.. 드려요 4 모르겠음. 2016/06/08 1,582
564848 15살 소년을 유린한 범인... 잡으러 갑니다. 12 엄마의 이름.. 2016/06/08 3,595
564847 초등 5학년 여자아이 원피스는 어디서 사야할까요? 17 2016/06/08 2,536
564846 이재명 시장은 실패할걸요 우리나라 국민성은 하향평준화를 원합니다.. 26 새밤 2016/06/08 2,744
564845 각자의 안전은 각자가 챙겨야 할거예요 그냥 2016/06/08 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