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수시 학생부 종합전형 비율이 늘어난다는데요.

그래서 조회수 : 2,160
작성일 : 2016-02-25 11:06:27
제가 첫아이에 무지한 직장맘이라 조언을 부탁드려요.
아이가 고2되는데 작년에 비교과를 신경쓰긴 했어요. 학교 수상 캠프 동아리 등이요.
그런데 욕심과는 달리 내신이 최고 스펙이라는데 4등급 전후라 쓰겠나하고 올해는 정시위주로 공부해야하나 했는데 주위에서 제 아이때부터 지금보다 훨씬 학종이 늘어난다고 해서 고민입니다.
학교는 선호 학군이긴 하구요.

맞는 소리인가요? 계속 신경 좀 써야 할까요?
정확한건 어디서 확인할 수 있을까요?
IP : 110.70.xxx.50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2.25 11:08 AM (101.250.xxx.37)

    특목고 아니면 내신4등급 인서울 안됩니다
    어마무시한 스펙 아님 담에는요
    근데 학교에서 보통 4등급 아이한테 이런 스펙을 쌓을 기회를 잘 안주죠

  • 2. ...
    '16.2.25 11:12 AM (58.230.xxx.110)

    이게 참 어려워요...
    학군좋은데서 내신이 쉬운것도 아니고...
    어쨌든 논술만 봐도
    수능준비 잘해야 하는게 우선인건 맞는듯요...
    근데 가능함 내신에 최선을 다하는게
    현명하죠...

  • 3. ~~````
    '16.2.25 11:16 AM (106.244.xxx.152)

    전국구의 특별한 특이한 스펙아니면 학종도 결국 내신1점대 학생들의 잔치인듯합니다
    인서울 지거국 정도의 학교들은~~~~~~~~~`

  • 4. ..
    '16.2.25 11:16 AM (175.113.xxx.18) - 삭제된댓글

    내신이 우선되고 그다음에 비교과예요.
    학종은 향상되는걸중시하니 내신을 올려야 학종도 써볼수있겠죠

  • 5. ..
    '16.2.25 11:24 AM (221.149.xxx.208)

    아무리 선호학군이라고 해도
    일반고에서 4등급 전후로 학종 쓰기는 어렵습니다.
    선호학군이라고 하시니 내신보다 모의고사가 잘 나오겠죠?
    그러면 일단 논술 전형 준비하시고
    문과라면 겨울 방학 정도부터 논술학원 보내세요.
    저희 애 이번에 논술 전형으로 입학했는데
    같은 과에 내신 좋아서 수시 뚫은 아이들은 거의 등급이 1.0 에 수렴한답니다.
    내신으로는 서울의 다른 구나 지방 아이들을 이길 수가 없더군요.
    저희 애는 내신 2등급 초반이지만 학종 쓸 데가 없었습니다,
    자료 찾아보시면 어마어마한 내신 가진 애들이 의외로 많아요.

  • 6.
    '16.2.25 11:24 AM (221.164.xxx.215) - 삭제된댓글

    교과전형 ᆞ종합전형 모두내신최우선입니다
    정말 특이한스펙이 아닌이상 국영수 잘하는게 장땡입니다
    그리고 대학은 무조건 수시로 간다는 생각으로 해야합니다
    내신 어중간하다고 3학년때부터 정시올인했다 올해 폭망한 경험자입니다=.=

  • 7. 원글
    '16.2.25 11:40 AM (110.70.xxx.50)

    저도 그리 생각했는데 그건 지금 입시 중심의 상황이고 우리때는 아니라는거에요.
    학종이 확 늘어나니 비교과 놓으면 안된다구요.

    중심을 잡아줘야하는데 애한테 미안해집니다.

  • 8. 고3엄마
    '16.2.25 11:53 AM (101.250.xxx.37)

    저 위에 특목고 아니면 어렵다는 덧글썼는데
    작년 고3 엄마예요
    내신4등급이면 학종으로는 지방사립대도 좋은 과는 못가요
    3학년되면 스펙쌓을 기회들 다 내신1~2등급 애들한테 몰아줍니다
    학교는 스카이 하나라도 더 넣는게 중요하지 내신 4등급 이하 개개인 아이들 스펙쌓는데 큰 관심없습니다

    일단 내신은 유지하고 모의등급 잡으세요
    논술 줄어든다고 해도 내신4등급 아이가 그래도 좀 알려진 네임벨류 대학에 가려면 논술이 제일입니다
    그럴려면 최저 맞춰야하니 수능이 중요하구요

  • 9. ㄱㄱㄱ
    '16.2.25 12:35 PM (115.139.xxx.234)

    내신4등급 강남 일뱐고래도 학종 어려워요. 좀더 알아보세요. 정 답답하면 전문가랑 상담해보세요. 사실 논술 유독 잘한다 하면 모를까 낙타 바늘구멍이기도 해요.

  • 10. 학종도
    '16.2.25 12:37 PM (110.8.xxx.3)

    주로 보는게 비교과가 아니고 내신 이예요
    말이 학종이 늘어서 스펙에 뭐가 많으면 들어가는 문 넓어 보일지 몰라도
    우수 특기자 전형에서 정말 학교커리 큘럼부터 학종에 맞춰 운영되는 영재고 민사고 과고
    이런데서 학교 이름 남다른 커리큘럼 ( 에를 들어 영재고나 민사고는 대학 수준 수학이나 과학 미시경제
    식의 공부를 미리 고등에서 합니다 ) .전국 대회 수상 기록 등등 보고 내신 감안해서 뽑아주고요
    학종에서는 예선이 내신이라고 보면 되요
    내신으로 어느 정도 다 추려 낸후 그다음 하나하나 검증하는거죠
    대학에서도 애들을 뽑는 방법이 쉽지 않아요
    가장 모험적인게 애들이 잘하는걸 우선시해서 뽑는건데 무슨 대상 수상자다 해서 뽑아놔도
    오히려 학과에 적응못하고 학점도 안좋고 그런 경우 흔해요
    그래도 취하는 방법이 아닌 애부터 추려 내는 거죠
    고등 스펙이 교내 대회 상타봤자 그거 대단하게 볼것 없구요
    내신 기준점 안되는 애부터 다 추려내고 그다음 다른거 보면 이런식으로 눈에 띄게 못하는애부터
    원서수 줄여가며 심사합니다
    상상이상으로 몇십장되는 생기부부터 자소서 까지 그것 심사도 엄청나게 힘들어요
    10명만 되도 몇백장 분량이고 100명 넘어가면 몇천장 분량인데
    과에 따라 지원자 몇백명 되는 경우 흔하구요
    그러니 숫자로 가장 딱 떨어지며 공인성적인 내신이 일차 기준이 되는 경우가 흔해요
    대학교수들 교대 수상 정도는 그냥 구색 정도로 보지 그거 중점적으로 가산점 줘가며 뽑아줄 정도로 생각안해요
    일단 내신 견교히 쌓는게 중요하구요 그다음 수능입니다
    그거에 빠지지 말게 평소에 신경 좀 쓰라는게 생기부 예요
    그래도 내신은 죽어라 투자하면 업그레이드 가능한거지만 비교과생기부는 독서나 세특 같은 성실성 지표
    다른 애들 다 있는데 혼자 공란 만들지 말고 다 채우는거라도 시작하세요
    그리고 공부는 애가 하는거지 엄마가 하지 않아요
    미안할일은 아니고 애가 먼저 정신 차려 챙겨야지 고등 생기부를 엄마가 채울수는 없어요
    어디 생기부 특강이라도 들어보시고 애랑 상의하세요

  • 11. 그럼
    '16.2.25 1:28 PM (220.118.xxx.171)

    내신 안되는 아이는 수시로 가려면 논술밖에 없나요?
    논술은 최저등급 맞춰야 하고....
    학교가기 참 어렵네요.

  • 12. ~~~~
    '16.2.25 2:26 PM (106.244.xxx.152)

    내신이 안되면 논술과 수능이예요
    여기서 내신 안된다는거는 2점대도 포함이구요
    1점대라도 대학에서 교과나 종합에 선발안해주면 결국 논술과 수능이랍니다

  • 13. ...
    '16.2.25 2:41 PM (58.140.xxx.119)

    수시 학생부 종합전형도 결국 내신과 수능이 관건이에요.

  • 14. 쥬쥬
    '16.2.25 4:11 PM (223.62.xxx.114)

    예비중3엄마에요. 학원설명회만 듣고 고등때 비교과를어떻게 해야하나 막막했는데 결국은 내신이군요. 답긍 달아주신 분들 모두 감사합니다

  • 15. 원글
    '16.2.25 5:39 PM (175.223.xxx.191)

    감사합니다.
    학교에서도 내신 좋은 친구들에게 기회를 더 많이 주나보네요.
    특별히 튀지 않는한 내신 3등급 이후는 학종에 공들일 필요 없는..ㅠㅠ
    학종 비율이 무척 커진다해서 흔들렸네요.
    감사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73339 공공장소에서 스킨쉽 7 oo 2016/07/05 2,705
573338 박근혜 대통령이 추천하는 여름 휴양지 아무말대잔치.. 2016/07/05 1,066
573337 4년전 태풍 볼라벤 기억나세요 ? 7 ... 2016/07/05 1,765
573336 아프다는데도 치과에서 해줄께 없다니 5 아픈잇몸 2016/07/05 2,836
573335 대정부 질문-일베에서 만연한 여성 혐오증 아냐? 황교안 총리 질.. 2 표창원 2016/07/05 591
573334 알배기 굴비 집에서 먹을거 어디서 살까요? 2 rnfql 2016/07/05 1,096
573333 기본 소득이 생기면 달라지는 7가지 샬랄라 2016/07/05 1,672
573332 이런것도 차별이겠죠? 짜증나요 2016/07/05 458
573331 대통령의 일중독 3 ffffff.. 2016/07/05 1,255
573330 흰색 베개커버 누런 때.. 어떻게 뺄까요? ㅜㅜ 7 빨래고민 2016/07/05 12,879
573329 친정 부모님과의 갈등 글의 원글입니다 11 이틀전 2016/07/05 3,449
573328 아래 댓글 읽다가 곰신 5 궁금 2016/07/05 992
573327 기말고사의 넋두리 - 스스로 못하는 과목, 학원만이 답인가요.... 1 .... 2016/07/05 1,160
573326 영화 백엔의 사랑 넘 좋네요 4 ff 2016/07/05 1,713
573325 빨래 안하고 있으시죠? 건조기 없는집들이요 16 장마 2016/07/05 7,389
573324 연애해보고 싶은 이미지의 남자연예인 있으세요? 118 MilkyB.. 2016/07/05 6,315
573323 오늘 어금니 금니 씌웠는데 아픈게 정상인거예요? 7 ... 2016/07/05 2,359
573322 알뜰폰 하고 왔어요~ 11 ㅎㅎ 2016/07/05 2,263
573321 만기 한달전 이사시에 수수료누가 내나요? 11 궁금 2016/07/05 4,280
573320 학생집에서 음료만 먹으면 배가 아파요 3 화장실 2016/07/05 2,271
573319 저는 자녀교육에 너무 태평한건가요? 7 비오는날 2016/07/05 2,055
573318 가슴을 충분히 위까지 감싸주는 비싸지 않은 브래지어 추천해주세요.. 3 절벽 2016/07/05 1,539
573317 스킨케어는 흑설탕..그럼 두피케어는요.?? 3 두피미인(?.. 2016/07/05 1,905
573316 코웨이 정수기 피해보상촉구 카페 1 큰일 2016/07/05 1,239
573315 길가다 우연히 본 술집 간판 (빵터졌어요) 148 누리심쿵 2016/07/05 33,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