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수학 선샘님 계시면 이 개념 좀..

미분 조회수 : 1,267
작성일 : 2016-02-21 02:04:22
음함수 미분법에서 미분하려는 문자와 다른 문자를 미분할 때
예를들어 2x=3y를 x에대해 미분하라하면 3y부분 미분이 왜
3●dy/dx인가요?
갑자기 헷갈리네요.
그리구 dy/dx는 나누기의 의미가 아닌데 왜
dy/dx=(dy/dt)(dt/dx)로 할 수 있는 건지도 설명 좀 부탁드려요..
IP : 223.33.xxx.173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먼저
    '16.2.21 2:36 AM (42.148.xxx.154)

    youtube 에 들어 가서 음함수 미분법을 처음 부터 공부 해보세요.
    아주 설명이 쉽게 잘 나와 있어요.
    저도 거기들어 가서 잘 듣고 있는데 좋네요.

  • 2. 와 이거 대학때 선형대..
    '16.2.21 3:25 AM (218.51.xxx.164)

    dx dy 대개 오랜만에 들어보네요.
    그 과목 좋아했는데 미분에 대해서 자세히 배웠어요.
    10년도 지나서..맞을란가 모르지만 기울기의 변화 개념으로 생각해보세요.
    t라는 변수가 나타났다.
    x가 변화하면서 생기는 t의 변화분.
    t가 변화하면서 생기는 y의 변화분.
    이렇게 해야 x가 변화하면서 생기는 y의 변화분이 나오는거죠.
    델타값이 변화분이라는 말이 헷갈릴 수도 있지만 그 소리잖아요.

  • 3. dd
    '16.2.21 8:00 AM (118.220.xxx.196)

    y가 상수가 아니라 x에 대한 변수이기 때문, dy/dx 정의가 y의 증가량/x의 증가량에서 x의 증가량이 0으로 가까이 갈 때의 값, 분수는 아니지만 분수 개념에서 출발. 고로 y의 증가량/x의 증가량=(y의 증가량/t의 증가량)/(x의 증가량/t의 증가량)

  • 4. ...
    '16.2.21 12:02 PM (175.113.xxx.8)

    미분 개념이 미분계수 즉 함수의 기울기값에서 출발하기때문에 고등과정에서는 나누기로 생각하셔도 됩니다.
    기울기는 y증가량(dy) 나누기(/) x증가량(dx)이기 때문이지요.
    XY좌표상에서 양변을 x에 관해서 미분한거기 때문에
    2dx/dx= 3dy/dx 가 되고
    만약 y에 관해서 미분해보면
    2dx/dy = 3dy/dy
    다른변수 t로 미분한다면
    2dx/dt = 3dy/dt
    세경우 모두 분수처럼 정리하면 같은 결과를 얻을수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96269 이번 기회에 원전 공부해요. 2 원전 2016/09/13 649
596268 저는 아픈데도 식욕이 없어도 많이 먹네요 4 저는 2016/09/13 1,143
596267 후쿠시마같은 재난이 일어나면... 12 .... 2016/09/13 4,323
596266 역대 최강 지진 발생지는 정확하게 어디 1 활성단층 .. 2016/09/13 1,097
596265 나혼자 산다 이국주 슬리피. 윤정수 김숙 뒤를 이을 거 같은데요.. 9 얼론 얼론 2016/09/13 4,351
596264 안쓰는 가방 버려야할까요? ? 3 고민중 2016/09/13 2,746
596263 지진은 남의 일? 7 요상하구나 2016/09/13 1,575
596262 4대강 사업의 재앙... 우리는 뭐 믿고 이럴까요 4 분통 2016/09/13 1,617
596261 지진으로 강아지나 고양이 같은 애완동물 반응은 없나요? 19 개 고냥 2016/09/13 5,087
596260 이번지진으로고층건물 무섭네요 13 2016/09/13 5,153
596259 이번 지진으로 놀란분들 주변인과 이야기 많이 나누세요 7 도움 2016/09/13 3,357
596258 지진경험 네 번 중 올해만 세 번 ㅠㅠ 1 무섭 2016/09/13 1,132
596257 좋았던 기억들 마저도 나쁘게 생각되는 이유는 뭘까요? 5 :D 2016/09/13 1,010
596256 경기도권에 흔들리는곳 계세여?? 8 .. 2016/09/13 2,715
596255 구르미)홍내관 찾아다닐때 손에 묻은 먹을 보고 3 동그라미 2016/09/13 2,838
596254 어쩜 이 정부는 이렇게나 무능할까요?? 28 닥대가리 2016/09/13 4,525
596253 대구 수성구 웅웅 소리 지금 뭔가요 비행기소리인가요 12 ... 2016/09/13 4,976
596252 대구분들 들어가셨어요? 2 ㅇㅇ 2016/09/13 1,386
596251 서울인데 지금도 여진 느껴지지 않나요? 8 2016/09/13 2,119
596250 고등 학생 단백뇨 8 고등학생 단.. 2016/09/13 3,305
596249 이틀뒤 부산 시댁가야해요 무섭네요 ㅠㅠ 4 무섭네요 2016/09/13 1,940
596248 이완용의 후손 15 새삼 2016/09/13 3,581
596247 차 안에서 자면 비교적 안전한거 맞나요? 2 무셔요 2016/09/13 2,632
596246 경주입니다. 지진때문에 처음으로 죽음의 공포를 느꼈어요. 35 ㅠㅠ 2016/09/13 22,627
596245 이 상황에서 남부해안도로 따라여행하는건 좀 아니죠? 2 꼬맹이 2016/09/13 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