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7~80년대에 멋쟁이셨던 분들 봐주세요 ^^

... 조회수 : 2,566
작성일 : 2016-02-19 23:42:42
인터넷을 하다가 당시에 일본잡지를 많이 보고 꾸몄단 얘기를 봤는데요.

일본문화개방 전인 것 같은데 부산등지에선 구하기 쉬웠다는 얘기도 들어본 듯 하고요

그 당시 멋쟁이^^;들 사이에선 일본 패션잡지 구해보고 따라서 꾸미고 하는게 일반적인 일이었나요?

제 기억으로는 90년대에서 2000년대 초반까지도 일본 스타일 선호하는게 멋진거같은 분위기가 있었고,

옷이나 화장 헤어등 일본스타일 많이 참고했는데 언젠가부터 일본쪽이 더 촌스럽다고 하고

지금은 되려 일본쪽에서 한국 스타일을 많이 참고하는 것 같이 느껴집니다.
IP : 121.128.xxx.37
1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오래 전
    '16.2.19 11:51 PM (1.235.xxx.40)

    77 학번

    패션 잡지 주로 일본 잡지 보았던 기억이 납니다.
    우리 때는 화장은 거의 안했었네요. 기초 화장만 했어요.

  • 2. 일본에서 한국 스타일을
    '16.2.19 11:56 PM (59.9.xxx.3)

    많이 참고하다니요? 제가 알기론 전혀 아닌데요?
    일본여성 취향은 우리나라와는 완전 다른데요?

  • 3. 그 시절
    '16.2.20 12:14 AM (211.204.xxx.5)

    은 아니지만 그저 첨언하자면 일본 패션이나 헤어스탈 대중스탈은 한 90년대즘에서 멈춘 듯이 보여요. 일부만 빼면 거의 확고한...
    가끔 아이돌 일본방송 보면... 스타일 엄청 촌티인.
    만화에나 나올 법한 스타일들... 유행이란 게 크지 않은 건지 특유의 취향이 강한 건지 신기해요.
    하도 같은 스타일이라 뭔가 심지? 있어보여서ㅋㅋ 오히려 장점인가 싶기도.
    일례로 10대녀 샤기컷 갈색머리 오버상의 짧은 하의 유행 10년 넘은듯..

    글고 대대적으로 니뽄st 광풍 전에는 확실히 암암리에 유행했던 것 같더라구요. 그전엔 물밑에서 꾸준했던 것이 전국 대유행 후 순차적으로 극 질림 라인을 탄 듯해요.

  • 4. ..
    '16.2.20 12:14 AM (108.29.xxx.104)

    77학번

    일본 패션 잡지 안 봤습니다. 그러면 안 된다고 생각했고
    그런 스타일에 끌리지도 않았고요.
    일본식이 멋쟁이라는 생각 전혀 하지 않았습니다.

  • 5. 저도
    '16.2.20 12:16 AM (59.9.xxx.3)

    일본팻션 잡지 본적도 없고 따른적도 없어요. 원글님 얘기는 뜬금없는데요?

  • 6. 71년 생
    '16.2.20 12:22 AM (59.24.xxx.162)

    강남에서 중고등학교 다닐때, 일본 잡지책을 어찌어찌 구해서 그림만 보는 친구들이 있었어요.
    나름 유행을 따라갔다고 할수있는...^^
    그 전 세대들은 어쩌면 부산에서는 그랬을수도 있겠지만, 그외 지역에서는 거의 일본잡지 구하기가 쉽지 않았을겁니다.

  • 7. 84학번
    '16.2.20 12:25 AM (114.206.xxx.227) - 삭제된댓글

    반포살았는데 일본 잡지 미국잡지 많았어요
    논노 모아 세븐틴 ..
    한두번 사서 그림만 구경했어요

  • 8. ..
    '16.2.20 12:25 AM (108.29.xxx.104) - 삭제된댓글

    위 77학번
    일본 거는 안 봤지만 미국 거 봤던 거 같습니다.

  • 9. 85학번인데
    '16.2.20 12:32 AM (14.52.xxx.171)

    고등때도 논노봤어요
    그거보고 머리모양도 따라하고 이대앞 가서 비슷한 옷 사고 했죠

  • 10.
    '16.2.20 12:37 AM (119.14.xxx.20)

    팔십년대 학번이고요.
    한 번씩 보고 솔직히 한 번씩 흉내내듯 따라 입기도 했어요.

    그런데, 굳이 일본잡지나 대중문화를 참고 안 하더라도 옷들이 그런 식으로 나왔고 유행했었죠.
    가요, 영화 등 대중문화나 심지어 문학조차 역시 일본의 영향이 다분했고요.
    아마 당시가 일본 대중문화의 황금기가 아니었나 해요.

    그러나 저 위 어느 님 말씀처럼 어느 순간 이후 현재까지 정체기인 듯 하다고 저또한 생각합니다.
    계속 그 상태로 머물러 있는 듯 해요.
    정확히는 후퇴라고 봐야 겠죠.

  • 11. 85학번 8학군
    '16.2.20 12:45 AM (115.21.xxx.176)

    중학교때는 교복세대라 엄마가 옷도 별로 안사주셨고
    고등때는 교복자율화이긴 했으나 규제도 많아서
    그린에이지나 뻬뻬로네 스타일의 학생스러움을 잃지않는
    그런류의 옷만 입어야 했어요.
    이대앞이나 명동 빌리지에서 옷을 사입는 애들도 있었는데
    그런애들은 날나리라 낙인찍었고..
    전 패션 잡지는 안봤는데
    나오코나 히데키 같은 일본 가수 좋아해서
    일본잡지 많이 사모았고 일본노래 듣다보니
    내용이 궁금해서 일본어 독학하고 전공까지 하게 된..
    논노 보는 애들 많았고 미국 영화잡지 스크린 같은것도
    보는 애들 꽤 있었어요. 중학교때 부터..

  • 12. 논노
    '16.2.20 12:56 AM (122.32.xxx.79)

    80학번.. 매달 논노 사서 보고 따라했어요.. 이촌동 . 방배동 까페 거리 가면 일본 스타일 많았어요..
    대학 졸업할땐 논노책이 산더미 같았어요..

  • 13. ...
    '16.2.20 12:58 AM (61.72.xxx.191)

    논노 중고딩 때 봤어요
    80 년대에요
    코디 참고 했고요
    잡지 뜯어서 교과서도 싸고
    필통도 만들고 그랬죠 ㅎㅎ

  • 14. ....
    '16.2.20 1:44 AM (211.36.xxx.201) - 삭제된댓글

    7.80년대에도 봤군요.
    저는 90년대에 중고딩이었는데 저희 때도 논노나 앙앙인가?? 좀 보는 애들 있었어요. 완전 대중적이었다고는 할 수 없고 그냥 패션에 관심 많은 애들이 봤어요. 서울에선 명동 중국대사관 입구 있는 뒷골목에 외국 잡지와 일본 잡지 해외스타 브로마이드만 파는 가게들이 몇개 있어서 주로 거기서 샀어요

  • 15.
    '16.2.20 1:53 AM (39.7.xxx.52) - 삭제된댓글

    새끼 작가가 취재하네요 ㅋ

  • 16. 80년대 초반
    '16.2.20 4:02 AM (5.254.xxx.117)

    전 88학번인데, 81학번인 사촌언니가 명동에서 산 논노, 앙앙, 25세, JJ 등의 일본 잡지와 '보그' 를 보고 스타일 따라하던 거 기억나요. 그때도 언니가 논노 스타일 촌스럽다고 툴툴거렸던 기억이 나요. ㅎㅎ

    저도 중학교 때부터 마리 클레르와 제휴 맺은 '멋', '미즈'를 사다봤어요. 80년대 초반에 창간된 잡지들이에요.

    압구정동에 불법으로 일본 노래, 팝송 녹음해주던 레코드점 있었고, 술 대신 파르페 팔면서 외국 뮤직비디오 틀어주던 카페가 있었는데 거기 가면 멋진 언니들 정말 많았어요. 지금 생각하면 사자머리에 파스텔톤 어깨장군 옷 입고 크고 화려한 액세서리, 갈치풍 립스틱 등등 튀는 스타일이었는데 ㅎㅎㅎ

  • 17. 무지개
    '16.2.20 4:27 AM (82.43.xxx.18)

    87학번 고딩때부터 논노 앙앙 보는 친구들 있었고 그거 읽을려고 일본어 공부하는 사람도 봤어요. 저도 몇번들춰보긴했는데 모델들도 예쁘고 옷 소품 거의 한국보단 한단계 위였다고 할까요. 서점에서도 팔았어요.

  • 18. ----
    '16.2.20 5:20 AM (121.88.xxx.247)

    논노는 90년대에도 흥했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30994 서예지라는 배우요 10 ㅇㅇ 2016/02/23 5,139
530993 양치질할때 치약대신 천연소금으로 해도 될까요 5 집배원 2016/02/23 1,943
530992 하는 소리 여지 껏 다 들어봐도 다른게 없어요. 16 거 김광진 .. 2016/02/23 2,124
530991 발성장판다 닫혔다네요 성장판 2016/02/23 1,057
530990 아이가 남의 차에 공을 맞혔다면 보험 처리 될까요? 6 보험 2016/02/23 1,131
530989 테러방지법을 반대하는 정치병 환자들의 비논리 12 비정상 2016/02/23 901
530988 은수미 의원 급 요청!!!!!!!! - 김광진 의원 다음 필리버.. 무무 2016/02/23 1,046
530987 우리도 김광진 힘내라~~응원해요~ 23 ㅇㅇㅇ 2016/02/23 1,167
530986 김광진의원....물을 연거푸 마시네요 7 ... 2016/02/23 1,386
530985 안쓰는 곰팡이 화장실 어떻게 할까요 ㅠㅠ 3 청소 2016/02/23 1,456
530984 겨울 관리비 많이 나왔네요 2 관리비 2016/02/23 2,034
530983 오늘 연봉협상 한다고 하시더니. . 연봉 2016/02/23 710
530982 대학교신입생 과 학생회비 다들 내시나요? 6 넘비싸요 2016/02/23 1,805
530981 집 씽크대 소재가 나무인데 빈대?, 머릿니같은 크기의 벌레가 돌.. 4 요리배우장 2016/02/23 2,172
530980 생리가 끊기면 호르몬제를 무조건 먹어야하나요? 2 답답녀 2016/02/23 3,475
530979 연대세브란스 김원옥 다한증 잘보시는 교수님이 종로에 만드셨다는 .. 6 .. 2016/02/23 2,682
530978 흰티에 내복은 안입나요ᆢ3월도 추워서요 6 예비중 2016/02/23 980
530977 역사학자 전우용님 트윗 8 트윗 2016/02/23 1,435
530976 sleep time caplets 이있는데요 123 2016/02/23 315
530975 이거 얼마전 시멘트 살인사건이죠? ... 2016/02/23 1,115
530974 저 기침소리 이명박이 했던 기침 소리와 시간이 똑같네요. 10 김광진 의원.. 2016/02/23 1,983
530973 19금은 아니라 생각되지만 19금이라 제목에 적음. 8 고민녀 2016/02/23 3,502
530972 짜증많고 기력없는 40대 비타민제 보조제 추천이요 3 ... 2016/02/23 2,321
530971 김광진의원 다음주자가 누구인가요??? 14 더민주bb 2016/02/23 2,135
530970 티멤버십포인트 빨리 소진하는방법 없나요 4 봄봄 2016/02/23 1,4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