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수능 100프로면 특목 자사 강남에 완전 유리한거 아니에요?

??? 조회수 : 1,836
작성일 : 2016-02-12 11:38:29

수능만점자가 지방에서도 절반이 나온다 어쩐다 하시는데

한참 잘못 알고 있는게

수시 70프로...를 위해서 수능만점 가능성 있는 최상위권들이 고1부터 수능보다는 수시와 내신에

집중해요...만약 수시 70프로를 정시로 다 돌린다면 이 아이들이 중학교부터 정시 만점을 목표로 공부할걸요..

그럼 지금보다도 특목 자사 강남에서 수능만점 1등급 부지기수로 나올거에요..


지방은 어떤가요? 애시당초 수시생각하는 애들은 극소수고 대부분 정시를 생각하는데

( 물론 서울왠만한 대학을 목표로 하는 경우,,,)


그나마 수시로 최상위권 애들을 갈팡질팡하게 만들어 수능 한가지에 집중못하게 만들다 보니..

수능점수가 생각보다 덜 나오는거죠..


지방처럼 대부분의 아이들이 정시로 승부를 본다면...

스카이는 특목 자사 강남 애들 판이될거에요..




IP : 118.220.xxx.90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16.2.12 11:43 AM (66.249.xxx.218)

    생각보다 특목고에서 만점자 안나오더라하는데
    사실 특목고 상위권은
    특기자 전형 등으로 이미 다 붙어서 수능에 힘을 덜써서 그래요.
    특목고 중하위권은 수능 올인이지만
    모든 학생이 올인하는 경우보다 만점자 수가 적을 수 밖에요.
    예전에는 비교내신제라고 특목애들 수능 성적대로 내신 준 적 있고
    그 제도 사라지고도 특차라고 수능으로만 뽑는 전형 있었는데
    그 때 과고외고 수능성적 장난 아니였죠.

  • 2. .....
    '16.2.12 11:44 AM (116.127.xxx.156) - 삭제된댓글

    00학번으로서 전 수능 특차로 연대 입학했는데요. 요즘 입시 너무 이상합니다.
    당시에 수시/특차 같은 개념이 정말 소수였어요. 수학 올림피아드 해외에서 입상하고 한 경우 아주 특이하지 않으면 거의 없었어요.

    원글님 생각과 다릅니다. 전 공명정대하고 모두 수능 순으로 하고 정말 수학이나 과학, 예술 분야에 특별한 재능이 있는 경우 수시를 통해 입학하게 하는 게 맞다고 봐요. (10프로 이내)
    입학사정관제니 모니... 진짜 요즘 입시는 입시 제도가 너무 다양해서 정보력으로 대학가는 경우도 많다고 들었습니다. 이게 불공평이죠.

  • 3. 네...
    '16.2.12 11:44 AM (220.86.xxx.131) - 삭제된댓글

    아들이 특목고 나오고 수시전형으로 명문대 다니는데요.내신 수능 두개 잡기 힘들어요.만약 내신 버리고 수능만 공부하면 더 유리하죠.재수생 고득점자가 특목고출신이 많죠.학교는 졸업장 따러 가는거고 학원으로 돌릴게 뻔하구요

  • 4. .....
    '16.2.12 11:45 AM (116.127.xxx.156)

    00학번으로서 전 수능 특차로 연대 입학했는데요. 요즘 입시 너무 이상합니다.
    당시에 수시/특차 같은 개념이 정말 소수였어요. 수학 올림피아드 해외에서 입상하고 한 경우 아주 특이하지 않으면 거의 없었어요.

    원글님 생각과 다릅니다. 전 공정하게 모두 수능 순으로 하고 정말 수학이나 과학, 예술 분야에 특별한 재능이 있는 경우 수시를 통해 입학하게 하는 게 맞다고 봐요. (10프로 이내) 대신 수능을 변별력을 가릴 수 있게 내야 하구요.

    입학사정관제니 모니... 진짜 요즘 입시는 입시 제도가 너무 다양해서 정보력으로 대학가는 경우도 많다고 들었습니다. 이게 불공평이죠.

  • 5. ....
    '16.2.12 11:45 AM (220.86.xxx.131) - 삭제된댓글

    아들이 특목고 나오고 수시 특기자전형으로 명문대 다니는데요.내신 수능 두개 잡기 힘들어요.만약 내신 버리고 수능만 공부하면 더 유리하죠.재수생 고득점자가 특목고출신이 많죠.학교는 졸업장 따러 가는거고 학원으로 돌릴게 뻔하구요

  • 6. 학부모들이
    '16.2.12 11:45 AM (218.38.xxx.26) - 삭제된댓글

    시대흐름을 잘못읽고 수능 100%만 하자 뭐 학력고사시대로 돌아가자하며
    아이들 줄세워서 1등부터 착착 좋은데 보내자고 하는데요

    아무리 그시절얘기를 해도 이제 그시절은 돌아오지 않아요

    수능100%면 당연히 특목고 특수지역 아이들이 잘하죠 초등때부터 준비한 아이들은데요

    수시.. 다양성..이 대세입니다 직장도 마찬가지예요 적응하는 아이들은 살아남을것이고
    학력고사 타령하면서 입시 복잡하다 스카이만 최고다 생각하는 학부모들은
    뭐..

  • 7. ....
    '16.2.12 11:46 AM (220.86.xxx.131)

    아들이 과학고 나오고 수시 특기자전형으로 명문대 다니는데요.과고는 내신으로 대학가요.수능 공부 안하구요..만약 내신 버리고 수능만 공부하면 더 유리하죠.재수생 고득점자가 특목고출신이 많죠.학교는 졸업장 따러 가는거고 학원으로 돌릴게 뻔하구요

  • 8. 전국단위자사고 애들중
    '16.2.12 11:47 AM (118.220.xxx.90)

    에서...
    고3 막판에 특히 상위권에서
    수능 논술 교과 비교과 다 챙기면서 얼마나 몸부림치는지...
    아마 이 학생들이 고1부터 수능정시 한가지만 했다면 수능 만점 가까이 맞았을 학생들이 얼마나 많은데요..
    실제로 수능 수학보다 더 어려운 수학풀면서 내신 잡겠다고 논술하겠다고 난리를 치는데..이 과정만 없애고
    단순하게 내신시험보다 훨씬 쉽고 논술보다도 쉬운 수능 수학 영어 국엉 과학만
    고1부터 계속 돌린다고 생각해 보세요..
    지방쪽 애들 더 대학 못가요..

  • 9. 예전처럼
    '16.2.12 11:51 AM (125.177.xxx.27)

    전두환이 사교육 절대 없애고, 특목고도 없던 시절..물론 외고 있었지만, 그때는 성적 높던 때가 아니었지요.
    그때도 교육열 있던 사람들은 강남의 고등학교로 전학가던 시절이었지만...그때 정도 여건이 갖춰지면 100 수능실력으로 하겠지만..
    지금 보세요. 특목고 애들, 사교육 1번지에 사는 애들하고 저 시골에 살면서 사교육 혜택 없는 애들이 동등하게 경쟁할 수 있는지..
    수시제도라도 있으니 전국에서 골고루 혜택보는 것이지요.
    불수능 100 프로로 하려면 예전처럼 전두환시절 처럼 하면 공정한 출발선이라고 할까..그러기에는 사교육시장이 너무 크고, 대학이 수시 장사를 놓치고 싶어하지 않지요.
    또 사교육 막는 것이 위헌이라고 판정도 나있고...

  • 10. ....
    '16.2.12 1:00 PM (210.97.xxx.15)

    수능이건 어떤 시험이라도 3년이면 지금 사교육 업자들한테 다 뚤립니다.

    그래서 대학에서도 수능에 대한 신뢰도가 없습니다.그리고 수능 전과목 시험이 모든 학과에 필요한 것도 아니고요.

    고시제도도 수능도 인터넷 치면 모든 정보가 좔좔 나오는 세상에 적합한 능력이 아닙니다.
    정답이 없는 세상에 요구되는게 판단력과 실행력인데...

    무얼 기준으로 평가하면 나오는지 모르겠으니 일단 그동안 '해낸 일'들을 써내라는게 요즘의 입시이죠.ㅠㅠ

  • 11. 수시 혜택
    '16.2.12 1:16 PM (211.212.xxx.82)

    은 지방,일반고,현역들이 보는 거에요.
    입시를 뭘 모르는 사람들이 학력고사시대처럼 점수로 하자고 주장하는거에요.
    예전에 강남8학군, 지역 명문고에서 서울대 합격자를 독식했잖아요.'

  • 12. ㅁㅁ
    '16.2.12 5:04 PM (223.62.xxx.83) - 삭제된댓글

    수능으로만 대학가면 강남엄마들 춤출거에요.
    강남은 거의 수능 정시로만 대학 가거든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28985 다른 도시로 이사갈 때, 입주청소랑 도배랑 가 보세요? 1 포리 2016/02/17 533
528984 서초쪽 사는분들 계신가요?? 8 궁금 2016/02/17 1,825
528983 돌반지 줘!! 6 엄마 2016/02/17 2,028
528982 초3올라가는 아이 원어민과외 괜찮을까요 1 끝나지 않는.. 2016/02/17 790
528981 천식으로 대학병원왔는데 병실이 없어요 ㅠ 1 오로라리 2016/02/17 1,449
528980 남편이렇게 말하는거 얄밉죠.. 000 2016/02/17 545
528979 테이크아웃 얼음 구할수 있을까요 3 하나 2016/02/17 620
528978 아까 겔랑 파운데이션 추천해주신분들 감사해요 2 ㅇㅇ 2016/02/17 3,190
528977 제대혈 연장 다들 하시나요? 2 고민중 2016/02/17 1,800
528976 백인이란 단어와 구분을 2 꾸꾸 2016/02/17 454
528975 당신은 영재의 부모가 될 자격이 있나요? 3 가끔 의문 2016/02/17 1,367
528974 분당 금 파는곳 아시는 분..(제가 파는거) 3 ... 2016/02/17 946
528973 저희는 어느 동네에 사는 게 좋을까요? (8년후) 8 달빛누리 2016/02/17 2,013
528972 냥이 키우시는분... 8 피오나 2016/02/17 1,014
528971 skono 신발 중고생이 신는브랜드인가요 6 나이따라 2016/02/17 1,297
528970 코난이라는 분이 유명해요?? 23 ㅇㅇ 2016/02/17 4,367
528969 전형적인 한국 발라드 가요 너무 싫어요.. 17 ddd 2016/02/17 3,559
528968 헬스장에서 이런 말 한 내가 잘못일까요? 12 ... 2016/02/17 4,713
528967 일원동 vs. 판교 집 매수 고민입니다. 21 궁금 2016/02/17 5,663
528966 유방 조직검사 문의드려요 4 딸기우유 2016/02/17 1,827
528965 장롱 같은 큰 가구 재배치하려는데 옮기기 대행하는곳 알려주세요~.. 1 가구옮기기 2016/02/17 1,207
528964 남보라 재벌남친 진짜 집안 좋네여 13 오옹 2016/02/17 41,421
528963 치즈인더트랩을 보고나서.. 22 보고나니 2016/02/17 4,968
528962 82님들 ᆢ이런경우 어찌해야할까요 4 ㅜㅡ 2016/02/17 682
528961 박근혜 대통령의 국회 연설을 지지하며 23 길벗1 2016/02/17 1,6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