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수능 100프로면 특목 자사 강남에 완전 유리한거 아니에요?

??? 조회수 : 1,851
작성일 : 2016-02-12 11:38:29

수능만점자가 지방에서도 절반이 나온다 어쩐다 하시는데

한참 잘못 알고 있는게

수시 70프로...를 위해서 수능만점 가능성 있는 최상위권들이 고1부터 수능보다는 수시와 내신에

집중해요...만약 수시 70프로를 정시로 다 돌린다면 이 아이들이 중학교부터 정시 만점을 목표로 공부할걸요..

그럼 지금보다도 특목 자사 강남에서 수능만점 1등급 부지기수로 나올거에요..


지방은 어떤가요? 애시당초 수시생각하는 애들은 극소수고 대부분 정시를 생각하는데

( 물론 서울왠만한 대학을 목표로 하는 경우,,,)


그나마 수시로 최상위권 애들을 갈팡질팡하게 만들어 수능 한가지에 집중못하게 만들다 보니..

수능점수가 생각보다 덜 나오는거죠..


지방처럼 대부분의 아이들이 정시로 승부를 본다면...

스카이는 특목 자사 강남 애들 판이될거에요..




IP : 118.220.xxx.90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16.2.12 11:43 AM (66.249.xxx.218)

    생각보다 특목고에서 만점자 안나오더라하는데
    사실 특목고 상위권은
    특기자 전형 등으로 이미 다 붙어서 수능에 힘을 덜써서 그래요.
    특목고 중하위권은 수능 올인이지만
    모든 학생이 올인하는 경우보다 만점자 수가 적을 수 밖에요.
    예전에는 비교내신제라고 특목애들 수능 성적대로 내신 준 적 있고
    그 제도 사라지고도 특차라고 수능으로만 뽑는 전형 있었는데
    그 때 과고외고 수능성적 장난 아니였죠.

  • 2. .....
    '16.2.12 11:44 AM (116.127.xxx.156) - 삭제된댓글

    00학번으로서 전 수능 특차로 연대 입학했는데요. 요즘 입시 너무 이상합니다.
    당시에 수시/특차 같은 개념이 정말 소수였어요. 수학 올림피아드 해외에서 입상하고 한 경우 아주 특이하지 않으면 거의 없었어요.

    원글님 생각과 다릅니다. 전 공명정대하고 모두 수능 순으로 하고 정말 수학이나 과학, 예술 분야에 특별한 재능이 있는 경우 수시를 통해 입학하게 하는 게 맞다고 봐요. (10프로 이내)
    입학사정관제니 모니... 진짜 요즘 입시는 입시 제도가 너무 다양해서 정보력으로 대학가는 경우도 많다고 들었습니다. 이게 불공평이죠.

  • 3. 네...
    '16.2.12 11:44 AM (220.86.xxx.131) - 삭제된댓글

    아들이 특목고 나오고 수시전형으로 명문대 다니는데요.내신 수능 두개 잡기 힘들어요.만약 내신 버리고 수능만 공부하면 더 유리하죠.재수생 고득점자가 특목고출신이 많죠.학교는 졸업장 따러 가는거고 학원으로 돌릴게 뻔하구요

  • 4. .....
    '16.2.12 11:45 AM (116.127.xxx.156)

    00학번으로서 전 수능 특차로 연대 입학했는데요. 요즘 입시 너무 이상합니다.
    당시에 수시/특차 같은 개념이 정말 소수였어요. 수학 올림피아드 해외에서 입상하고 한 경우 아주 특이하지 않으면 거의 없었어요.

    원글님 생각과 다릅니다. 전 공정하게 모두 수능 순으로 하고 정말 수학이나 과학, 예술 분야에 특별한 재능이 있는 경우 수시를 통해 입학하게 하는 게 맞다고 봐요. (10프로 이내) 대신 수능을 변별력을 가릴 수 있게 내야 하구요.

    입학사정관제니 모니... 진짜 요즘 입시는 입시 제도가 너무 다양해서 정보력으로 대학가는 경우도 많다고 들었습니다. 이게 불공평이죠.

  • 5. ....
    '16.2.12 11:45 AM (220.86.xxx.131) - 삭제된댓글

    아들이 특목고 나오고 수시 특기자전형으로 명문대 다니는데요.내신 수능 두개 잡기 힘들어요.만약 내신 버리고 수능만 공부하면 더 유리하죠.재수생 고득점자가 특목고출신이 많죠.학교는 졸업장 따러 가는거고 학원으로 돌릴게 뻔하구요

  • 6. 학부모들이
    '16.2.12 11:45 AM (218.38.xxx.26) - 삭제된댓글

    시대흐름을 잘못읽고 수능 100%만 하자 뭐 학력고사시대로 돌아가자하며
    아이들 줄세워서 1등부터 착착 좋은데 보내자고 하는데요

    아무리 그시절얘기를 해도 이제 그시절은 돌아오지 않아요

    수능100%면 당연히 특목고 특수지역 아이들이 잘하죠 초등때부터 준비한 아이들은데요

    수시.. 다양성..이 대세입니다 직장도 마찬가지예요 적응하는 아이들은 살아남을것이고
    학력고사 타령하면서 입시 복잡하다 스카이만 최고다 생각하는 학부모들은
    뭐..

  • 7. ....
    '16.2.12 11:46 AM (220.86.xxx.131)

    아들이 과학고 나오고 수시 특기자전형으로 명문대 다니는데요.과고는 내신으로 대학가요.수능 공부 안하구요..만약 내신 버리고 수능만 공부하면 더 유리하죠.재수생 고득점자가 특목고출신이 많죠.학교는 졸업장 따러 가는거고 학원으로 돌릴게 뻔하구요

  • 8. 전국단위자사고 애들중
    '16.2.12 11:47 AM (118.220.xxx.90)

    에서...
    고3 막판에 특히 상위권에서
    수능 논술 교과 비교과 다 챙기면서 얼마나 몸부림치는지...
    아마 이 학생들이 고1부터 수능정시 한가지만 했다면 수능 만점 가까이 맞았을 학생들이 얼마나 많은데요..
    실제로 수능 수학보다 더 어려운 수학풀면서 내신 잡겠다고 논술하겠다고 난리를 치는데..이 과정만 없애고
    단순하게 내신시험보다 훨씬 쉽고 논술보다도 쉬운 수능 수학 영어 국엉 과학만
    고1부터 계속 돌린다고 생각해 보세요..
    지방쪽 애들 더 대학 못가요..

  • 9. 예전처럼
    '16.2.12 11:51 AM (125.177.xxx.27)

    전두환이 사교육 절대 없애고, 특목고도 없던 시절..물론 외고 있었지만, 그때는 성적 높던 때가 아니었지요.
    그때도 교육열 있던 사람들은 강남의 고등학교로 전학가던 시절이었지만...그때 정도 여건이 갖춰지면 100 수능실력으로 하겠지만..
    지금 보세요. 특목고 애들, 사교육 1번지에 사는 애들하고 저 시골에 살면서 사교육 혜택 없는 애들이 동등하게 경쟁할 수 있는지..
    수시제도라도 있으니 전국에서 골고루 혜택보는 것이지요.
    불수능 100 프로로 하려면 예전처럼 전두환시절 처럼 하면 공정한 출발선이라고 할까..그러기에는 사교육시장이 너무 크고, 대학이 수시 장사를 놓치고 싶어하지 않지요.
    또 사교육 막는 것이 위헌이라고 판정도 나있고...

  • 10. ....
    '16.2.12 1:00 PM (210.97.xxx.15)

    수능이건 어떤 시험이라도 3년이면 지금 사교육 업자들한테 다 뚤립니다.

    그래서 대학에서도 수능에 대한 신뢰도가 없습니다.그리고 수능 전과목 시험이 모든 학과에 필요한 것도 아니고요.

    고시제도도 수능도 인터넷 치면 모든 정보가 좔좔 나오는 세상에 적합한 능력이 아닙니다.
    정답이 없는 세상에 요구되는게 판단력과 실행력인데...

    무얼 기준으로 평가하면 나오는지 모르겠으니 일단 그동안 '해낸 일'들을 써내라는게 요즘의 입시이죠.ㅠㅠ

  • 11. 수시 혜택
    '16.2.12 1:16 PM (211.212.xxx.82)

    은 지방,일반고,현역들이 보는 거에요.
    입시를 뭘 모르는 사람들이 학력고사시대처럼 점수로 하자고 주장하는거에요.
    예전에 강남8학군, 지역 명문고에서 서울대 합격자를 독식했잖아요.'

  • 12. ㅁㅁ
    '16.2.12 5:04 PM (223.62.xxx.83) - 삭제된댓글

    수능으로만 대학가면 강남엄마들 춤출거에요.
    강남은 거의 수능 정시로만 대학 가거든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42992 쭈꾸미 데친물 버리기 아까운데.. 5 ^^ 2016/03/31 2,423
542991 낮엔 덥더라구요 1 벌써 2016/03/31 756
542990 송혜교 역이 누구였으면 더 좋았을까요? 67 dd 2016/03/31 13,529
542989 수분크림 전에 에센스나 세럼 어떤 거 쓰세요? 4 보습 2016/03/31 4,556
542988 인터넷에서 화장품 사세요?? 5 ?? 2016/03/31 1,603
542987 사춘기 아들 미안합니다 7 엄마 2016/03/31 2,187
542986 방 닦은 걸레나 아너스 물걸레 세탁기 돌려도 될까요? 6 ... 2016/03/31 2,735
542985 나 학창시절부터 울 아이 고등인 지금까지 울나라교육에서 절대로 .. 6 고1맘 2016/03/31 1,655
542984 원장이 전체 혈액검사(15만원)을 권하는데...해야할까요? 6 갑상선 환자.. 2016/03/31 3,193
542983 아까 태후에서 작전 중에 송중기 등에 총 맞지 않았나요? 5 // 2016/03/31 3,463
542982 화장품 다이어트 2 gytjs 2016/03/31 1,343
542981 간절기 옷 애니송 2016/03/31 617
542980 '태후' 점점 오글오글.. 15 .. 2016/03/31 4,340
542979 장국영 기일 맞아 무삭제 재개봉 되는 성월동화 2 ㅇㅇ 2016/03/31 2,004
542978 (6학년) 사다리꼴 높이 좀 구해주세요~ 3 .. 2016/03/31 1,343
542977 신경민 의원실 트위터 9 와아 2016/03/31 1,464
542976 나 원 참...강아지에게 여성스러움을 배우다니.... 16 ?? 2016/03/31 4,503
542975 나이들면 뜨끈뜨끈한 음식이 좋아지나요? 2 2016/03/31 1,087
542974 태양의 후예 오글거려 못보겠어요 ㅋㅋ 7 .. 2016/03/31 3,249
542973 근데 문이과 통합하잖아요. 초등 저학년이면 모르는거죠? 2 ㅇㅇ 2016/03/31 1,369
542972 탤런트 박정숙씨 남편 선거운동에 당의입고 나섰네요 20 에구 2016/03/31 19,259
542971 이유식 관련 소소한 질문드려요... 4 초보엄마 2016/03/31 692
542970 국민의당 후보로 출마했던 한 정치학자의 고언 4 샬랄라 2016/03/31 1,103
542969 어떻게 하는 게 좋을까요? 5 주황 2016/03/31 737
542968 집에서 키우는 푸들이 미용 후 이상행동을 보여요..T.T 13 푸들이엄마 2016/03/31 4,0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