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버니 샌더스가 좋은 이유

저에게 조회수 : 2,023
작성일 : 2016-02-11 04:11:53
1. 수십년간 활동하며 주장해온 내용이 있다.

2. (창조경제 같이 뭔말인지 모를) 경제민주화란 아리까리한 단어 안 쓰고 사회주의라는 이해 가능한 단어를 쓴다.
IP : 129.21.xxx.206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penciloo2
    '16.2.11 5:08 AM (67.168.xxx.184) - 삭제된댓글

    91년도에 미국이 이라크 침공 반대연설할때 국회에 단 한사람만 남아 듣고 ,샌더스는 단 한사람이 남은국회에서 연설을 한것으로 유명해요

  • 2. 그런데
    '16.2.11 5:14 AM (223.62.xxx.119)

    그 샌더스의 외교정책이 트럼프의 것과 같다면?
    힐러리도 그렇고 우리나라 사람들이 미국 민주당에환상이 많은듯..
    이들 역시 미국 군산복합체와 국방부 네오콘들로부터 자유로울수 없을겁니다.
    무조건 열광하지말고 어떤점이 우리에게 유리한지 제대로 알고 지지했으면 좋겠습니다

  • 3. 버니 샌더스가 불쌍한 이유
    '16.2.11 5:15 AM (175.223.xxx.192)

    1. 사회주의가 뭔지도 모르거니와 실행할 생각조차 없는 정치인이 짝퉁행세를 하려고 한다.

    2. 경제민주화라는 쉬운 단어도 이해 못하면서 사회주의라는 보다 광범위하고 포괄적인 단어는 이해한다고 주장하는 사람이 좋아한다고 한다.

  • 4. penciloo2
    '16.2.11 5:23 AM (67.168.xxx.184) - 삭제된댓글

    위에 댓글보듯이 한국매국넘들은 형님나라에 사회주의를 표방하는 리더를 싫어라한다
    그럼 뭐하겠냐만...우물안의 꼴통들이..

  • 5. 175.223.xxx.192
    '16.2.11 7:22 AM (129.21.xxx.198)

    "경제의 민주화"란 말 가지고 국제사회에서 떠들어 보세요. 누가 알아듣나. 간단히 미국 프랑스 신분지들이라도들여다 보세요. "경제의 민주화"라는 말을 누가 즐겨 쓰나. 프랑스 헌법에 "경제의 민주화" 보셨어요?

    미국 기자가 한국 정치 상황 전하는 기사에서 "경제의 민주화"라고 안 하고 "소위 경제의 민주화"라고 쓴 것도 사람들이 그런 말 안 쓰기 때문이에요.

    왜 국제 언중에겐 인기도 없는 단어가 한국에서 갑자기 유행했는가, 그 단어가 한국의 진보에 기여할 단어인가 아닌가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지시기 바래요.

  • 6. 새정치부터 떠들어 보세요.
    '16.2.11 7:24 AM (175.223.xxx.192)

    내세운 당사자도 제대로 설명을 못하는 새정치 말이죠.

  • 7. ᆞ.
    '16.2.11 7:43 AM (110.70.xxx.105)

    한국에서는 그런 사람이 존경받지 못합니다.
    보수의 비난에 빨갱이로 몰릴테니~
    위대한 미국

  • 8. ㅇㅇ
    '16.2.11 10:38 AM (125.191.xxx.99)

    미국도 빈부격차 심해지고 파이배분이 안되어 양극화 심해지니 폭발해서 자연스럽게 흘러가는 거지 참 심각하게도 생각한다.

    한국도 중산층 무너지고 양극화 더 심해지면 자연히 저런 가치관의 대통령이 인기 끕니다.

  • 9. ~~~
    '16.2.12 11:54 PM (183.101.xxx.174)

    윗님 말씀처럼 빈부격차 심해지니 저런 대통령을 원하는 건 자연스러운 현상일 수 있겠지만,
    중요한 건,
    버니 샌더스란 사람은 세상의 흐름과 상관없이 자신의 정치생활 내내 저 가치관과 신념을 주장하고 지켜왔다는 거죠. 그래서 그냥 한 인간으로서 멋지고 인정할만한 사람 같아요.
    그것이 무엇이든 그 오래 세월 자신의 신념을 지키고 그 신념대로 실천해서 살아왔다는 건.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26808 그레이 아나토미 보신 분 계세요? 17 ㅇㅇ 2016/02/11 2,950
526807 러시아에 대해 잘 아시는분 계세요?-무역 a 2016/02/11 356
526806 첫사랑?? - 박정현의 어땠을까 zzz 2016/02/11 802
526805 새우튀김을 가장 맛있게 먹는 방법 12 튀김 매니아.. 2016/02/11 3,000
526804 당뇨병은 인슐린 안맞으면 어떻게 되요 7 ... 2016/02/11 4,845
526803 레이저토닝 8 도와주세요 2016/02/11 3,203
526802 직구 초보.. 질문드립니다! 8 모닝라떼 2016/02/11 1,171
526801 혹시 미니재봉틀 사용하는분 계세요? 7 덜덜덜 2016/02/11 1,565
526800 설거지건조대 좀 골라주세요. 11 라일락하늘 2016/02/11 2,267
526799 이런사람은 착한건가요? 나쁜건가요? 2 ㅇㅇ 2016/02/11 1,187
526798 고등 나이스 독서활동사항 10 고등 나이스.. 2016/02/11 2,219
526797 시댁 둘째 형님에 대한 아리송한 이야기 5 ,, 2016/02/11 3,173
526796 BBC에서 불치병에 걸린 한 남자의 자살에 대한 프로그램을 방영.. 1 ㅇㅇ 2016/02/11 1,431
526795 부모님 집 사드린 분 계신가요? 18 장녀 2016/02/11 7,004
526794 "캐롤", "검사외전" 보고.. 3 동시 상영 2016/02/11 2,536
526793 다함께 찬양-박근혜 찬양 ~~~ 3 찬양 2016/02/11 848
526792 떡국떡, 오뎅, 만두, 표고버섯으로 탕 만들때 2 dd 2016/02/11 625
526791 차 얻어타고 다니면 발렛비ㅡ정도는 내주는게 어때요 좀?? 12 -__-;;.. 2016/02/11 3,552
526790 고등학교 모의고사) 회차마다 난이도 차이가 심한가요? 4 궁금 2016/02/11 760
526789 시댁. 친정. 경제형편 차이가 많이 날때 5 ㅁㅁ 2016/02/11 3,196
526788 손톱 밑이 자꾸 붓고 가려워요. 2 ㅁㅁ 2016/02/11 2,275
526787 선우엄마처럼 친정엄마한테 전화해서 목놓아 우는거..어떤 기분이예.. 13 정말 궁금 2016/02/11 2,818
526786 날 풀렸대서 백만년만에 치마를 입었는데.. 3 아이고 2016/02/11 2,006
526785 남동생 아기 낳는데 선물(현금) 6 루이지 2016/02/11 1,383
526784 시어머니 참... 6 2016/02/11 1,8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