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조카들 선물 이제 안 하려고요.

흠.. 조회수 : 6,505
작성일 : 2016-02-09 12:49:46
아이들이 어리지도 않아요.

하나는 이제 고2 올라가고, 하나는 초등 5학년

제가 아이가 없이 오랫동안 딩크로 살다가 얼마전에 아이를 낳았고요.
그 사이사이 조카들한테 꽤나 잘했어요.

멀리사는 편이라 명절에도 얼굴을 못 보긴 하지만 친정 갈때는
늘 아이들 옷이나 물건 선물로 주고 용돈도 주곤 했는데 고맙다는 소릴 별로 들은적이 없네요.

이번에도 설명절이 되어서 인터넷으로 옷 사서 보냈거든요.
나름 고가이고 좋은걸로(사진 보내서 고르라고 하고 자기 마음에 드는걸로 사라고 했어요.)

그런데 고모 감사합니다. 전화 문자 하나 없네요.

지난번 친정갈 때도 바리바리 싸갖고 갔는데 정작 고맙습니다~는 못들은거 같아요.

어릴적부터 챙겨주다 보니 그냥 의례히 당연한게 된 느낌?

형제들도 제 아이를 어느 정도 챙기는편이지만 제가 경제적으로 더 여유있어서 더하는편인데,
조카들한테 이렇게 선물해도 결국 고맙다 소리, 문자 하나 못받는데 뭐하러 하나 싶어요.

아기때야 모르지만 고등학생이면 카톡이나 문자 정도로 잘 받았다, 감사합니다~ 정도는 하는게
정상 아닌가요?
IP : 218.110.xxx.11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ㄱㄱ
    '16.2.9 12:54 PM (182.230.xxx.219)

    그 부모가 교육을 잘못 시킨거죠.
    어렸을 때부터 인사 못들었다면서요.

  • 2. 하하오이낭
    '16.2.9 12:56 PM (121.157.xxx.249)

    원래 챙기는 사람만 챙기고 안챙기는사람은 받기만해요 ㅋㅌㅌㅌ

  • 3. 조카들
    '16.2.9 12:56 PM (221.139.xxx.19)

    마음은 항상 고마워할거예요. 인사성이 밝으면 더 예뻐해줄텐데요...글쵸?

    예쁜아가 축하해요^^

  • 4. ..
    '16.2.9 12:57 PM (211.201.xxx.58)

    헐...
    뭐가 이뻐서 선물을ㅠ
    부모는 대체 애 교육을 어떻게 시켰길래

  • 5. ㅣㅣ
    '16.2.9 12:59 PM (211.36.xxx.10)

    맞아요.
    매번 못보고 오는 조카들은
    입학금이든 새배돈이든 시어머니에게 맡기고 오는데
    아무 리액션도 없으니 좀 그렇네요.
    울 애들은 챙김 받지도 못하는데. ㅎ
    이번에도 내려갈 땐 놓고 오지 말자 하면서도
    졸업하는 애 봉투와 나머지 아이들 세배돈 놓고
    오면서 늘 주던거라 이제 스스로도
    습관이 되었나 했네요.

  • 6. ...
    '16.2.9 1:10 PM (14.47.xxx.144)

    오빠네가 형편이 어려워 20년 넘도록
    조카들에게 아낌없이 베풀며 살았어요.
    반대로 저나 저희 아이들은 그 집에서 받은 게 아예 없구요.
    올케나 조카들이 늘 고맙다, 고모가 최고라고 하긴 했습니다만.
    결혼이후 20년 넘도록 부모 재산 축내고
    여태 생활비 교육비까지 지원받으며 사는 오빠 보면서
    이젠 저도 그만하기로 했어요.
    몇천씩, 몇백씩, 몇십씩 빌려 간 돈도 억이 넘는데
    이젠 더이상 선물 공세까지 해가며
    좋은 고모 노릇하고 싶지 않습니다.
    형제간에 돕고 사는 것도 일방적으로 해야 하는 건
    정말 못할 짓이예요.

  • 7. ^^
    '16.2.9 1:12 PM (121.146.xxx.197)

    원래 부모가 시켜야 하는데..
    요즘 고딩들은 인사 같은거 잘 안하는건지, 못하는건지..
    저도 잘 못들어봤어요~~

    조금씩 줄이세요~~
    딱 해주고 서운안할만큼..^^

  • 8. 내리사랑
    '16.2.9 1:30 PM (115.21.xxx.61)

    요즘 애들이 모자른 게 없이 커서 받는게 당연한 거 그런 거 있어요. 영혼없이 고맙다고 꼬박꼬박 인사하면 오히려 잔망스럽다는 마음 들 수도...내 피붙이 조카니까 그냥 이뻐해주는거죠. 그 사랑이 커서도 기억이 날겁니다. 30대, 40대 지나면서 비슷한 경험하면 문득 문득 생각나겠죠. 그때는 원글님은 아마 노인이 되어계시겠고요. 그 때 만나면 따뜻했던 이모, 고모로 기억나는거죠.

  • 9. 언니네 조카들도 그래요
    '16.2.9 1:46 PM (211.36.xxx.86) - 삭제된댓글

    딩크를 호구로 알아요~;;

  • 10. 글쓴이
    '16.2.9 2:38 PM (218.110.xxx.11)

    오빠 내외는 그래도 기본적으로 도리도 하고요, 그쪽 형편에 맞게 제 아이에게 선물도 주고 그래요. 물론 금액은 차이가 배는 넘지만 그래도 제가 훨 경제적으로 여유있으니까요. 어릴적엔 그래서 아이에게 고모 감사합니다. 카드도 쓰라고 하고, 인증샷도 올케 언니가 찍어서 보내주어서 더더욱 신나서 했는데요, 아이가 크니까...그게 없어지네요. 사춘기라 하기엔 이제 좀 큰나이이고, 필요한 거 있음 카톡이나 페이스북으로 갖고 싶다고 링크도 보내는 놈이 받고 나서 문자한절 없으니 서운하다 생각이 들어서 썼어요. 오빠네한테 뭐라 하기는 애매한 거고요. 그냥 조카가 조금 괘씸하네요. 딸처럼 예뻐하고 늘 좋은 것보면 조카 생각나서 주고, 구하고 그랬는데....조카는 딱 거기까지인가봐요. 더 커도 비슷할 듯 해서 이젠 마음 접으려고요. 중학생때라면 모를까 고2씩이나 됐는데 그냥 저랑 정서적으로 그닥 친한 사이가 아니라 불편한 관계이고 제가 일방적으로 애정을 주는 관계 같아요. 대학등록금도 대주려고 했는데 부질없는 짓이라 생각하고 그냥 늦게 낳은 제 딸한테나 올인하렵니다.

    아이두고 뭐 이리 주저리주저리 말이 많고 소위 말하는 뒷담화를 하냐 말씀하시면 진짜 창피하고 할말 없는데요, 그만큼 그 아이한테 준 사랑과 애정과 관심이 컸었어서 상실감도 크네요.

  • 11. 아이입장
    '16.2.9 4:22 PM (222.233.xxx.3)

    크게 필요하지 않거나
    본인 마음에 안드는 선물일 수 있어요.
    머리가 커질 수록
    본인이 직접 고른 게 애착이 가잖아요.

    얼굴 볼 때 용돈을 넉넉히 주세요.
    비싼거지만 본인이 원하는게 아니면
    값어치 못해요.

    물론 사리분별이 있는 아이면 감사인사 정도는 하겠지만
    애는 애니까요.

  • 12. 이제라도
    '16.2.9 5:01 PM (125.57.xxx.152)

    이제라도 아셨으니 다행!
    고모. 이모 조부모는 한다리 건너 두치예요
    잘 해줘도 다음에 커서 부모 챙기지 이모 고모까지 챙길 여력 없어요
    .본인 늦게 낳은 아이에게 충실하시는 게 좋을듯 합니다
    잘 받았다는 인사도 못 받는데 나중에는 상실감이 더 클듯 하네요

  • 13. ...
    '16.2.9 6:32 PM (211.200.xxx.128)

    저는 이번에 조카에게 용돈도 안보냈어요.
    저 역시 늦게 결혼해서 명절. 입학. 어린이날. 크리스마스 이런 날 선물과 용돈을 꼬박꼬박 챙겼거든요. 한데 제가 늦게 결혼해 애를 낳았는데 언니는 단 한번도 챙기지 않더라고요. 저보다 훨씬 잘 벌고 잘 살고 애도 둘이나 되는데. . . 결혼 전에야 그런 생각 안했는데 결혼하고 애 낳고 나니 이건 아니다 싶어 신경쓰이지만 꾹 참고 안챙겨요. 불편한 듯 편한듯 모르겠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44594 베란다오징어님의 글에 힘입어 부엌 뒤집기 중~ 8 미스터임~ 2016/04/06 2,725
544593 바람피우는거 속이기 딱좋은방법-등산 9 ee 2016/04/06 5,828
544592 틴트 개봉후 1년이내에 버리세요? 2 수수한화장 2016/04/06 1,083
544591 외국으로 이삿짐 보내본 적 있으신 분 계신가요 5 이삿짐 2016/04/06 650
544590 로얄코펜하겐 어떤 라인이 제일 예쁜가요? 3 ... 2016/04/06 1,698
544589 남편이 지금 딴여자랑 등산하러 갔어요 51 부자살림 2016/04/06 29,136
544588 저희가 5억 대출 받아서 집 샀어요. 사례연구 14 ... 2016/04/06 8,677
544587 제과점 치즈케익..냉장실 몇일 보관 가능한가요 1 제과 2016/04/06 1,141
544586 파나마 페이퍼..아이슬란드 강타…총리 결국 사임 3 검은돈세탁 2016/04/06 903
544585 수도권 야권지지자 33% "당선될 후보에게 투표하겠다&.. 2 링크수정 2016/04/06 535
544584 문재인님 표창원님 나오세요~ 5 팩트티비 생.. 2016/04/06 752
544583 원영이 살해범 김진희가 시설 좋은 교도소에 배정받으면 안되기에 .. 9 ? 2016/04/06 2,940
544582 가스렌지 환풍기 고장은 어디서 고치나요? 5 세입자 2016/04/06 2,045
544581 지하철 화장녀도 문제지만 27 sdf 2016/04/06 5,464
544580 저 밑 맥주집 헌팅글 보고 3 이모 2016/04/06 983
544579 아파트 - 공동명의로 바꾸면 절세 효과 큰가요 1 세금 2016/04/06 1,655
544578 불린 메주콩으로 뭘 할수 있나요? 3 메주콩 2016/04/06 767
544577 유산균 효과 없으신 분.. 유산균 종류 바꿔 보세요! 19 .. 2016/04/06 6,468
544576 아이가 다섯 재미있네요 7 ㅇㅇ 2016/04/06 1,888
544575 익산을 새누리 박종길 “세월호 6주기”, 국민의당 조배숙 “백남.. 3 하오더 2016/04/06 670
544574 우리니라 언론은 왜 파나마 페이퍼 사건에 이리도 조용한 거죠? 11 모색 2016/04/06 1,261
544573 지금 수산물 자체를 아예 먹으면 안될것 같아요 15 심각 2016/04/06 4,587
544572 이직 잦았던 남편 한 마디 했더니 삐졌네요 3 후~ 2016/04/06 1,856
544571 웹자보 한장에 담은 정의당,녹색당 공약 2 문성근님 트.. 2016/04/06 460
544570 [스타톡톡] "개념까지 섹시"..이래서 조진웅.. 4 lemont.. 2016/04/06 1,3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