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명절에 시댁갔다가 집에 와서 주무시는 분들~

그래 조회수 : 3,477
작성일 : 2016-02-07 09:36:02
시댁과 같은 지역 30~40 분 거리입니다
몇번은 시댁에서 잤고
몇번은 집에 와서 자고 아침에 다시 갔는데
집에 올때마다 눈치보이고 변명아닌 변명처럼 하게되네요

전날은 집에 와서 자고 명절아침에 다시 시댁가시는 분들
전날 몇시쯤 집에 왔나요?
저녁먹기전인가요? 저녁먹고 한참있다인가요?
IP : 59.22.xxx.231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아이고
    '16.2.7 9:42 AM (182.221.xxx.208)

    왜 눈치를 보세요 변명도 마시고 낼 아침에 올께요 하고 나서세요
    전 저녁먹고 치우고 나섰어요

  • 2. 그런 거
    '16.2.7 9:43 AM (175.209.xxx.160)

    개의치 마시고 남편과 합의되는 대로 하세요. 그래도 명절인데 북적이는 거 좋아하시니 저녁 먹고 과일 먹고 얘기 좀 하다 9시에 오시면 되지 않나요. 처음엔 섭섭해 하셔도 하다보면 그러려니 하세요.

  • 3. 눈치보지마세요.
    '16.2.7 9:43 AM (115.140.xxx.74)

    결혼 27년차되니 그동안 눈치보며
    산 세월이 억울할뿐..

    우리셤니도 엊그제 말씀이..
    느그 친정엄마도 없는데
    친정언니랑 친할이유없다네요..헐..
    대답하면 구순 노인네랑
    쌈만 날거고 , 그냥 무시하는 행동으로 보여주렵니다.ㅎ
    27년차인데도 , 아직도.. 친정가는게 못마땅ㅡ.ㅡ

    눈치보며 행동하면 상대는 알아요.
    내가 정한대로 당당하게
    행동으로 보여주세요.
    난 내뜻대로 한다!!

  • 4. ...
    '16.2.7 9:47 AM (121.157.xxx.195)

    전 20분거리살고 밤10시쯤 나서서 집에와요. 잠만자고 새벽같이 다시 가는데 그래도 집에와서 자는게 편하죠.

  • 5. 왜?
    '16.2.7 10:14 AM (180.68.xxx.71)

    눈치를 보죠??
    전 차로 15분거린데 집에와서 자고 아침에 갑니다~
    전날 점심쯤 가서 두세시간 음식준비하고 저녁먹고 좀 앉아있다
    8시쯤 집에와요~
    설날 아침일찍 큰집에 가야하므로.

  • 6. 근데..
    '16.2.7 10:16 AM (180.68.xxx.71)

    30~40분거리라면..
    차라리 시댁서 자는게 나을듯도 싶은데..
    도로 사정에 따라 더 걸릴수도 있다면요~~

  • 7. ..
    '16.2.7 10:37 AM (114.206.xxx.173)

    저녁먹고 치우고 내일 모여 후다닥 차리게
    청소하고 병풍, 제기 꺼내놓고 와요.
    일찍 우리가 가야 어머니도 샤워하시고
    드라마라도 보며 쉬시지요.
    9시전엔 일어납니다.

  • 8. ㅇㅇ
    '16.2.7 11:02 AM (221.158.xxx.207) - 삭제된댓글

    윗님 시어머니처럼 일하고 저녁엔 드라마보며 쉬고 싶은 분이면 좋겠어요
    저희시모님은 너희 자고 가라고 이불도 삶아 놨다시길래 대답도 안했는데 차로 40분 정도 같은 도시..
    남편은 다음날 아침일찍 가는게 불편하니
    그냥 잤으면 하는 눈치인데 제가 집에서 잘거랬더니
    좀 서운한모양.. 어디서 자든 명절전날 전부치고 당일날 차례지내러 오면 되는거 아닌가요?
    결정적으로 씻고 머리말리고 다 불편한데
    우리부부 알아서 하게 냅두는게 아니라
    자고가라고 이불 빨았다는둥 이런설레발이 부담이에요. 눈치안보고 신경안쓰고 살고싶은데 잘안되네요

  • 9. 왕복2시간 남짓
    '16.2.7 11:07 AM (219.255.xxx.158)

    같은 서울이라도 끝과 끝이라 시간이 걸려요
    저희 시가는 차례도 제사도 없는데다 9평 임대아파트
    사시기때문에 잘방도 없고 친정차례때문에 늘 명절
    당일 방문하는 시동생과 만날 일 없는게 다행입니다
    시댁은 같은 지역이니 못해도 한 달에 한 번이상 방문하고
    친정은 보통 8~9시간은 걸려야 갈수있으니 명절당일
    다시 시댁에 방문하지 않아요
    우리 먹을 음식만 하기때문에 명절 전날 오후에 가서
    밤9시쯤 나옵니다
    결혼 15년이 넘었는데 이렇게 되기까지 몇년전 시모랑
    전쟁을 치뤘죠.

  • 10.
    '16.2.7 11:46 AM (223.62.xxx.205) - 삭제된댓글

    저희랑 거의 비슷해요. 근데 애들이 커가니깐 자연스레 집에 가서 자고 아침에 일찍 출발하게 되네요.
    남편과 저는 저녁 먹고 어머니랑 앉아있다 제가 슬슬 눈치를 줘서 일어나게 되는데 그 시간이 보통 이르면 9시쯤 되나봐요.
    대신 다음날 일찍 오라는 어머님의 눈총을 겪으면서 나오게 되지만 실은 남편도 마찬가지로 집에서 자는게 편하지요.
    근데 다음날 쓸 그릇까지 다 준비하고 나와야 마음이 좀 편해요.

  • 11.
    '16.2.7 2:11 PM (223.62.xxx.118)

    저는 같은 서울에 차로 30분 정도 거리 시댁인데
    전날 아침 11시쯤 가서 5시에 저녁 먹기 전에 나와요
    저녁 먹고 가길 원하시고 사실 저도 먹고 가도 딱히 상관 없는데 남편이 빨리 집에 가서 자고 싶어해요 자기는 일도 안 하면서
    뭐 아들이 원래 저런 거 아니까 다행이 그 화살이 저에게 돌아오지 않네요 그냥 아들 보고 쯧쯧 거리실 뿐

    저도 첨엔 눈치 보였는데 그냥 남편 뒤에 숨어서 슝 나옵니다

  • 12. 결혼초에
    '16.2.7 2:13 PM (122.37.xxx.51)

    자고가겠다고 누우니 잠이 안와 꼴딱 세고 새벽부터 비몽사몽했어요
    이후론 안자고 담날 가요

  • 13. 우리도
    '16.2.7 4:25 PM (223.62.xxx.207)

    삼십분이 아니라 한시간이 걸려도집에가고싶어요
    같은서울서 왜자야하는지 이해불가
    오늘은 작은형님 아들둘에 며느리 하나 손주까지
    정말 ㅠㅠ
    부침개다하고 할일없어서 멀뚱멀뚱
    전 나중에 며느리 생기면 제사도 안하겠지만 잠간씩보구
    잠은 집에가서 자라 할겁니다

  • 14. 은현이
    '16.2.7 5:08 PM (223.33.xxx.121)

    시댁 가까우신 분들 부럽네요.
    음식 다하니 냄새 배어서 씻어야 하는데 추워서 꼼짝 안하고 있네요.
    작년까지만 해도 우풍심한 욕실 이지먼 잘 씻었는데 한해가 다르게 오한이 드니 무서워서 행동을 못하겠어요.
    모텔이라도 가야 하나 고민 하고 있어요.
    저는 둘째 지만 집이 멀어서 어제 오고 형님은 같은 지역이라 오전 11시에 오셔서 방금 가셨는데 엄청 부럽네요.

  • 15. 시댁이랑
    '16.2.8 4:03 AM (110.12.xxx.92)

    같은 아파트 다른동 사는지라 저녁먹고 설겆이하고 집에 왔어요 설날아침 8시쯤에 가면 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47763 이재명트윗.. 31 ... 2016/04/14 4,453
547762 천정배 "국민의당 1야당.. 새누리 출신도 연대가능&q.. 16 샬랄라 2016/04/14 1,927
547761 꼬질꼬질 태권도복 삶으면 안된다는데 어떻게 하죠? 5 태권 2016/04/14 3,951
547760 오늘 하루 너무 행복해요 2 ㅇㅇ 2016/04/14 996
547759 부산 빨갱이(?) 국회의원되다 5 부산 2016/04/14 1,329
547758 부산 5석은 갑톡튀가 아닙니다. 부산을 너무 모르시네요 9 엠팍펌 2016/04/14 1,703
547757 연하를 만났어요...그런데..... 18 ... 2016/04/14 8,859
547756 국무부 “한국 국정교과서, 표현·학문의 자유 침해 우려” 샬랄라 2016/04/14 566
547755 무쇠솥 미는 사포 어떤 걸로 사와야 할 지... 5 운ㅌ 2016/04/14 1,206
547754 집에서 에스프레소는 마시기 힘든가봐요 12 2016/04/14 2,520
547753 박근혜 대통령 사진이.... ㅋ 5 .... 2016/04/14 3,853
547752 마흔살인데 플리츠플리즈 주름원피스 평상복으로 어떨까요? 10 ,,, 2016/04/14 3,350
547751 기뻐요.. 강남을! 16 강남을 주민.. 2016/04/14 2,950
547750 새누리를 찍었다는 젊은 애 엄마...저만 이상하게 생각하는걸까요.. 34 투표는 자유.. 2016/04/14 5,100
547749 프락셀 해보신분요~~ 4 울산아짐 2016/04/14 2,160
547748 결혼 안 한 동생이 있는데요... 28 soyya 2016/04/14 6,578
547747 유승민의원.주호영의원께 전화드립시다 14 호호아줌마 2016/04/14 1,944
547746 질문의 요지를 파악 못하는 사람이 너무 많아요... 3 ㅠㅠ 2016/04/14 1,079
547745 중딩 딸과 아빠가 뮤지컬 보려는데 맘마미아와 삼총사 중 뭐가 좋.. 5 ... 2016/04/14 784
547744 (재혼가정) 혹시 남편 죽은후 상속 아시는분요 17 ... 2016/04/14 5,047
547743 강력과 박력을 섞는 레시피 중력분으로 해도 될까요? 베이킹 2016/04/14 596
547742 언니들 지름신 부추김에 파니니그릴 구입완료^^, 이번엔 무선청소.. 5 미리 2016/04/14 2,187
547741 완벽한 인간이 어딨겠어요 1 joy 2016/04/14 504
547740 김무성 "과반수 깨지면 주가 폭락", 그러나 .. 1 샬랄라 2016/04/14 1,680
547739 근래들어 최고의 쇼크적 질문... 문제인이 누구야? 16 헐... 2016/04/14 2,6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