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2개 이상 먹지 말라. 2개 까지 먹으라고 한 것인가? 그것 보고 제나름 풀어 봤어요.

제 마음대로 조회수 : 3,449
작성일 : 2016-02-04 22:07:54

아침에 그 글을 보고 저도 댓글을  썼지만  지금 집에 와서  다시 댓글을 달려고 보니

어디에 써있는지 모르겠네요.


2개 이상 먹지 말라고  하면 그게 2개 까지냐? 아님 1개를 말하는 거냐?였는데.

곰곰히 생각해 보면

예) 아들 : 엄마 놀러 동생하고 사촌들하고 놀러 갈려고 하는데 나 돈 좀 주세요.

     엄마  : 지금 돈이 없어서 2만원 이상은 못 준다.

     아들  : 그럼 19000원 주세요.

   

  엄마  : 지금 돈이 없어 그래도  2만원까지는 줄 수 있어 .

     아들 :  그럼 2만원 주세요.


예) 아줌마 1: 저기 아파트 전세 2억 이상은 안 간다고 해.

     아줌마 2: 그래 얼마래 ? 1억 9천? 1억 8천?


예)건축현장 설계사 : 이 건물에는 모래를 2톤이상 쓰면 안됩니다.

     건축시공사 직원   :  알겠습니다. 저도  1.9톤   정도 생각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2이상 안된다고 하면 2이상이란  말은 2가 포함이 되기 때문에 2이하로 생각해야 합니다.(누구나 다 잘 압니다)


그런데 빵의 경우는  2개 이상 먹지 말라.

이렇게 말을 하면 1개를 먹으라고 하는지 2개 먹으라고 하는지 사람마다 다 다르기 때문에

표현 자체를 1개만 먹어라 그 이상은 안된다. 하고 확실히 여기 까지 선을 그어 줘야 서로 실수를 안하는데

이게 이상이란 말을 썼기에 두가지로 보는 사람들이 생기기 마련이지요.

확실히 선을 그으면서 어떤 한계까지 지시를 한다면 그게 명쾌하고 간결한 수학적인 표현이라고 생각이 되네요.


만약에 2개를 먹기 바란다면 2개까지만 먹고 그 이상은 안됩니다. 

귤은 5개 까지 먹고 그 이상은 안됩니다.


느믈느믈한 아들 : 엄마 2개 이상은 먹으면 안 된다고 했지?

엄마                  : 그래, 두개 이상 먹지마.

느믈느믈한 아들 : 한 사람한테 1개 씩이라..... 동생하고 먹으면  합계가 두개이네.

                         : 2개 이하라고 하면 하나하고 2분의 1을 먹어도 된다는 말이네

                         : 그럼 우리가 1하고 2분의 1 씩 먹으면 합계가 3개가 되어도 된다는 말이네 .

                         : 엄마가 분명 2개 이상은 안된다고 했으니 우리는 한 사람당 1개하고 반을 먹겠어요. 3개 주세요.

이렇게 말을 하는 아이들도 분명히 있을 겁니다.

수학할 때의 이상이란 단어 하고 일상생활에서의 이상이라는 단어가 주는 뉘앙스가 다를 수 있기에

지시어는 확실히 어디 까지가 한계라는 선을 쫙 그어서 명쾌한 답이 나오도록 하면 이걸까 저걸까 아닌 확실한 대답이

나오니

그걸 조심해서 쓴다면 혼동은 안 올 거라는  생각을 해 봤어요.


.




IP : 42.148.xxx.154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그런가요?
    '16.2.4 10:14 PM (88.116.xxx.226)

    두 개 이상이라면 세 개는 안돼고 두 개까진 된다는거 아닌가요?

  • 2. ㅇㅇ
    '16.2.4 10:17 PM (211.237.xxx.105)

    어렸을때 산수시간에 배우기를
    이상 이하는 그 앞에 숫자를 포함
    미만 초과는 그 앞에 숫자를 포함하지 않음
    ex)
    5 이상
    5 6 7 8 ...

    5 이하
    5 4 3 2 ...

    5초과
    6 7 8 9 ...

    5미만
    4 3 2 1 ...

  • 3. ...
    '16.2.4 10:30 PM (111.65.xxx.95)

    ㅇㅇ님 말씀이 맞아요.
    이상은 그 숫자 포함
    이하도 그 숫자 포함
    미만은 그 숫자를 포함하지 않는다고 배웠어요.

  • 4. .....
    '16.2.4 10:33 PM (118.39.xxx.210)

    생활언어와 수학언어와의 차이점이죠...
    생활하면서 수학언어 쓰는 사람 별로 못봤습니다.
    저는 2개까지 먹어라는 소리로 들립니다.

  • 5. 그런가님
    '16.2.4 10:34 PM (42.148.xxx.154)

    수학에서 5개 이상이라고 하는 건 5개를 포함한 겁니다.
    5개이상 먹으면 안돼요.라고 말을 하면
    4개까지를 말합니다.

    그런데 우리가 일상적으로 말 할 때는 5개 이상 먹으면 안됩니다. 들었어요.
    그런데
    말을 하는 사람의 의도가 4개를 먹길 바라는 마음에서 5개 이상 먹지 말라고 하고
    듣는 사람은 음...5개 까지 먹을 수 있구나. 하고 생각한다면
    큰 오해가 생기지요.

    그래서 수학을 할 때 쓰는 이상이라는 말로 혼동을 주기 보다
    몇 개 까지 그 이상은 안된다라는 말을 쓰면 혼동은 없고 명쾌한 지시가 되지요.
    말하는 사람 의도 : 5개 먹기를 바라는 마음에
    5개 까지는 되고 그 이상은 안됩니다.
    누구나 5개를 먹을 겁니다.
    또 5개를 초과해서는 안됩니다.--- 5개만 먹으란 말이 되지요.
    수학에서 쓸 때의 이상과 일상생활에서의 이상은 정말 혼동할 때가 있어요.

  • 6. .....님
    '16.2.4 10:42 PM (42.148.xxx.154)

    아침에 어느 분이 글을 올렸어요.
    그 분 둘째 아들이 학교에서 케익을 먹었는데 선생님이 2개 이상은 먹지 말라고 해서 2개 밖에 못 먹었다고 하니까.
    옆에 있던 장남이 2개 이상 먹으면 안된다고 하는 건 1개라는 의미라고 해서 작은 아들이 울면서 학교에 갔다라는 글이어서 여러 의견이 있었지요.
    님 말씀대로 수학언어로 말하는 사람과 일상생활언어로 듣는 사람의 괴리라고 할까요?
    그런게 아침에 발생한 걸 제가 올렸습니다.

  • 7. .....
    '16.2.4 11:39 PM (118.39.xxx.210)

    그러니깐요...
    수학언어로는 장남 말이 맞죠..저 말이 수학시간에, 교과과정을 가르치면서 했으면 장남 말이 맞죠.
    그런데 과연 선생님이 급식시간에 그 말을 수학언어로 사용했을까요?
    저는 아니라고 봅니다.
    보통 사람들이 한개만 먹어라고 하지 두개이상 먹지마라라는 말을 많이 쓰나요?

  • 8. 두개이상
    '16.2.5 12:12 AM (113.199.xxx.176) - 삭제된댓글

    샘이 두개이상 먹지 마라라고 한건
    한개먹는 사람도 있을거고 두개먹는 사람도 있을터인데
    세개는 먹지마라란 뜻으로
    두개이상 먹지마라 하셨던듯~~~

    샘 입장에선 아이들 모두 한개를 먹으면 남고
    두개를 먹으면 맞고
    세개는 모자르니
    모자르지 않게 두개이상이라고 하신거 같음

  • 9. 두개이상
    '16.2.5 12:14 AM (113.199.xxx.176) - 삭제된댓글

    그냥 이해쉽게 두개까지만 먹으라고 하시지

  • 10. ...
    '16.2.5 12:44 AM (211.172.xxx.248)

    저도 생활언어와 수학언어의 차이라고 생각해요.
    2개 까지는 괜찮고 더 먹지는 말라고 할 때 2개 초과하면 안된다..라고 해야 하는데
    주변에서 보면..초과의 의미로 이상을 쓰는 경우가 많아요.
    미만도 잘 안 쓰고 그냥 이하로 쓰고요.

  • 11. 글쎄요...
    '16.2.5 10:00 AM (220.73.xxx.239)

    생활언어와 수학언어의 차이라고 하기엔 원글님의 주관적해석이네요

    원글님은 항상 적게 생각하는거죠.. 상대의 입장에선 이럴꺼야.. 적게 먹기를 바랄꺼야..
    하지만 상대의 마음은 정확히 몇개먹어? 하고 물어보기전엔 모르는거죠.. 원글님해석이 맞을수도 있고
    틀릴수도있습니다.

    전 배우대로 해석하고 싶네요.
    그래야 같은 말을 듣고 다르게해석하면서
    이게 틀린건가 하는 전전긍긍의 시간과 마음고생을 덜하고싶어서요..

    그리고 전국민이 수학적 언어로 해석했으면 좋겠네요..ㅋㅋ
    계량화가 되니깐요.. ㅋㅋ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26930 예비고1 수학 과외교사가 정석을 할 필요가 없다는데요 10 과외 어렵네.. 2016/02/11 2,661
526929 짧을수록 섭섭하다ㅏ (하 시리즈) 1 .. 2016/02/11 536
526928 초등고학년이 잘 보는 한국책들 뭐가 있을까요 2 .. 2016/02/11 531
526927 전지현 대단한거같아요 41 m,kh 2016/02/11 24,721
526926 내일 또 시댁 갑니다. 15 며느리 2016/02/11 4,936
526925 스콘 3 빵순이 2016/02/11 1,023
526924 40대 후반 친구들끼리 해외여행 4 여행 2016/02/11 3,093
526923 50만원 상당의 호텔숙박권을 잃어버렸어요... 5 바보멍충이 2016/02/11 2,200
526922 갱년기 증상 좀 알려주세요.. 3 갱년기 2016/02/11 1,692
526921 자녀 수능 치러보신분께 여쭤요~~ 8 대학입학 2016/02/11 1,653
526920 남편이 장남인데 아들없는 분들은 앞으로 제사 어떻게 하실건가요 20 제사제사 2016/02/11 6,576
526919 수의사 쌤한테 살짝 섭섭하네요.. 3 캐리 2016/02/11 1,829
526918 이제야 국제사회가 제대로 대북제재에 나설수 있다는 뜻 4 개성공단중단.. 2016/02/11 536
526917 25평욕실 리모델링 얼마나 들까요? 8 궁금 2016/02/11 2,372
526916 이사 가고 싶은데 구립어린이집 입소연락왔어요.. 4 나나 2016/02/11 835
526915 초등6학년 올라가요..시골유학?괜찮을까요? 8 둥이맘 2016/02/11 2,000
526914 글이 또는 댓글이 이상하다 4 샬랄라 2016/02/11 552
526913 화가가득한얼굴로 째려보는 이웃주민..왜그런거에요? 22 공포 2016/02/11 4,329
526912 짧아도 감출건 있다 (하 시리즈) 3 .. 2016/02/11 701
526911 여기서 봤는데 초간단 요리 중 계란과 밥으로 하는 거... 4 요리 2016/02/11 1,489
526910 (급) 손만두가 덩어리채 다 붙었어요 10 oo 2016/02/11 2,230
526909 자꾸 생각이 나서 속상합니다. 2 ㅜㅜ 2016/02/11 1,261
526908 MB '귀족학교' 하나高, 장학금은 서울시민 세금으로? 4 샬랄라 2016/02/11 1,326
526907 안희정 충남지사 “대한민국 외교안보전략, 분명히 하라!” 5 ㅇㅇㅇ 2016/02/11 962
526906 노력파 하대길 (하 시리즈) 2 ㅇㅇ 2016/02/11 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