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생선기름이 찬물에 안씻어지던데요??

비린내 조회수 : 3,826
작성일 : 2016-02-04 10:12:35

기억하실지 모르겠지만 오래전에 자게에서

생선먹은 접시나 후라이팬은 찬물로 설거지 해야 한다고

뜨거운 물로 하면 비린내 난다고 여태 그것도 몰랐냐 반응의 글이 있었는데요..


그때 저도 몰랐던지라 아..그렇구나.. 했지만

평소 생선구이를 거의 안먹는지라 실천에 옮기지 못하다가

며칠전에 냉동실 정리겸 냉동실에 묵혀 있던 고등어를 구어서 먹고


찬물에 설거지를 해봤는데요..


윽.. 기름이 고대로 굳어서 미끈거리는게 전혀 씻기지가 않길래

다시 뜨거운물에 씻을수밖에 없었거든요?


잠깐이지만 트리오말고 베이킹소다로 닦아볼까 하다가

베이킹소다가 거진 한컵은 들이 부어야 할꺼같길래 트리오로 닦은건데..


암튼 뜨거운물로 닦아도 비린내 전혀 안나던데..


찬물로 설거지 하시는분들은 무슨 노하우 있으신가요?

그 고등어 기름이 찬물로 도저히 씻길께 아니던데..

또 뜨거운물로 닦는다고 비린내가 남는것도 아닌데 굳이 번거롭게

찬물로 씻으라는 이유를 해보니 더 모르겠더라구요..

IP : 61.74.xxx.243
2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찬물로?
    '16.2.4 10:14 AM (112.140.xxx.220)

    첨 들어 보네요

    기름기 있는 건 무조건 휴지로 먼저 닦고 씻어야죠

  • 2. 먼저 휴지로(지저분한거로 새건 아까우니깐요)^^
    '16.2.4 10:15 AM (1.224.xxx.99)

    닦아내고 비누 묻혀서 닦아내 보세요. 뽀득하니 잘 닦여요. 뜨건물로하면 비린내가 풀풀 더 나지 않나요.
    고기기름떄도 휴지로 먼저 닦아 낸 다음에 비눗물로 닦아내요...
    왜 찬물로 안닦아내렸는지 저도 궁금하네요..저는 여태까지 그렇게 해 왔었어요.

  • 3. ..
    '16.2.4 10:16 AM (183.96.xxx.49)

    첨듣는 애긴데요
    기름 설거지는 뜨건물로 해야죠...

  • 4. ㅁㅁ
    '16.2.4 10:17 AM (175.193.xxx.52) - 삭제된댓글

    나무도마에 생선손질했을경우 뜨거운물 먼저 부어버리면
    그 냄새가 갇혀버린단 얘기지
    팬같은게 찬물에 씻기나요

    그리고 팬이야 어차피 생선팬은 따로아닌가요?

  • 5. ***
    '16.2.4 10:18 AM (71.177.xxx.5)

    저도 뜨거운물말고 찬물로 해야된다고 들었어요
    그런데 정말 님말씀처럼 잘 안되더라구요.

  • 6. 엥?
    '16.2.4 10:19 AM (1.224.xxx.99)

    생선이고 고기고 볶음밥이고 한 팬에 다 하는데요..
    휴지로 먼저 닦고 비누로 찬물에 씻어내리면 잘 되어요... 뜨건물로 생선닿았단 그릇들 닦으면 비린내 작렬인데요...

  • 7. 비린내
    '16.2.4 10:22 AM (61.74.xxx.243)

    생선을 자주 안궈먹어서 생선팬은 따로 없구요.. 그냥 양면팬에 구웠는데..
    키친타올로 대강 기름을 닦아내고 설거지를 했는데..
    일부러 다른 설거지 다 뜨거운물에 하고 다시한번 트리오 짜서 양면팬만 찬물에 설거지 했는데
    아주 양면팬 밖에까지 기름기가 다 번져서 깜놀랐꺼든요ㅋ
    뭐가 잘못된거지..

  • 8. ...
    '16.2.4 10:22 AM (119.197.xxx.61)

    잔열 기름이 있을때 키친타올로 닦아내요

  • 9. ㅁㅁ
    '16.2.4 10:23 AM (175.193.xxx.52) - 삭제된댓글

    크헉

    팬 하나로 다요?

  • 10. 비린내
    '16.2.4 10:23 AM (61.74.xxx.243) - 삭제된댓글

    키친타올로 기름을 대강 닦아서 그런가..

  • 11. 비린내
    '16.2.4 10:24 AM (61.74.xxx.243)

    키친타올로 기름을 대강 닦아서 그런가..
    다 식은뒤라 그런지 키친타올로 닦아도 기름이 잘 안닦이길래 상관 없겠지~ 하고
    그냥 대강 훓터서 버리고 설거지 하긴 했거든요..

  • 12. 기름은
    '16.2.4 10:27 AM (211.46.xxx.253)

    생선 비린내때문에 찬물에 씻으라는 거예요.
    기름은 당연히 찬물로 씻어내기 힘들죠.
    저는 생선구운 팬은 일단 뜨거운 물로 기름기 씻어내고
    헹굼을 찬물로 해요.
    도마든 팬이든 접시든 헹굼을 찬물로 하면 냄새는 가셔요
    근데 마지막 헹굼까지 따뜻한 물로 하면 비린내 많이 남습니다

  • 13. 닦을때는
    '16.2.4 10:29 AM (113.199.xxx.176) - 삭제된댓글

    더운물에 헹굴때는 찬물에~~온수절약 차원에서~~

  • 14. ㄱㄴ
    '16.2.4 10:30 AM (115.140.xxx.74) - 삭제된댓글

    댓글이 백퍼 옳은건 아니에요.
    댓글쓴사람의 주관적경험도 많음

    상식적으로 생각해도 생선이든, 고기든
    기름기는 뜨거운물에 녹아요.
    제경우..
    설거지물은 스뎅양푼에 물끓여 세제랑베이킹파우더 크게한술풀어
    설거지해요.
    뽀득하고 개운해요.
    설거지전에 휴지로 기름닦는건 기본.

  • 15.
    '16.2.4 10:32 AM (211.36.xxx.248)

    휴지로 닦은다음에 뜨거운물로 해야 지워지드라구요

  • 16. 11
    '16.2.4 10:33 AM (183.96.xxx.241)

    전 스텐후라이팬만 쓰는데 물부어 가스에 살짝 데워 불릴 때 세제 소다 넣고 씻어요 깨끗해요 찬물에만 씻을 땐 그름기 다 닦아내요

  • 17. 사랑해아가야
    '16.2.4 10:35 AM (220.75.xxx.181) - 삭제된댓글

    저도 읽었어요
    그런데 차가운 물로 씻는건 좀....
    요리할때 쓰던 키친타올 남겨둔걸로 기름기 한번 닦고 따듯한 물로 씻어줘요
    전 오븐 낡은게 있어서 삼겹살 생선은 거기에 구워먹는데 기름도 덜 튀고 좋아요

  • 18. --
    '16.2.4 11:09 AM (211.204.xxx.28)

    뜨거운 물로 기름 다 씻어내고 마지막에 찬물로 한번 더 헹구라는 이야기입니다.

  • 19. 그건
    '16.2.4 11:15 AM (117.111.xxx.118) - 삭제된댓글

    윗님 말씀처럼 뜨거운물로 다씻고 마지막에 찬물로 쫙뿌리라는 말이에요

  • 20. ...
    '16.2.4 11:19 AM (211.108.xxx.216)

    팬을 살짝 데워서 키친타월이나 휴지로 싹 닦아낸 뒤 세제 넉넉히 거품내서 설거지하면 찬물이든 따뜻한 물이든 큰 상관 없이 뽀득하게 씻기는 것 같아요. 나중에 팬 데우기 귀찮으면 요리한 생선을 옮겨담고나서 바로 팬 기름기부터 닦아놓으면 편하고요.

  • 21. 아하...원글댓글에 뭐가 틀린건지 나와있네요.
    '16.2.4 12:10 PM (1.224.xxx.99)

    원글님 고기기름이던, 콩기름이건, 생선기름이건,포도씨기름이건.. 음식 덜어내고 아직 팬이 뜨거울때 그떄 휴지로 기름을 닦아내야 잘 닦아내어져요..
    이미 식은 팬에서 기름은 달라붙어서 안떨어지죠. 그리고 그걸 찬물에 넣었으니 딱딱하게 굳어버렸구요...

    휴지로 닦아내라는 댓글들은 뜨어군 팬일떄 닦아낸다는 뜻 이랍니다..^^
    이렇게 뜨거운팬일때 휴지로 닦아내면 비누를 많이 들이붓지 않아도 꺠끗이 닦아져요..

  • 22. .................
    '16.2.4 12:25 PM (211.36.xxx.105) - 삭제된댓글

    생선 조리한 기구를 찬물로 설거지하라는 글 봤을 때 처음에는 이해를 못 했는데요,
    설거지하다가 생각해보니 일리는 있어요.
    찬물설거지가 더 낫다는 이유는 일단 비린내 때문이라고 하고요
    생선이나 해물류 비린내가 휘발성인데 더운물을 쓰면 더 심하게 널리 퍼지니까
    찬물을 쓰라는 말인 것 같아요.
    설거지 후에 그릇이나 도구에 남는 냄새는 어차피 시간이 지나면 다 없어진다고 했던 것 같고요,

    문제가 되는 것은 기름기인데,
    이것도 그냥 구이를 한 기름인지 갖은양념에 채소와 고추장가지 섞여 조리된 기름인지에 따라 다르겠지만
    제일 좋은 방법은 열기 남아있을 때 기름기 적당히 제거 하고
    찬물과 세제로 애벌 설거지해서 비린내유발 성분을 어느 정도 없애 준 다음에
    각자 취향에 따라 물온도 조절해서 마무리 설거지 하면 좋지 않을까요.

    그런데 특히 겨울에는
    기름기가 굳어서 문제가 되니까 개수대에서 기름기 처리하는 것은 피해야 하겠죠.
    또 뜨거운 물로 세제 헹구는 것도 세제 속의 특정 성분이 호흡기에 어떤 영향을 미칠 지 모르니
    조심해야 하고요.

  • 23. .................
    '16.2.4 12:27 PM (211.36.xxx.105) - 삭제된댓글

    생선 조리한 기구를 찬물로 설거지하라는 글 봤을 때 처음에는 이해를 못 했는데요,
    설거지하다가 생각해보니 일리는 있어요.
    찬물설거지가 더 낫다는 이유는 일단 비린내 때문이라고 하고요
    생선이나 해물류 비린내가 휘발성인데 더운물을 쓰면 더 심하게 널리 퍼지니까
    찬물을 쓰라는 말인 것 같아요.
    설거지 후에 그릇이나 도구에 남는 냄새는 어차피 시간이 지나면 다 없어진다고 했던 것 같고요,

    문제가 되는 것은 기름기인데,
    이것도 그냥 구이를 한 기름인지 갖은양념에 채소와 고추장까지 섞여 조리된 기름인지에 따라 다르겠지만
    제일 좋은 방법은 열기 남아있을 때 기름기 적당히 제거 하고
    찬물과 세제로 애벌 설거지해서 비린내유발 성분을 어느 정도 없애 준 다음에
    각자 취향에 따라 물온도 조절해서 마무리 설거지 하면 좋지 않을까요.

    그런데 특히 겨울에는
    기름기가 굳어서 문제가 되니까 개수대에서 기름기 처리하는 것은 피해야 하겠죠.
    또 뜨거운 물로 세제 헹구는 것도 세제 속의 특정 성분이 호흡기에 어떤 영향을 미칠 지 모르니
    조심해야 하고요.

  • 24. 그래서 생선 안먹음
    '16.2.4 1:10 PM (175.209.xxx.191)

    전 기름 닦아내고 뜨거운 물 베이킹파우더로 닦고 마지막에 식초 약간 넣고 끊인 후 찬물로 헹궈 말려요.
    생선비린내야 기름에 구울때 이미 온집안 작렬인데요 뭘.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45002 송중기 광고 중에 "루*스 정수기" 이상 ㅠ.. 3 오지랖? 2016/04/07 2,388
545001 쑥갓 처치방법 좀.. 10 emilym.. 2016/04/07 1,520
545000 카드 영업 하시는 아주머니 현금 7만원 준다고 카드 만들라 하던.. 5 마트돌다 2016/04/07 2,351
544999 국민의당 당사 친노조롱문구...jpg 12 이것들이 2016/04/07 1,796
544998 무한도전 정준하 랩.. 은근히 중독성이 있네요 7 .. 2016/04/07 1,295
544997 문정시영 7 방구하기 2016/04/07 1,419
544996 운동하는 분 많네요~ 5 야호 2016/04/07 1,891
544995 양향자“괴문서는 천정배 인물론과 양향자 비방으로 구성!” 2 새정치? 2016/04/07 597
544994 장동민 tvn 제작자등 무더기 피소됐네요 37 ... 2016/04/07 17,308
544993 남보다도 못한 친언니.... 56 aa 2016/04/07 27,982
544992 조카살해 이모 “형부와 性관계,5명중 3명이 내자식” 16 맙소사 2016/04/07 14,305
544991 연애할때 이러면 문제되나요? 2 asds 2016/04/07 1,077
544990 업라이트와 유사한 디지털 피아노 추천 부탁드려요. 8 피아노 2016/04/07 2,573
544989 이번 선거는 문재인 죽이기 선거 1 문재인 2016/04/07 601
544988 결혼도 안했는데 다들 이모라고 불러요. 10 ^^ 2016/04/07 2,335
544987 예지미인 한방생리대 ... 2016/04/07 444
544986 검단산 등산 힘든가요?수락산에 비해 어떤지.. 5 dd 2016/04/07 1,092
544985 찜닭도 염지하나요? 1 케이트 2016/04/07 1,690
544984 고용센터 민원 답변 왔어요. 1 .. 2016/04/07 1,305
544983 이게 정확히 뭔 뜻이죠? 2 .... 2016/04/07 549
544982 면보가 없는데 두부 물기를 어떻게 짤 수 있을까요..? 6 동그랑땡 2016/04/07 1,971
544981 방배동 롯데캐슬 학군 등 어떤가요 2 2016/04/07 3,106
544980 조카 살해 이모"형부와 성관계..3명이 내자식".. 35 헐.. 2016/04/07 24,442
544979 사전투표하러 다녀왔어요. 2 정신머리 2016/04/07 774
544978 광주가 싫어하는 삼성전기차 강원도에 세워 주세요!!!! 6 강원도 2016/04/07 1,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