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명절과 아이 독감

설 명절 조회수 : 3,239
작성일 : 2016-02-04 00:43:56
원글은 펑할게요.
많은 조언 주셔서 감사드려요
IP : 211.108.xxx.18
2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저는
    '16.2.4 12:47 AM (121.139.xxx.146)

    제사보다는 아이가 우선~
    이번명절은
    남편만 보냅니다
    명절은 매년 있거든요

  • 2. 진28
    '16.2.4 12:53 AM (125.134.xxx.69)

    허걱;;;가지마세요
    우리아기가일요일저녁에급열이나서응급실뛰어갔다가
    A형독감진단받고타미플루먹고있는데제가옮았어요
    화요일은거의죽었었고오늘은코막히고두통이심해서힘들었어요 아기는멀쩡ㅎ 열도내리고밥은여전히잘안먹지만요
    40분거리시댁에설에가야하나고민중인데 4시간요?
    독감을연속해서두번이나하는아기를데리고요?
    아기가많이힘들거예요 도로가안막혀도4시간인데막히면요
    차안에서열이펄펄끓으면? 혹은도착해서아프면요?
    한시간이나운전해서가야한담서요? 며느리의도리는잠시넣어두셔도됩니다 아기부터지키세요

  • 3.
    '16.2.4 1:00 AM (218.54.xxx.98)

    시댁이 춥나요?
    가세요
    넘 애 걱정뚝
    두번앓아♥♥×

  • 4.
    '16.2.4 1:01 AM (203.226.xxx.71) - 삭제된댓글

    제일 후회되는게 아픈 아이 데리고가서 시댁일 한거에요
    애가 셋이니 한두번도 아니었죠.
    애가 몸이 펄펄 끓어서 얼굴이 벌개도 계속 붙잡고 일시키던 시엄니와는 얼굴 안보는 사이가 되버렸네요
    병신같던 남편놈도 한몫했고요.
    제 애들은 이제 다 커서 어른이지만, 그래도 못난 엄마때문에 고생한거 생각하면 짠하고 마음 아파요.

    가지 마세요
    5일차고 6일차고 간에 애가 아직 아픈데 집에서 쉬게 해 주고 입에 맞는 것도 해 먹이고 그러세요.

  • 5. jipol
    '16.2.4 1:02 AM (216.40.xxx.149)

    가서 다른 노인이나 어린애들한테 옮기는게 더 위험하네요. 저라면 전염 우려되서 못간다해요. 혹시 어린 아이들이나 노인들 옮으면 죽을수도 있어요

  • 6. 원글 엄마
    '16.2.4 1:02 AM (211.108.xxx.18)

    평소에는 두 시간인데 명절엔 4시간정도 걸려요..
    사싱 이반 추석에 회사일 때문에 신랑이 못 내려가서 저도 추석에 안 갈까 하고 있었거든요.
    그래사 웬만하면 설엔 꼭 내려가야하는데...
    이번에 열 나서 혼수상태의 경련까지 와서 좀 많이 걱정되네요 ㅠㅜ

    애아빠는 금요일까지 지켜보잔 주의구요. 아직 시부모님은 이 사실을 모르심.. 알면서 내려오라 하실 분은 아닌데 애 아빠가 우선 열 내리는거 보자고 하네요.

    오늘 밤 지켜보고 아이가 열 계속 나면 아무래두 집에서 쉬게 하는게 낫겠죠..

  • 7. 원글 엄마
    '16.2.4 1:03 AM (211.108.xxx.18)

    핸폰으로 치니 오타가 많네요ㅠㅜ

  • 8. 미리
    '16.2.4 1:06 AM (50.191.xxx.246) - 삭제된댓글

    이삼일전에 시어머니와 동서들에게 전화해서 말씀드리고 손 많이 가는 전 몇가지를 남편편에 보낸다고 하시면 어떨까요.

  • 9.
    '16.2.4 1:13 AM (112.154.xxx.32)

    아이는 아이고 시부모님옮으면 어쩌려고요~
    혹 명절에 오는 다른 아이는없는건지도

  • 10. 원글 엄마
    '16.2.4 1:24 AM (223.62.xxx.20)

    월요일쯤엔 다른 아이들도 오죠
    그때쯤이면 전염안되지 않나요?

  • 11. --
    '16.2.4 1:51 AM (101.228.xxx.64)

    아이를 위해서 현명하게 안 가는 방향으로 유도하세요.
    그냥 입원하는 거 추천합니다.
    저희 큰 아이가 감기 끝에 폐렴으로 병원에 입원한 후 퇴원했다가 명절이라 다 함께 시댁에 내려갔는데
    둘째가 똑 같은 증상을 보였어요.
    해열제를 계속 먹여도 열이 39도 아래로 안 내려가는데 시댁 식구들 누구 하나 그만 올라가라고 하지 않더군요. 아마도 대수롭지 않게 여긴 것 같은데 아이가 아프다고 해도 신경도 안 쓰는 시부모님께 화가 나서 오기로 먼저 가자는 말 안 하고 버텼어요.
    결국 올라오자마자 응급실로 직행해서 입원했네요.
    제가 바보처럼 처신해서 아이만 고생시킨 거죠.
    시댁 식구들은 전혀 배려해주지 않아요.

  • 12. 아이고
    '16.2.4 1:56 AM (1.233.xxx.136)

    추석도 안가실거면 설이라도 가셔야죠
    가족인데...
    차안막히는 시간에ㅈ가셔서 두시간에 가세요
    어릴때 이쁜 모습도 보여주고 애도 할아버지 할머니 뵙고 지네는것도 돈주고 살수없는 추억이예요

  • 13. ㅡㅡㅡㅡㅡㅡ
    '16.2.4 2:00 AM (211.36.xxx.26)

    저리 아픈데 가라니... 참 답없다.

  • 14. ...
    '16.2.4 2:10 AM (50.5.xxx.72)

    제가 웬만하면 아픈거 신경 안쓰는데, 혼수상태에 경련이요??????
    왜이리 요령이 없으세요??? (화내는게 아니라 답답해서요.)

    시댁에 전화하세요. 애가 이러이러해서, 지켜보고 있다고.
    (시댁 어른들도 오나 안오나 마음의 준비가 있으시면 더 잘 받아들이십니다.)

    그래서 몸이 더 좋아져서 갈 수 있으면 좋은 거고, (그건 아이 보호자인 두분이 결정하셔야죠.)
    아니면 할 수 없는 거구요.

  • 15. 돈 주고 살수없는 추억?
    '16.2.4 2:17 AM (112.140.xxx.220)

    지금 소설 쓰세요?

    네네 돈 주고 살 수 없을 악몽도 추억이라면? 추억이겠죠

  • 16. ...
    '16.2.4 2:26 AM (65.110.xxx.41)

    그 정도면 당연히 안 가야죠 눈치 보이는 게 문제가 아니라 옮기면 민폐에요
    저희 시댁이 명절에 직계 식구만 30명 친척까지 5~60명씩 모이는 집인데 그런 상황에 내려온다고 하면 여든 시부모님이 기함해서 그러다 애 잡는다고 오지 말라고 하시는데..

  • 17. 요건또
    '16.2.4 2:44 AM (182.211.xxx.176) - 삭제된댓글

    다른 사람들에게 감염 위험도 있고요, 나중에 추석에 내려가시는 걸로 계획 잡으시고 이번 설은 가지 마세요.
    메르스가 왜 그리 문제였는지 잊으셨나요?
    설 지나고 다 괜찮아지면 한 번 가보셔도 되잖아요.
    독감 5일차라면 아이도 노인들 감염 위험도 모두 걱정됩니다.

  • 18. 원글 맘
    '16.2.4 3:08 AM (223.62.xxx.20)

    낼 꼭 시부모님께 말씀드리려구요
    사실 글 올리자마자 애 상태가 더 안 좋아져서 해열제 먹고도 40도 찍어서 두시간동안 물수건 하고 있어요. 응급실에선 잠시만 더 둬버라해서 아직 집에서 처치중이구요.
    시부모님 이해해주실 분인데 그간 제가 명절때 잘 못해드린 점이 있어서 무리하게 가려했네요.
    아이 쉬게 할게요

  • 19.
    '16.2.4 4:14 AM (71.177.xxx.165) - 삭제된댓글

    몇 시간 걸리는 게 문제가 아니에요.
    4 시간 아니라 4분 걸려도 전염성 있는 병이면
    다른 사람들과 격기 시키는 게 당연하지요.

  • 20.
    '16.2.4 4:20 AM (1.242.xxx.226)

    차 오래타는거 힘들어요.
    집에서 쉬게해주세요.
    어른하고 다르게 멀쩡해보여도 체력이 바닥나있기도 해요.다 낫고 시간내서 한번 가시는게 좋다고 봐요.

  • 21. ㅇㅇㅇ
    '16.2.4 4:26 AM (24.16.xxx.99)

    가지 마세요 가지 마세요.
    아이도 그렇고 가족들에게 옮깁니다.
    아이 낳으면 나중에 따로 내려가 뵙고 오시면 되지요.

  • 22. 명절날
    '16.2.4 4:31 AM (180.230.xxx.46)

    ' 가야하나요? '
    ' 갈까요 " 하고 올리는 글은 안가고 싶어서 올리는 글들이죠

    가지마세요

  • 23. 독감이면
    '16.2.4 5:00 AM (182.230.xxx.188) - 삭제된댓글

    가지 마세요.
    다 낫고 회복되면 찾아뵙고요.
    시어머니 놀러오셨다가 우리 애한테 독감 옮아서 일주일 내내 병치레하다 가셨어요.
    가셔서도 한참 고생하셨다네요.

  • 24. 한마디
    '16.2.4 6:06 AM (211.36.xxx.210)

    가서 옮길까 겁나네요
    미리 말씀드리세요
    닥쳐서 말하면 서운하시니

  • 25. 존심
    '16.2.4 6:11 AM (110.47.xxx.57)

    요즘 감기 낫지않아서
    약 지어서 공기좋은 곳으로 가서 쉬었다 오면 낫는다고 하더군요.
    엄마는 힘들어도 갔다오면
    애 독감은 나을 듯...

  • 26. ..,
    '16.2.4 10:47 AM (125.177.xxx.179) - 삭제된댓글

    울 아들도 작년에 A형독감 걸려서 일주일 넘게 고생했어요
    다 큰 놈이 열이 안내리고 머리가 아파서 우는데 어찌나 마음이 아프던지요
    가벼운 감기도 아니고 독감인데... 저라면 안가요.
    아이도 고생이고 시가 식구들 옮으면 오히려 저를 원망하실껄요?? 아픈애 데려와서 전염시켰다고요
    아이 건강이 우선이지요. 아이가 너무 힘들어요

  • 27. ...
    '16.2.10 12:41 PM (118.223.xxx.155)

    판단력이 참 흐리시네요…열 40에 가긴 어딜가요? 바본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25854 흔한 국민의당 지지자 페북 .text 22 이거보세요 2016/02/06 1,839
525853 웅진 북패드 사용하시는분? 2 아일럽초코 2016/02/06 1,060
525852 중국어 처음 공부할때요. 2 초보 2016/02/06 1,114
525851 푸켓 아이동반 패키지?자유여행? 5 까치설 2016/02/06 1,603
525850 82에 학벌 좋으신 분들 많은 것 같아요 17 ... 2016/02/06 5,066
525849 반기문사무총장연설장에서영국남성이'한일합의반대'기습시위 3 11 2016/02/06 838
525848 일주일 넘게 설사가 나와요ㅜ 왜이러죠ㅜ 5 으앙 2016/02/06 4,158
525847 문정동에 머리 잘하는곳 1 이사 2016/02/06 705
525846 18 18 18 18 18 18 ..... 18 속으로 2016/02/06 6,982
525845 동서가 오늘 치질수술했어요. 제발 현명한 댓글을 부탁드려요. 64 제발 2016/02/06 20,587
525844 부모님께 세배시 무지해요 2016/02/06 588
525843 전 부칠 때 올리브유로 부쳐도 상관없죠? 19 2016/02/06 6,264
525842 용자님 나와서 아래 기사 설명좀 해 주세요 5 김한길 2016/02/06 500
525841 설 지내고 제주도 2주 여행갑니다~ 8 흠흠.. 2016/02/06 1,944
525840 군인사고 이야기좀 보세요~ 5 땡땡 2016/02/06 1,138
525839 대학 선택 부탁드립니다. 5 .. 2016/02/06 1,567
525838 캘리포니아 주 학제와 필요한 예방접종 내역 등 어디서 볼 수 있.. 8 알려주세요 2016/02/06 1,649
525837 오늘 광명 코스트코 많이 복잡할까요? 감사 2016/02/06 543
525836 권은희 불쌍해서 어찌하나 22 권은희 불쌍.. 2016/02/06 7,199
525835 급질문)인터넷면세점 결제할때 카드명의 달라도 되나요? 1 dd 2016/02/06 2,818
525834 욱하는 사람 너무 힘들어요. 상처받고 ㅠㅠ 8 여동생 2016/02/06 3,169
525833 상처가 낫지를 않아요 4 상처 2016/02/06 1,135
525832 생리주기때 배가 임산부처럼 나오는 이유는 뭘까요? 2016/02/06 2,314
525831 몇년전부터는 명절때 영화 개봉을 안하네요 ㅇㅇ 2016/02/06 559
525830 외국에 계셨던 분들은 제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10 .. 2016/02/06 1,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