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영화 - 대호 - 잘 만든 영화네요! 감동이에요

푸른대잎 조회수 : 1,571
작성일 : 2016-02-03 13:04:13

  개인적으로 최민식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데,

  영화 소재가 마음에 들어서 보고 싶었었죠.

  영화관에서 큰 화면으로 봤어야 하는 영화인데 놓치고 유료로

  집 SK 브로드밴드로 봤어요.



  최민식은 영화 명량에서 맞지 않는 옷을 입었다가(연기력과 별개로

  이순신장군의 이미지와 최민식의 아우라가 너무 어울리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이 영화 대호에서는 연기라고 보기엔 너무나 자연스러운 탁월한 연기를 보여줍니다.


 

  이 영화는 호불호가 갈릴 수 있겠다 싶습니다.

  그래서 예상 외로 흥행이 저조했고....

  한국영화 흥행의 요소인 박진감 넘치는 빠른 속도감 대신

  묵직한 무게감과 대사를 많이 없애고 절제한 동양의 여백의 미를 선택함으로써

  오래 가는 여운과 묵직한 감동이 전해져 옵니다.



  동양화같은 아름답고 신비로운 지리산의 대자연과

  대자연과 호흡하는 영물인 호랑이 , 자연에 순응하는

  전통적인 정신세계를 지니고 물질과 탐욕에 물들지 않은 명포수 최민식....


 

  대척점에는 이 땅의 자연과 동물, 이 나라를 파괴하고 수탈하는 일제와

  돈에 물들어 가는 사람들이 있고요.

  한국영화 최고의 흥행작인 명량보다 이 영화 대호에 더 높은 점수를 주고 싶어요.

  결말 또한 이해 못하는 사람들은 왜 저럴까 싶겠지만 지리산의 품에 안긴

  호랑이와 최민식의 모습이 눈물나네요....



   오랜만에 스케일 있는 대작을 본 느낌입니다.

   어릴 때 감명깊게 읽은 러시아 원작 -위대한 왕-도 생각이 나고 여러 모로 좋은 작품인

   것 같아요.

  


 

 

IP : 61.105.xxx.119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6.2.3 1:05 PM (119.197.xxx.1)

    제가 극장에서 본 최악의 영화중 하나로 올랐네요 ㅠㅠㅠㅠㅠ

  • 2. ...
    '16.2.3 1:08 PM (119.197.xxx.61)

    저도 괜찮았어요
    너무 동화같아서 그점이 안좋았던 걸까요.
    잔인한 장면 빼면 어린이용으로 나쁘지않을듯
    명량이 왜 천만갔는지 알 수가 없는 1인으로서 영화가 흥할지 망할지 정말 귀신도 모르는것 같아요

  • 3. 원글
    '16.2.3 1:13 PM (61.105.xxx.119)

    모든 호랑이가 다 그런 것은 아니지만, 지리산 같은 명산에서 오래 산 호랑이들은 아주 영력이 발달한다고
    해요. 그래서 호랑이를 영물이라고 했죠.
    동화같은 씬이라면 아들 데려다주는 씬 같은 게 있는데, 사람과 동물이 서로 그렇게 교감을 주고받는 일은
    흔하진 않지만 아주 없는 일도 아닙니다.

    지금은 사라진 정신세계와 자연, 동물과의 교감을 그린 영화로 수작이라고 생각해요.

  • 4. 별로던데‥
    '16.2.3 1:25 PM (119.198.xxx.75)

    좀 지루했어요
    젤 마지막 장면이 젤 기억에 남는‥

  • 5. 저도
    '16.2.3 1:44 PM (116.127.xxx.116)

    저도 좋았어요. 이건 최민식의 부성과 호랑이와의 교감에 대한 영화인데 다른 걸 기대하고 간
    사람들은 실망했을 듯... 일본군들 관련해서는 보는 내내 짜증스러웠고요. 권선징악을 실현하고자
    했다면 확실하게 일본군 수장을 보내버리든지 했어야지 그게 안 된 게 패착.
    호랑이와 사냥꾼 최민식이 서로로 인해 피붙이를 잃고도 원망하거나 분노하지 않고 어쩔 수 없는
    일로 그것을 받아들이고 이해하는 부분이 인상적이었어요.

  • 6. 원글
    '16.2.3 2:22 PM (61.105.xxx.119)

    일본은 섬나라여서 호랑이가 없었다고 하죠. 조선호랑이를 씨를 말리도록 잡아 죽인 것은, 호랑이 가죽에
    대한 욕심과 함께 조선문화 말살 정책의 하나로 조선의 정신의 하나라고 할 수 있는 상징적 존재인 호랑이를
    멸종시킨 거죠. 이 영화에서 호랑이는 그런 민족정신의 상징으로 볼 수도 있고 대자연의 정기로 볼 수도
    있고...
    CG가 실감나서 호랑이 의 서늘한 기운이 느껴지던걸요.
    도대체 연발 안 되는 구식 화승총(한 발 쏘고 다시 막 쇠꼬챙이로 쑤시고 총알 넣어야 함. )으로 어떻게
    그 큰 호랑이를 잡았을까 하는 조선 포수들에 대한 감탄도... 호랑이는 급소인 심장을 사정거리 내에서
    한 발에 맞추지 않으면 포수가 되려 공격당해 죽게 되죠. 다른 데는 쏘아 봐야 죽지도 않고요.

    지리산과 교감하는 순박한 조선 포수들이 울림을 주고 눈쌓인 지리산의 장엄한 광경이 울림을 주고
    그 속에서 호랑이와 포수의 교감이 울림을 주네요....물질로 너무 탁해진 현대에 지금은 사라진 전통가치관
    (잡을만큼만 잡고 더 욕심 부리지 말고 산에 맡기는 것, 자연이 숨쉴 여지를 주는 것)이 생각할 여운을
    남겨 주고요.

  • 7. 저도
    '16.2.3 3:38 PM (116.39.xxx.29)

    아주 좋게 본 영화예요. 윗님 말씀대로 명포수와 호랑이의 교감에 포인트를 두지 않으면 정반대의 평이 나올만한 부분이 좀 많죠. 그래서 흥행이 저조했던 듯.
    수묵화 같은 겨울산 풍경, cg임이 분명한데도 자연스런 호랑이 움직임, 호랑이의 눈높이에서 잡힌 카메라의 역동적인 앵글이 멋있었고 호랑이가 죽은 새끼 끌어안고 쓰다듬으며 며칠을 우는 장면, 최민식과 대면하는 대숲 장면은 정말 뭉클했어요. 그 장면에선 극중 호랑이의 위엄에 대적할만한 상대역은 최민식이 최적이었구나, 이 영화의 주연은 호랑이와 최민식 투톱이구나 싶었어요.
    흥행이 안돼 아쉬웠는데 원글님과 늦게나마 공유해서 반가워요^^

  • 8. ..
    '16.2.3 3:54 PM (165.225.xxx.71)

    안 봤는데 결국은 호랑이 죽는 거겠죠?
    동물 나오는 영화 나이들수록 왠지 가슴이 아파서 못 보겠어요.

  • 9. 저도
    '16.2.3 5:09 PM (58.236.xxx.65)

    근래 많은 영화를 봤었는데
    마지막 장면에서 펑펑 운 영화는 처음
    예고편도 없이 친구와 영화관에서 거의 다봐서
    볼것이 없어서 봤는데. 정말 예상외로 감동

    둘이 뛰어내리는 장면에서 펑펑. .
    너무 좋았어요.

  • 10. 저도
    '16.2.3 5:11 PM (58.236.xxx.65)

    저 위에 저도님처럼 호랑이와의 교감. .
    이 부분이 포인트죠 ,

  • 11. 골골골
    '16.2.4 5:34 PM (211.243.xxx.138)

    앙 펑펑울었음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52718 예쁜 고가구 냄새 제거 방법 있나요 2016/04/29 1,875
552717 돼지고기 잡내 없애는 좋은 방법 급구 6 문의 2016/04/29 1,579
552716 박원순 "서울시 앞으로 옥시제품 안쓰겠다" 2 샬랄라 2016/04/29 1,711
552715 서울 어디서 10일 살아볼까요? (집인테리어중 임시살곳) 4 질문요 2016/04/29 1,110
552714 나경윈은 조사도 안받나요?? 6 ㅇㅇ 2016/04/29 1,194
552713 베스트글의 대박 재테크 3 ㅇㅇ 2016/04/29 2,668
552712 테솔 관련 사이트나 인터넷까페 좀 여쭤볼게요 오잉 2016/04/29 495
552711 7세 영구치가 죄다 썩고있어요 5 영구치 2016/04/29 4,130
552710 시험전날 두번오라는 영어학원? 12 ,,, 2016/04/29 1,677
552709 제주 4.3 제노사이드의 책임은 미국에게 있다. 2 냉전초토화작.. 2016/04/29 830
552708 목동14단지근처 신목카이스트 라는 수학학원 보내보신분 계신가요?.. 2 .. 2016/04/29 1,569
552707 핏플랍 지겨운데 추천해주실거 있나요? 8 슬리퍼 2016/04/29 2,660
552706 고양이들은 대체 왜 이런가요 ? 19 고양이맘 2016/04/29 3,930
552705 송혜교 보다 더 거액을 탈세한 연예인도 있나요?? 26 근데 2016/04/29 6,426
552704 2016년 4월 29일 경향신문, 한겨레, 한국일보 만평 세우실 2016/04/29 620
552703 볼 만한 책, 변상욱의 "굿바이 MB" 2 아웃 2016/04/29 965
552702 유치원소풍가는데 바나나 어떻게 가져갈까요? 5 열매사랑 2016/04/29 2,004
552701 어떻게 살다 가야할까요.. 4 ㅗㅗ 2016/04/29 2,056
552700 여행중인데 질염생긴거 같아요 14 ㅜㅜ 2016/04/29 7,096
552699 술마시고 나면 배뇨가 불편해요 1 ㅇㅇ 2016/04/29 814
552698 영화 트럼보 강추~~~ 1 햇살 2016/04/29 1,152
552697 버겐스탁 신으실때 끈있는 발가락 중간.. 안아프신가요? 2 신고는 싶으.. 2016/04/29 1,185
552696 왜 여자들은 같은 여자연예인 팬질을해요? 9 이해불가 2016/04/29 2,013
552695 친했던 사촌이 15년이 되도록 연락없으면............ 8 내가 싫어?.. 2016/04/29 3,461
552694 12년 반만의 휴업, 잠이 안와요~ @.@ 4 동네과외쌤 2016/04/29 3,8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