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영화 - 대호 - 잘 만든 영화네요! 감동이에요

푸른대잎 조회수 : 1,574
작성일 : 2016-02-03 13:04:13

  개인적으로 최민식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데,

  영화 소재가 마음에 들어서 보고 싶었었죠.

  영화관에서 큰 화면으로 봤어야 하는 영화인데 놓치고 유료로

  집 SK 브로드밴드로 봤어요.



  최민식은 영화 명량에서 맞지 않는 옷을 입었다가(연기력과 별개로

  이순신장군의 이미지와 최민식의 아우라가 너무 어울리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이 영화 대호에서는 연기라고 보기엔 너무나 자연스러운 탁월한 연기를 보여줍니다.


 

  이 영화는 호불호가 갈릴 수 있겠다 싶습니다.

  그래서 예상 외로 흥행이 저조했고....

  한국영화 흥행의 요소인 박진감 넘치는 빠른 속도감 대신

  묵직한 무게감과 대사를 많이 없애고 절제한 동양의 여백의 미를 선택함으로써

  오래 가는 여운과 묵직한 감동이 전해져 옵니다.



  동양화같은 아름답고 신비로운 지리산의 대자연과

  대자연과 호흡하는 영물인 호랑이 , 자연에 순응하는

  전통적인 정신세계를 지니고 물질과 탐욕에 물들지 않은 명포수 최민식....


 

  대척점에는 이 땅의 자연과 동물, 이 나라를 파괴하고 수탈하는 일제와

  돈에 물들어 가는 사람들이 있고요.

  한국영화 최고의 흥행작인 명량보다 이 영화 대호에 더 높은 점수를 주고 싶어요.

  결말 또한 이해 못하는 사람들은 왜 저럴까 싶겠지만 지리산의 품에 안긴

  호랑이와 최민식의 모습이 눈물나네요....



   오랜만에 스케일 있는 대작을 본 느낌입니다.

   어릴 때 감명깊게 읽은 러시아 원작 -위대한 왕-도 생각이 나고 여러 모로 좋은 작품인

   것 같아요.

  


 

 

IP : 61.105.xxx.119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6.2.3 1:05 PM (119.197.xxx.1)

    제가 극장에서 본 최악의 영화중 하나로 올랐네요 ㅠㅠㅠㅠㅠ

  • 2. ...
    '16.2.3 1:08 PM (119.197.xxx.61)

    저도 괜찮았어요
    너무 동화같아서 그점이 안좋았던 걸까요.
    잔인한 장면 빼면 어린이용으로 나쁘지않을듯
    명량이 왜 천만갔는지 알 수가 없는 1인으로서 영화가 흥할지 망할지 정말 귀신도 모르는것 같아요

  • 3. 원글
    '16.2.3 1:13 PM (61.105.xxx.119)

    모든 호랑이가 다 그런 것은 아니지만, 지리산 같은 명산에서 오래 산 호랑이들은 아주 영력이 발달한다고
    해요. 그래서 호랑이를 영물이라고 했죠.
    동화같은 씬이라면 아들 데려다주는 씬 같은 게 있는데, 사람과 동물이 서로 그렇게 교감을 주고받는 일은
    흔하진 않지만 아주 없는 일도 아닙니다.

    지금은 사라진 정신세계와 자연, 동물과의 교감을 그린 영화로 수작이라고 생각해요.

  • 4. 별로던데‥
    '16.2.3 1:25 PM (119.198.xxx.75)

    좀 지루했어요
    젤 마지막 장면이 젤 기억에 남는‥

  • 5. 저도
    '16.2.3 1:44 PM (116.127.xxx.116)

    저도 좋았어요. 이건 최민식의 부성과 호랑이와의 교감에 대한 영화인데 다른 걸 기대하고 간
    사람들은 실망했을 듯... 일본군들 관련해서는 보는 내내 짜증스러웠고요. 권선징악을 실현하고자
    했다면 확실하게 일본군 수장을 보내버리든지 했어야지 그게 안 된 게 패착.
    호랑이와 사냥꾼 최민식이 서로로 인해 피붙이를 잃고도 원망하거나 분노하지 않고 어쩔 수 없는
    일로 그것을 받아들이고 이해하는 부분이 인상적이었어요.

  • 6. 원글
    '16.2.3 2:22 PM (61.105.xxx.119)

    일본은 섬나라여서 호랑이가 없었다고 하죠. 조선호랑이를 씨를 말리도록 잡아 죽인 것은, 호랑이 가죽에
    대한 욕심과 함께 조선문화 말살 정책의 하나로 조선의 정신의 하나라고 할 수 있는 상징적 존재인 호랑이를
    멸종시킨 거죠. 이 영화에서 호랑이는 그런 민족정신의 상징으로 볼 수도 있고 대자연의 정기로 볼 수도
    있고...
    CG가 실감나서 호랑이 의 서늘한 기운이 느껴지던걸요.
    도대체 연발 안 되는 구식 화승총(한 발 쏘고 다시 막 쇠꼬챙이로 쑤시고 총알 넣어야 함. )으로 어떻게
    그 큰 호랑이를 잡았을까 하는 조선 포수들에 대한 감탄도... 호랑이는 급소인 심장을 사정거리 내에서
    한 발에 맞추지 않으면 포수가 되려 공격당해 죽게 되죠. 다른 데는 쏘아 봐야 죽지도 않고요.

    지리산과 교감하는 순박한 조선 포수들이 울림을 주고 눈쌓인 지리산의 장엄한 광경이 울림을 주고
    그 속에서 호랑이와 포수의 교감이 울림을 주네요....물질로 너무 탁해진 현대에 지금은 사라진 전통가치관
    (잡을만큼만 잡고 더 욕심 부리지 말고 산에 맡기는 것, 자연이 숨쉴 여지를 주는 것)이 생각할 여운을
    남겨 주고요.

  • 7. 저도
    '16.2.3 3:38 PM (116.39.xxx.29)

    아주 좋게 본 영화예요. 윗님 말씀대로 명포수와 호랑이의 교감에 포인트를 두지 않으면 정반대의 평이 나올만한 부분이 좀 많죠. 그래서 흥행이 저조했던 듯.
    수묵화 같은 겨울산 풍경, cg임이 분명한데도 자연스런 호랑이 움직임, 호랑이의 눈높이에서 잡힌 카메라의 역동적인 앵글이 멋있었고 호랑이가 죽은 새끼 끌어안고 쓰다듬으며 며칠을 우는 장면, 최민식과 대면하는 대숲 장면은 정말 뭉클했어요. 그 장면에선 극중 호랑이의 위엄에 대적할만한 상대역은 최민식이 최적이었구나, 이 영화의 주연은 호랑이와 최민식 투톱이구나 싶었어요.
    흥행이 안돼 아쉬웠는데 원글님과 늦게나마 공유해서 반가워요^^

  • 8. ..
    '16.2.3 3:54 PM (165.225.xxx.71)

    안 봤는데 결국은 호랑이 죽는 거겠죠?
    동물 나오는 영화 나이들수록 왠지 가슴이 아파서 못 보겠어요.

  • 9. 저도
    '16.2.3 5:09 PM (58.236.xxx.65)

    근래 많은 영화를 봤었는데
    마지막 장면에서 펑펑 운 영화는 처음
    예고편도 없이 친구와 영화관에서 거의 다봐서
    볼것이 없어서 봤는데. 정말 예상외로 감동

    둘이 뛰어내리는 장면에서 펑펑. .
    너무 좋았어요.

  • 10. 저도
    '16.2.3 5:11 PM (58.236.xxx.65)

    저 위에 저도님처럼 호랑이와의 교감. .
    이 부분이 포인트죠 ,

  • 11. 골골골
    '16.2.4 5:34 PM (211.243.xxx.138)

    앙 펑펑울었음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55043 캐나다에서 결혼 4 ㅇㅇ 2016/05/07 2,092
555042 글루코사민에 진통제효과가 있나요? 6 ... 2016/05/06 1,498
555041 항상 비난하는 엄마 지긋지긋해요 5 어휴 2016/05/06 3,513
555040 San E랑 챈슬러가 부른 안주거리 좋네요. 1 .. 2016/05/06 615
555039 수면 양에 따라 얼굴 상태가 많이 다르신가요? 6 ... 2016/05/06 2,267
555038 지난달 인터넷 쇼핑 많이 하긴 했나봐요. 1 .. 2016/05/06 1,158
555037 맘모톰경험과 조직검사 경험도 나눠주세요. 6 검진 2016/05/06 3,132
555036 손자 있으신 어머님들께 여쭈어요~ 4 ㅇㅇ 2016/05/06 1,210
555035 빈속에 자면 배 안고파도 잠이 안오나요? 1 pppp 2016/05/06 1,197
555034 다들 남편분들 어디서 만나셨나요 62 2016/05/06 31,344
555033 야마하 피아노 u1 아시는 분 부탁드려요 3 ... 2016/05/06 1,881
555032 40대중반인분들..애들나이.. 35 000 2016/05/06 5,036
555031 고대 영문과 가려면 어느정도 9 ㅇㅇ 2016/05/06 3,505
555030 연애중인데 괴로워요 7 ... 2016/05/06 2,925
555029 새누리 지지하시는 분들 설명좀 해봐주세요. 7 정말 궁금 2016/05/06 929
555028 어린이도 녹용만 먹어도 되는건가요? 6 oo 2016/05/06 1,216
555027 이중에 키우기 쉬운 꽃은요?? 32 마이나스손 2016/05/06 4,558
555026 천장에서 엠프소리처럼 들리는거 뭘까요? 10 귀아퍼 2016/05/06 2,027
555025 나경원 글이 베스트에서 없어져서 다시... 추추추 2016/05/06 773
555024 오늘 양평에 다녀오신분. 계세요? 4 ... 2016/05/06 1,911
555023 남편의 이상한 행동 5 아내 2016/05/06 4,244
555022 파파이스.올라왔어요 27 야호 2016/05/06 2,592
555021 익힌 굴도 노로바이러스 걸리나요? 9 ... 2016/05/06 18,180
555020 붙박이장 없고 옷장 없을때... 7 ... 2016/05/06 2,936
555019 40~50대분들~ 대부분 실비( 실손보험) 있나요? 11 가입할까말까.. 2016/05/06 3,5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