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불과 몇년전까지만 해도 인문학~ 인문학 하지 않았나요?

000 조회수 : 3,226
작성일 : 2016-02-03 09:53:38
그런데 요즘은 공대 자연계 아니면 취직이 불가하니
저런말은 쏙 들어가고...
참...어느장단에 춤을 춰야할지 모르겠네요.
 언론도 학자들도 참 말만 앞서는거 뭐있네요 우리나란..

IP : 116.38.xxx.67
2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아뇨
    '16.2.3 9:54 AM (114.200.xxx.65)

    꾸준히 하향세였죠...

  • 2.
    '16.2.3 9:57 AM (128.134.xxx.83)

    여전히 인문학 인문학 해요. 근데 전공이 인문학이여야 한다는 건 아니죠.

  • 3. ..
    '16.2.3 9:59 AM (125.180.xxx.190)

    인문학적 소양이 중요하단거...
    그걸 갖춘 공대생이 인재인 거죠.

  • 4. ..
    '16.2.3 10:01 AM (223.62.xxx.119)

    한때 아줌마들 사이에 있어보이는 아이템 중 하나가
    인문학 강의 들으러 간다였지요.

  • 5. 몇 년 전에 기업이 인문학 인문학
    '16.2.3 10:01 AM (74.74.xxx.231)

    했내요?

    언론사 칼럼과 인문 서적 출판사에서 인문학 인문학 했죠.

    인문학이라고 꼭 취직이 불가능하지는 않을 걸요. 기업에서 서울대 영문과 출신을 꼭 거부해야할 필요는 없겠죵

  • 6. 02학번인데
    '16.2.3 10:04 AM (118.176.xxx.37)

    저희때도 인문학의 위기라는 얘기 많았고
    대학교 명접문제에 인문학의 해결방안 등에
    묻는 질문들이 있었습니다~

  • 7. ...
    '16.2.3 10:04 AM (119.64.xxx.92)

    인문학 인문학한게 인문학하면 취직잘된다는 말이었는줄.
    저축은행 망한다고 저축은행, 저축은행하면 저축은행에 돈넣으라는 말인줄 아셨겠어요.

  • 8. 웰빙을
    '16.2.3 10:11 AM (110.70.xxx.245) - 삭제된댓글

    이은 유행에 불과하지 않나요.
    물론 인문학적 소양도 매우 중요하긴하지만...

  • 9. 자연공의약예술에
    '16.2.3 10:13 AM (203.247.xxx.210)

    인문학적 바탕이 필수라는 얘기

  • 10. ..,
    '16.2.3 10:16 AM (125.177.xxx.179) - 삭제된댓글

    인문학을 전공하라는 말이 아니라
    평소에 인문학을 읽고 지식을 쌓으라는 거지요
    인문학 전공이 취업에 유리했던 때는 없었어요.

  • 11.
    '16.2.3 10:27 AM (223.62.xxx.98)

    인문학을 경시한 결과 머리에 깡통소리 나는 속물들만 버글버글한 현실

  • 12. ....
    '16.2.3 10:34 AM (74.74.xxx.231) - 삭제된댓글

    '인문학을 경시한 결과 머리에 깡통소리 나는 속물들만 버글버글한 현실 "

    저는 이런 말에도 문제가 있다고 봅니다. 인문학은 학문 아니던가요?

    자연과학과 공학에서 벗어난 보든 생각들이 다 인문학인가요?

    소설책도 인문학이에요?

    살인에 분노를 느끼는 사람들의 감정 자체도 인문학이에요?

    다 다 다 몽창 줄창 줄줄이 다 인문학이에요?

  • 13. ....
    '16.2.3 10:34 AM (74.74.xxx.231)

    '인문학을 경시한 결과 머리에 깡통소리 나는 속물들만 버글버글한 현실 "

    저는 이런 말에도 문제가 있다고 봅니다. 인문학은 학문 아니던가요?

    자연과학과 공학에서 벗어난 모든 생각과 감정들이 다 인문학인가요?

    소설책도 인문학이에요?

    살인에 분노를 느끼는 사람들의 감정 자체도 인문학이에요?

    다 다 다 몽창 줄창 줄줄이 다 인문학이에요

  • 14. 인문학이라는게
    '16.2.3 10:37 AM (74.74.xxx.231)

    참 부끄러운 과거를 가지고 있는 학문이기도 해요. 방송 프로에서도 다뤄졌죠. 인간에 대한 학문을 하겠답시고 흑인이 열등하다거나 흑인은 인간이 아니라는 것을 학문적으로 정립하려는 시도도 인문학이 했었죠.

  • 15. 여기 댓글에도
    '16.2.3 10:40 AM (74.74.xxx.231)

    인문학이라는 이름으로 위험한 생각들이 드러나고 있지요.

    인문학이라는 특정 학문을 안 해서 깡통이라거나, 속물이라거나,

    이런 주장들이 참 무시무시하지 않으세요?

  • 16. 인문학~ 인문학
    '16.2.3 10:48 AM (74.74.xxx.231)

    떠들기 전에는 교양이라는 말이 쓰이고 있었죠.

    왜 갑자기 XX학이라는 말이 아주 모호한 의미로 유행을 했을까요? 어떤 사업체의 장난으로?

  • 17. 상상
    '16.2.3 11:12 AM (116.33.xxx.87)

    인문학과가 뜬게 아니라..

    세상이 너무 복잡하고 절망적..?이다 보니 과연 인간이 무엇인가..에 대한 철학적 고찰이 비로소 시작된거 아닌가요?
    내가 누구고 왜 이렇게 살아야하나...현재에 대한 회의가 고전으로의 회귀를 부른거 같아요. 바람직한 현상인것 같고 시민들 나름의 성찰의 시작이 아닌지.

  • 18. 교양을
    '16.2.3 11:15 AM (218.39.xxx.35)

    갖추고 살자라는 의미였던 거지

    취업률을 의미한 건 아니죠.

  • 19. ㅇㅇ
    '16.2.3 11:30 AM (39.124.xxx.80)

    인문학, 인문학... 그랬던 게
    취업 잘된다는 말인 줄 알았다는 원글님의 이해가 의아합니다.
    그만큼 사회가 각박하니 인문학을 중시하자는 말이었죠.

  • 20. 그게
    '16.2.3 11:53 AM (14.52.xxx.171)

    내막을 알고보면 인문학 전공한 고학력 백수들이 밥벌이 용으로 만들어낸 상술중 하나죠
    책들도 함량 미달인거 엄청나고
    강의들도 정말 고등학교 대학교때 뭐했나 싶은 내용의 강의들...
    그거 또 열풍이라고 들으러와서 무리 만드는 아줌마들....

  • 21. ㅇㅇ
    '16.2.3 12:31 PM (125.191.xxx.99)

    90년대에 공대나오면 죽어야한다. 뭐 이랬어요. 그때 인문계가 대세였어요.

  • 22. dd
    '16.2.3 2:13 PM (121.154.xxx.47) - 삭제된댓글

    인문학을 '특정 학문' 이라면서 책 몇 권 읽고 통달할 수 있는 과목 취급하는 멍청한 소리가 몇 안되는 댓글에 만연한 것만 봐도...

  • 23. 쯧쯧
    '16.2.3 2:59 PM (129.21.xxx.198)

    인문학이라는 용어를 우상화하고 숭배하는, 광고용어나 정치 구호류에 푹 빠지는 류의 좀 모자라는 사람이 일부 댓글을 오독하고 계시네요.

    저는 그 분께서 인문학이 뭔지 설명하길 바라지 않아요. 스스로도 못 알아듣는 소리 하실테니.

    다만 과학과 공학은 제껴두고 인문학이 아닌거의 예를 들어보면 좋겠네요. 그게 그 분이 생각하는 인문학의 의미와, 그 용어의 문제점을 더 분명하고 간결하게 밝힐 거에요.

    이 분은 정치 성향이 박근혜의 반대편이기때문에 창조경제라는 말에 반기를 들 지 모르겠지만, 만약 우리편이 창조경제라는 용어를 들고 나왔으면 자기 스스로도 못 알아듣는 소리를 하며 그 용어에 의문 제기하는 사람에게 "너 새누리지" "너 전경련이지"하는 식의 댓글 달고 다녔을 것입니다. 바로 그런 짓이 민주세력의 외연을 확장하는 데에 방해가 된다는 것은, "인문학적 소양"이 너무 부족해서 깨닫지 못할 거에요.

    그 유행어 이전에 교양, 비판적 사고, 양심, 뭐 이런 말들이 많이들 있었는데요, 인문학~인문학~하며 세간에 유행하는 그 인문학의 의미는 뭘까요.

  • 24. dd
    '16.2.4 12:41 AM (39.124.xxx.80) - 삭제된댓글

    인문학을 경시한 결과 머리에 깡통소리 나는 속물들만 버글버글한 현실 => 인문학 중시해서 이런 상스런 댓글 다는구나

  • 25. dd
    '16.2.4 12:42 AM (39.124.xxx.80)

    인문학을 경시한 결과 머리에 깡통소리 나는 속물들만 버글버글한 현실 => 인문학을 중시해서 이런 상스런 말투를 쓰는구나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25675 나이 서른에 취업했는데 회사 사람들한테 배신당한 느낌.. 2 업무 2016/02/05 3,345
525674 탈모 원인이 뭔가요? (다시 많이 나긴 해요..ㅠ) 8 에고 2016/02/05 3,110
525673 사드는 미국 국익위한것.. 중국과 적이 되는것을 의미 2 사드 2016/02/05 536
525672 독신주의 남자 24 ㅇㅇ 2016/02/05 6,913
525671 히말라야 이제야봤는데, 저는 괜찮았어요 뒷북 2016/02/05 477
525670 손가락 인대 끊어져서 수술하고 3 ~~ 2016/02/05 1,425
525669 겨우내내 배가 아파요. 8 그림속의꿈 2016/02/05 1,380
525668 쿠션 화운데이션을 쓴 후의 끈적거림 2 화장 2016/02/05 2,444
525667 영남패권주의와 민주주의의 퇴행 / 홍세화 27 탱자 2016/02/05 1,196
525666 부모님 스마트폰 요금이 엄청나게 나왔어요 21 sos 2016/02/05 6,185
525665 어제 해피투게더 정말 재밌었는데...ㅋ 7 111 2016/02/05 2,828
525664 아껴사는 방법알려주세요 6 흑흑 2016/02/05 2,127
525663 뱃살빼는데 무슨운동 좋나요? 시간이 많지않아서 뭐가 좋을지 모.. 6 야옹 2016/02/05 2,735
525662 남자들이 더 효도하는거 같아요. 26 효자 2016/02/05 4,370
525661 애들 옷 좋은거 사주니 기분 엄청좋네요. ^^ 7 ^^ 2016/02/05 2,247
525660 남자들.. 완전 이쁜여자랑 얘기할때 눈을 못쳐다보네요.ㅎㅎ 11 ㅇㅇ 2016/02/05 31,150
525659 라스에 나온 4인방 이상하지 않나요? 13 ㅇㅇ 2016/02/05 5,607
525658 소고기 일주일에 몇번 드세요? 7 파워업 2016/02/05 2,549
525657 앱으로 모이는 동호회 건전할까요?... eee 2016/02/05 517
525656 중학교 반배정할때 문제아 들을 한반에 모아놓나요? 7 반배정 2016/02/05 2,211
525655 컨벡스오븐쓰시는분 9 급질문 2016/02/05 1,388
525654 송혜교는 90억짜리 집을 또 살만큼 출연료가 높은 배운가요? 65 궁금 2016/02/05 24,030
525653 안철수의 목표-야당을 무너뜨리는 것 33 안철수 2016/02/05 2,184
525652 아이가 남녀공학 중학교에 배정되었는데 여학생 비율이 너무 적어요.. 6 남녀공학 2016/02/05 1,275
525651 치과 교정치료질문요 2 치과 2016/02/05 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