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아파트 난방글보다가 생각난거

... 조회수 : 1,892
작성일 : 2016-02-03 01:59:04

제가 17년 전 쯤인가에 홍콩에 갔었는데...

홍콩에서 인턴을 하던 친구집에 열흘정도 있었어요

그때 티비를 보다보면 이해할 수 없는 광고가 있었는데

공익광고인데 아파트같은 공동주택에서 한 집에 있는 사람만 에어콘을 끄는거에요.

그러니까 다른 집이 영향을 받으면서 전기세가 많이 나온다는 식으로 기억은 잘 안나지만 그게 이기적인거다라고 하며

다른 사람을 생각해서 에어콘온도를유지하라 이런 광고였어요.

그 당시는 에어콘 끼면 전기세 큰일나는 줄 알던 시기라 저희는 그 광고가 너무 이해안갔어요.

그래서 홍콩사람에게 물었더니 한 집이 에어콘을 안키면 다른 집이 피해가 된다 이런식으로 말했는데

영어도 짧고 도저히 이해도 안되고 해서 그렇구나 하고 그냥 지나갔는데


난방글들 보니까 그게 그런 이유였나봐요


우리나라는 아주 극심한 더위가아니라 여름에는 큰 문제가 아닌데

이렇게 한파일때는 영향이 크긴한거 같아요.


근데...뭐... 복이지요. 선택할 수 있는건 아니니까...

저는 뭐라고 할 수 있는 상황까지는 아니라고 생각하지만

어쨓던 그 광고가 생각나더라구요

IP : 222.109.xxx.52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복이죠 ㅎ
    '16.2.3 2:12 AM (119.197.xxx.49)

    저렇게 광고를 해도 다른집을 위해서 틀지는 않을겁니다
    저는 난방은 빵빵하게 하지만 에어컨은 10번이나 틀까 말까..
    에어컨 틀면 몸이 아프니까 어쩔수가 없죠
    난방도 절약하는집,컨디션때문에 시원하게 사는집 .. 다들 사연이
    있을테니까요

    간혹 절약해야 해서 난방을 거의 안하는데 윗집이랑 옆집 아랫집도 안틀어 추워 죽겠다는 글을 보면 역지사지가 저리 안되나 싶더라는

  • 2. 어제
    '16.2.3 3:00 AM (124.48.xxx.210) - 삭제된댓글

    글에 난방에 대한 링크글보니
    난방비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봐야한다고 했어요.
    아랫집에 따라 난방비에 엄청난 차이가 있더라구요.

  • 3. 우리도
    '16.2.3 3:05 AM (124.48.xxx.210) - 삭제된댓글

    기후변화에 여름에 에어컨 영향을 많이 받을것같아요.
    우리집에 환자가 둘이다보니 냉난방비가 엄청난데
    아랫집에서 겨울에 따시고 여름에 시원하시다고하세요.

  • 4. 경제학의 실험
    '16.2.3 6:53 AM (100.37.xxx.20) - 삭제된댓글

    참가자 모두가 일정액의 돈을 지급받고 그 돈의 일부를 내면 모여진 총액을 계산해서 모여진 돈의 세배가 되는 돈을 모든 사람들이 '똑같이' 재분배 받는데 이 때 자신이 돈을 얼마를 내는지는 자신 이외에는 볼 수 없어요.

    이 실험을 선진국에서 하면 분명히 아무도 내가 얼마를 냈는지를 나 이외의 사람은 모른다 해도 참가중에서 일정의 돈을 내지 않는 사람이 거의 없대요. 그래서 모든 사람들이 되돌려 받는 돈이 많다고 하죠.
    그런데 후진국일수록 돈을 낸 사람이 없다네요.

    한 아파트건물에 사는 모든 사람이 최소한의 난방을 기본적으로 하면 소수가 많은 난방비 폭탄을 맞아야 하는걸 알면서도 내가 춥지 않은데 억지로 덥게 살란 말이냐고 자꾸 우기는 사람들이 참 많아요. 최소한의 난방이란 실내온도 18-20도 정도겠지요? 모든 사람이 그 정도만 틀어도 아기 있는 집에서 무리하게 26도 이상(이렇게 틀었다고 실내온도가 이건 아니죠. 서난방을 안 하는 옆집과 닿는 냉벽이 끊임없이 빼앗아가는 난방땜에 실제 집안 온도는 간신히 따뜻하죠)을 틀어야 하죠.

  • 5. 경제학의 실험
    '16.2.3 6:54 AM (100.37.xxx.20) - 삭제된댓글

    참가자 모두가 일정액의 돈을 지급받고 그 돈의 일부를 내면 모여진 총액을 계산해서 모여진 돈의 세배가 되는 돈을 모든 사람들이 '똑같이' 재분배 받는데 이 때 자신이 돈을 얼마를 내는지는 자신 이외에는 볼 수 없어요.

    이 실험을 선진국에서 하면 분명히 아무도 내가 얼마를 냈는지를 나 이외의 사람은 모른다 해도 참가중에서 일정의 돈을 내지 않는 사람이 거의 없대요. 그래서 모든 사람들이 되돌려 받는 돈이 많다고 하죠.
    그런데 후진국일수록 돈을 낸 사람이 없다네요.

    한 아파트건물에 사는 모든 사람이 최소한의 난방을 기본적으로 하면 소수만 많은 난방비 폭탄을 맞는 일이 없다는 걸 알면서도 내가 춥지 않은데 억지로 덥게 살란 말이냐고 자꾸 우기는 사람들이 참 많아요. 최소한의 난방이란 실내온도 18-20도 정도겠지요? 모든 사람이 그 정도만 틀어도 아기 있는 집에서 무리하게 26도 이상(이렇게 틀었다고 실내온도가 이건 아니죠. 서난방을 안 하는 옆집과 닿는 냉벽이 끊임없이 빼앗아가는 난방땜에 실제 집안 온도는 간신히 따뜻하죠)을 틀어야 하죠.

  • 6. 경제학의 실험
    '16.2.3 6:55 AM (100.37.xxx.20) - 삭제된댓글

    참가자 모두가 일정액의 돈을 지급받고 그 돈의 일부를 내면 모여진 총액을 계산해서 모여진 돈의 세배가 되는 돈을 모든 사람들이 '똑같이' 재분배 받는데 이 때 자신이 돈을 얼마를 내는지는 자신 이외에는 볼 수 없어요.

    이 실험을 선진국에서 하면 분명히 아무도 내가 얼마를 냈는지를 나 이외의 사람은 모른다 해도 참가중에서 일정의 돈을 내지 않는 사람이 거의 없대요. 그래서 모든 사람들이 되돌려 받는 돈이 많다고 하죠.
    그런데 후진국일수록 돈을 낸 사람이 없다네요.

    한 아파트건물에 사는 모든 사람이 최소한의 난방을 기본적으로 하면 소수만 많은 난방비 폭탄을 맞는 일이 없다는 걸 알면서도 내가 춥지 않은데 억지로 덥게 살란 말이냐고 자꾸 우기는 사람들이 참 많아요. 최소한의 난방이란 실내온도 18-20도 정도겠지요? 모든 사람이 그 정도만 틀어도 아기 있는 집에서 무리하게 26도 이상(이렇게 틀었다고 실내온도가 이건 아니죠. 서난방을 안 하는 옆집과 닿는 냉벽이 끊임없이 빼앗아가는 난방땜에 실제 집안 온도는 간신히 따뜻하죠)을 틀어야 하는 일도 적겠지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42229 방금전 한국비행기 테러 납치당했다고 인터넷 뉴스뜨더니 8 2016/03/29 5,390
542228 노원병토론회 어디서 볼 수 있나요?? 고고 2016/03/29 410
542227 레노보 태블릿 인터넷연결 하고 싶습니다. 2 레노보 2016/03/29 900
542226 화장실용 방향제 4 방향제 2016/03/29 1,068
542225 베개에 염색약이 세턱해도 안빠져요 1 고민 2016/03/29 1,983
542224 나이 마흔하나, 신체노화가 확확 느껴져요 21 노화 2016/03/29 6,557
542223 여행캐리어 지퍼가 고장났는데 3 ... 2016/03/29 1,278
542222 시편23편 경상도 버전이라네요 14 ㅇㅇ 2016/03/29 4,259
542221 행복은 배우자의 인성에서 올까요 돈에서 올까요 16 ㅇㅇ 2016/03/29 5,290
542220 더민주 이용섭 토론회 무산 시켰네요 ..광주시민 뭘로 보나.. 10 .... 2016/03/29 1,233
542219 40초반 당뇨 관리 어떻게 해야할까요. 21 아마씨 2016/03/29 4,005
542218 베이츠모텔 자막 해석 좀 부탁드립니다. 1 해석 2016/03/29 593
542217 특목고 보내신 어머님들께 여쭙니다.. 아이의 의지 : 엄마의 의.. 28 중딩 2016/03/29 5,707
542216 미국 국회의사당 총격사건 발생..총격범 체포 미국총기 2016/03/29 670
542215 하룻밤 이상 안자고 당일로 다녀와 후회되는 여행지 있으세요..?.. 2 국내외 2016/03/29 1,843
542214 노원병 토론회인데, 안철수 후보가 안보이네요[사진] 22 어머 2016/03/29 1,726
542213 유가족분들 청문회 증인으로 나오셨어요 함께해요 2016/03/29 319
542212 분당 아파트 잘 아시는 분요~(조언부탁드려요) 13 하하 2016/03/29 3,383
542211 인공향에 지나치게 예민해졌어요. 이유가 뭘까요? 18 .... 2016/03/29 2,365
542210 안산은 바람이 엄청나게 불어요. 6 바람이 엄청.. 2016/03/29 1,298
542209 영어학원비 ㅡ날짜계산 좀 봐주세요ㅠ 7 영어학원 2016/03/29 1,555
542208 세월호와 국정원-2차 청문회 1 기사 2016/03/29 310
542207 설화수 화장품을 사려고 하는데요 8 !!!! 2016/03/29 2,554
542206 낙지젓이랑 오징어젓갈이랑 10 배가고파서 2016/03/29 3,029
542205 새누리 지지하시는 분들 오세훈 VS 김무성 누가 좋아요? 3 바람이 분다.. 2016/03/29 6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