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아파트 난방글보다가 생각난거

... 조회수 : 1,841
작성일 : 2016-02-03 01:59:04

제가 17년 전 쯤인가에 홍콩에 갔었는데...

홍콩에서 인턴을 하던 친구집에 열흘정도 있었어요

그때 티비를 보다보면 이해할 수 없는 광고가 있었는데

공익광고인데 아파트같은 공동주택에서 한 집에 있는 사람만 에어콘을 끄는거에요.

그러니까 다른 집이 영향을 받으면서 전기세가 많이 나온다는 식으로 기억은 잘 안나지만 그게 이기적인거다라고 하며

다른 사람을 생각해서 에어콘온도를유지하라 이런 광고였어요.

그 당시는 에어콘 끼면 전기세 큰일나는 줄 알던 시기라 저희는 그 광고가 너무 이해안갔어요.

그래서 홍콩사람에게 물었더니 한 집이 에어콘을 안키면 다른 집이 피해가 된다 이런식으로 말했는데

영어도 짧고 도저히 이해도 안되고 해서 그렇구나 하고 그냥 지나갔는데


난방글들 보니까 그게 그런 이유였나봐요


우리나라는 아주 극심한 더위가아니라 여름에는 큰 문제가 아닌데

이렇게 한파일때는 영향이 크긴한거 같아요.


근데...뭐... 복이지요. 선택할 수 있는건 아니니까...

저는 뭐라고 할 수 있는 상황까지는 아니라고 생각하지만

어쨓던 그 광고가 생각나더라구요

IP : 222.109.xxx.52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복이죠 ㅎ
    '16.2.3 2:12 AM (119.197.xxx.49)

    저렇게 광고를 해도 다른집을 위해서 틀지는 않을겁니다
    저는 난방은 빵빵하게 하지만 에어컨은 10번이나 틀까 말까..
    에어컨 틀면 몸이 아프니까 어쩔수가 없죠
    난방도 절약하는집,컨디션때문에 시원하게 사는집 .. 다들 사연이
    있을테니까요

    간혹 절약해야 해서 난방을 거의 안하는데 윗집이랑 옆집 아랫집도 안틀어 추워 죽겠다는 글을 보면 역지사지가 저리 안되나 싶더라는

  • 2. 어제
    '16.2.3 3:00 AM (124.48.xxx.210) - 삭제된댓글

    글에 난방에 대한 링크글보니
    난방비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봐야한다고 했어요.
    아랫집에 따라 난방비에 엄청난 차이가 있더라구요.

  • 3. 우리도
    '16.2.3 3:05 AM (124.48.xxx.210) - 삭제된댓글

    기후변화에 여름에 에어컨 영향을 많이 받을것같아요.
    우리집에 환자가 둘이다보니 냉난방비가 엄청난데
    아랫집에서 겨울에 따시고 여름에 시원하시다고하세요.

  • 4. 경제학의 실험
    '16.2.3 6:53 AM (100.37.xxx.20) - 삭제된댓글

    참가자 모두가 일정액의 돈을 지급받고 그 돈의 일부를 내면 모여진 총액을 계산해서 모여진 돈의 세배가 되는 돈을 모든 사람들이 '똑같이' 재분배 받는데 이 때 자신이 돈을 얼마를 내는지는 자신 이외에는 볼 수 없어요.

    이 실험을 선진국에서 하면 분명히 아무도 내가 얼마를 냈는지를 나 이외의 사람은 모른다 해도 참가중에서 일정의 돈을 내지 않는 사람이 거의 없대요. 그래서 모든 사람들이 되돌려 받는 돈이 많다고 하죠.
    그런데 후진국일수록 돈을 낸 사람이 없다네요.

    한 아파트건물에 사는 모든 사람이 최소한의 난방을 기본적으로 하면 소수가 많은 난방비 폭탄을 맞아야 하는걸 알면서도 내가 춥지 않은데 억지로 덥게 살란 말이냐고 자꾸 우기는 사람들이 참 많아요. 최소한의 난방이란 실내온도 18-20도 정도겠지요? 모든 사람이 그 정도만 틀어도 아기 있는 집에서 무리하게 26도 이상(이렇게 틀었다고 실내온도가 이건 아니죠. 서난방을 안 하는 옆집과 닿는 냉벽이 끊임없이 빼앗아가는 난방땜에 실제 집안 온도는 간신히 따뜻하죠)을 틀어야 하죠.

  • 5. 경제학의 실험
    '16.2.3 6:54 AM (100.37.xxx.20) - 삭제된댓글

    참가자 모두가 일정액의 돈을 지급받고 그 돈의 일부를 내면 모여진 총액을 계산해서 모여진 돈의 세배가 되는 돈을 모든 사람들이 '똑같이' 재분배 받는데 이 때 자신이 돈을 얼마를 내는지는 자신 이외에는 볼 수 없어요.

    이 실험을 선진국에서 하면 분명히 아무도 내가 얼마를 냈는지를 나 이외의 사람은 모른다 해도 참가중에서 일정의 돈을 내지 않는 사람이 거의 없대요. 그래서 모든 사람들이 되돌려 받는 돈이 많다고 하죠.
    그런데 후진국일수록 돈을 낸 사람이 없다네요.

    한 아파트건물에 사는 모든 사람이 최소한의 난방을 기본적으로 하면 소수만 많은 난방비 폭탄을 맞는 일이 없다는 걸 알면서도 내가 춥지 않은데 억지로 덥게 살란 말이냐고 자꾸 우기는 사람들이 참 많아요. 최소한의 난방이란 실내온도 18-20도 정도겠지요? 모든 사람이 그 정도만 틀어도 아기 있는 집에서 무리하게 26도 이상(이렇게 틀었다고 실내온도가 이건 아니죠. 서난방을 안 하는 옆집과 닿는 냉벽이 끊임없이 빼앗아가는 난방땜에 실제 집안 온도는 간신히 따뜻하죠)을 틀어야 하죠.

  • 6. 경제학의 실험
    '16.2.3 6:55 AM (100.37.xxx.20) - 삭제된댓글

    참가자 모두가 일정액의 돈을 지급받고 그 돈의 일부를 내면 모여진 총액을 계산해서 모여진 돈의 세배가 되는 돈을 모든 사람들이 '똑같이' 재분배 받는데 이 때 자신이 돈을 얼마를 내는지는 자신 이외에는 볼 수 없어요.

    이 실험을 선진국에서 하면 분명히 아무도 내가 얼마를 냈는지를 나 이외의 사람은 모른다 해도 참가중에서 일정의 돈을 내지 않는 사람이 거의 없대요. 그래서 모든 사람들이 되돌려 받는 돈이 많다고 하죠.
    그런데 후진국일수록 돈을 낸 사람이 없다네요.

    한 아파트건물에 사는 모든 사람이 최소한의 난방을 기본적으로 하면 소수만 많은 난방비 폭탄을 맞는 일이 없다는 걸 알면서도 내가 춥지 않은데 억지로 덥게 살란 말이냐고 자꾸 우기는 사람들이 참 많아요. 최소한의 난방이란 실내온도 18-20도 정도겠지요? 모든 사람이 그 정도만 틀어도 아기 있는 집에서 무리하게 26도 이상(이렇게 틀었다고 실내온도가 이건 아니죠. 서난방을 안 하는 옆집과 닿는 냉벽이 끊임없이 빼앗아가는 난방땜에 실제 집안 온도는 간신히 따뜻하죠)을 틀어야 하는 일도 적겠지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27664 일하시는 분들 단체 식사 메뉴로 뭐가 좋을까요? 2 david 2016/02/13 2,629
527663 지금 양재코스트코 어떤가요? 샤르망 2016/02/13 367
527662 어린이 잡지 뭐 보여 주세요? (수,과학, 시사,신문 등등.. 10 ... 2016/02/13 1,585
527661 키 171에 적당하게 이쁜 몸무게는? 8 ... 2016/02/13 4,634
527660 더민주 개성공단기업협회 간담회.JPG 11 욕도아깝다 2016/02/13 1,090
527659 도토리 가루가 많이 있어요. 묵말고.. 7 출출 2016/02/13 1,597
527658 제부들 호칭문제 4 kk 2016/02/13 758
527657 중등딸아이 한약 괜찮을까요 2 환기시켜요 2016/02/13 682
527656 집에서 재운 김으로 점심 먹었어요 8 좋아 2016/02/13 2,265
527655 미래일기라는 프로그램 4 얼음쟁이 2016/02/13 1,551
527654 채수로 라면 끓이니 정말 맛있어요. 9 .. 2016/02/13 3,525
527653 수중에 돈있는걸 못견디는 성격 7 움... 2016/02/13 2,325
527652 사람 촉이라는게 참.. 5 .. 2016/02/13 4,422
527651 스페인 패키지여행을 가려고 하는데 둘 중 뭐가 더 나을까요? 7 스페인 패키.. 2016/02/13 2,387
527650 영어를 배우겠다고 여자랑 채팅을 한다는데 8 채팅 2016/02/13 986
527649 푸하.... 가서 일러요. 진중권이 호남을 똥개라 불렀다...... 16 진중권 2016/02/13 1,329
527648 부추전이 떡이 되는데요 13 노라 2016/02/13 2,762
527647 주변에 독감 많이들 걸렸나요?? 6 . 2016/02/13 1,918
527646 1층인데, 커튼 조언좀 주세요. 3 동글이 2016/02/13 1,112
527645 결혼 준비 하면서 가장 후회되는것들이 결혼식이라니.. 30 결혼준비 2016/02/13 10,942
527644 말하는 결혼한 티 안한 티라는게 뭘까요? 8 기혼자들이 2016/02/13 2,041
527643 서비스/판매일 하시는분들 제발 어머니 호칭좀 21 .. 2016/02/13 2,803
527642 과외샘 보통 수업 어떤식으로 하나요? 4 사교육 2016/02/13 1,350
527641 딸기잼 얼려도 되나요? 7 dd 2016/02/13 2,957
527640 PT 받으려면.. 1 유니 2016/02/13 8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