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처음 마늘 장아찌 만들었는데..도움좀 주세요

조회수 : 687
작성일 : 2016-01-28 14:09:46
제가 장아찌류를 전혀 안먹으니(먹어보질 않아서 뭐가 맛있는건지 모르겠어요..) 뭐가 문젠지 잘 모르겠어요..
방법은 82히트레시피대로 했구요
매운맛 사라지게 식초에 담그래서 보름넘게 담갔다가 간장등으로 했고 3개월에 걸쳐 두세번 끓였다 식혀서 부었구요
드뎌 개봉했는데 속까지 간이 안배고 아린맛이 난다네요..
남편말로는 마늘을 반씩 쪼개서 다시 넣어보라는데.. 이런다고 해결될까요..?

간장을 한번 더 끓여서 부어볼까요?
아니면 이번엔 뜨거울때 부어볼까요..?
좋아해서 이거 하나만 가지고도 밥잘먹는 사람이라 제대로좀 해주고 싶은데..도움좀 주세요..

IP : 115.139.xxx.86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경험자
    '16.1.28 2:19 PM (121.165.xxx.114)

    처음부터 냉장보관하면 그래요
    실온해서 숙성해야 됩니다
    이제라도 실온에 두고 익히세요

  • 2. 음..
    '16.1.28 2:22 PM (115.139.xxx.86)

    베란다에 보관했었는데요.. 날이 추워서 그럴까요..?
    집안에다 좀 둬보면 될까요?

  • 3. 식초와 소주에
    '16.1.28 2:25 PM (125.181.xxx.152) - 삭제된댓글

    이틀정도만 푹 담갔다 건져서 병에 담아놓고 간장과 설탕을 커다란 냄비에 넣어서 맛보면서 약간 달콤한 맛이 날때 식초 넣어보고 새콤달콤하면 그때 병에 마늘 전체가 잠길만큼 부어두고 서늘한 곳에 방치후 한달후에 드시면 먹을만해요.
    좀 맛이 없다 싶으면 마늘 건져서 고추장 설탕,참기름 깨소금 넣고 무쳐서 드시고요.

  • 4. 식초와 소주에
    '16.1.28 2:26 PM (125.181.xxx.152) - 삭제된댓글

    이틀정도만 푹 담갔다 건져서 병에 담아놓고 간장과 설탕을 2:1비율로 커다란 냄비에 넣어서 맛보면서 약간 달콤한 맛이 날때 식초 넣어보고 새콤달콤하면 그때 병에 마늘 전체가 잠길만큼 부어두고 서늘한 곳에 방치후 한달후에 드시면 먹을만해요.
    좀 맛이 없다 싶으면 마늘 건져서 고추장 설탕,참기름 깨소금 넣고 무쳐서 드시고요.

  • 5. ...
    '16.1.28 2:40 PM (14.55.xxx.30)

    더 두었다 드세요.

  • 6. 장아찌용
    '16.1.28 4:19 PM (121.140.xxx.90) - 삭제된댓글

    식초물에 2주 담갔다가, 식초물을 버려야 합니다.
    식초와 물 비율은 1대1이지만, 60% 정도 식초를 하는게 좋더라고요.
    버리지 않고 식초물에 간장을 섞어 담으면 매워요.
    그리고, 마늘은 장아찌용 마늘로 하는 게 좋습니다.
    장아찌용 마늘은 봄에 나옵니다.

    정상적인 마늘로도 하기는 하는데, 반드시 식초삭힌물을 다 버리고 해야 합니다.
    2주후에 물,간장, 식초, 설탕, 소금으로 간을 한 후에 며칠만 지나면 바로 먹어도 됩니다.

  • 7. 감사
    '16.1.28 6:33 PM (115.139.xxx.86)

    감사합니다 일단 실내에서 더삭혀볼께요
    121님 담에 할땐 참고할께요 식초물을 그냥 썻네요..ㅜ

  • 8. 나이많은 아지매
    '16.1.28 8:32 PM (220.76.xxx.30)

    우리는 일반 사과 식초에 물섞지않고 식초로만 실온에서 10일담그어놓으니까
    전부아린맛 빠지고 진간장에 설탕이나 조청넣고 끓여서 식혀부으니 맛있던데요
    원글님이 식초에 잘못삭혓나봅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23044 요리고수님들. 커트기능 좋은 믹서기 추천 부탁드려요. 3 리소모 2016/01/29 1,467
523043 덜익은 김치로 끓인 김치찌개 신맛은 식초로 내나요?? 11 김치찌개 2016/01/29 16,344
523042 고대 미디어학부 14 브메랑 2016/01/29 2,874
523041 엄마로 인해 버스에서 울었던 경험 3 흑흑 2016/01/29 1,774
523040 봉하마을 갔다가 장군차 사온게 있어서 ... 2016/01/29 505
523039 남편 실직했다가 재취업하신 분들께 조언 부탁드립니다. 15 00 2016/01/29 4,239
523038 타은행 계좌이체 되나요? 3 현금인출기 2016/01/29 956
523037 3인병실에 입원중인데ㅠㅠ 14 쉬고싶다 2016/01/29 6,039
523036 친정 부모님 2 하마 2016/01/29 1,024
523035 [단독]김종인 뉴라이트 사관 '1948 건국론' 동조, 5 ... 2016/01/29 675
523034 싸고 양 많으면 그걸로 됐다고 하는 남편.. 9 ㅜㅜ 2016/01/29 2,129
523033 근래에 두바이 여행 다녀오신 분들 계시나요? 1 MistyF.. 2016/01/29 1,360
523032 임신하면 지하철에서 봉변 한번씩은 당하는 것 같아요 21 으어 2016/01/29 3,245
523031 운기조식 이란말 들어보셨어요? 15 ?? 2016/01/29 5,011
523030 작심삼일 안되게 하려면 어떤 노력이 필요한가요? 3 노력 2016/01/29 566
523029 손석희탄압은 더욱 심해질듯 4 황교안 2016/01/29 1,688
523028 2016년 1월 29일 경향신문, 한겨레, 한국일보 만평 세우실 2016/01/29 386
523027 김무성 사위 마약친구들 범키 유죄 1 엑스터시 2016/01/29 1,805
523026 혼자된 70세 할머니에겐 무엇이 좋을까요? 6 노후 2016/01/29 1,558
523025 전원책 이분 요즘 웃겨요~~ 12 하하 2016/01/29 3,260
523024 시어머니 오시는데 반찬 추천 좀 해주세요.. 5 막내 2016/01/29 1,342
523023 명절에 손하나 까딱도 안하고 상받는 분들 왜그러는거죠? 14 ... 2016/01/29 4,068
523022 2월 2일 쇼팽 갈라콘서트 보러 가시는 분들 쇼팽 2016/01/29 532
523021 자꾸만 도착하는 피자,소녀상은 춥지 않습니다 6 11 2016/01/29 1,626
523020 특성화고 보냈는데, 공부를 어찌 시켜야 할지요 4 2016/01/29 1,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