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대학 정시에도 내신 들어가는 거죠?

.... 조회수 : 3,349
작성일 : 2016-01-27 12:09:13
아직 제가 잘 모르는건지  , 지인이 정시엔 내신은 상관없다고 해서요 
내신이나 생기부는 수시에만 들어가는 건가요 

특목고 하위권 아이들 경운 정시를 준비하라는데 , 그럼 내신이나 생기부 활동은 아예 포기 하고 수능 준비만 해야 하는건지 ? 

입시는 들어도 잘 모르겠어요 

아이가 외고 원하는데, 가서 중간정도나 할까 걱정되서 물어본건데 그리 얘기하니 헷갈려요 

IP : 114.204.xxx.212
1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6.1.27 12:10 PM (222.110.xxx.76)

    대학 전형마다 달라요.
    수시보다 내신의 비중이 다르고요.

    수능으로만 갈 수 있는 대학 있고요.

    정말 수능형 체질 아니고서야
    어쨌든 내신을 잘 챙기는게 대학가는데 유리해요.

  • 2. ..
    '16.1.27 12:16 PM (182.209.xxx.49) - 삭제된댓글

    정시도 내신이 들어가요 그런데 연고대같은경우 내신등급폭이5등급까지는 점수차이가 1점인가밖에 차이가 안나게 뒀지요 특목고 아이 뽑으려고... 특목고아이들 5-6등급이라도 다 잘하는 아이들이라...

  • 3. ㅇㅇ
    '16.1.27 12:44 PM (180.230.xxx.54)

    그게 내신반영율 30%.. 100점 중에서 30점
    근데 내신 1등급 30점..2등급 29점..3등급 28점.. 이렇게 두는 학교가 있는가하면

    내신반영율 30%
    내신 1등급 30점, 2등급 27점, 3등급 21점 이렇게 두는 학교도 있어요.

    정시는 아무래도 배점 차이가 적게나죠. 특목고 애들 뽑으려고

  • 4. 오00
    '16.1.27 1:00 PM (223.62.xxx.40)

    서울중위권까지 거의 내신 안들어갑니다...
    작년에 세종대 30%들어가던 내신이 올해부터 100%수능만봅니다...
    단지 농어촌..특성화고는 내신들어갑니다

  • 5. 정시내신은
    '16.1.27 1:32 PM (14.52.xxx.171)

    좋은 학교일수록 덜 들어가고
    우선선발 통해서 내신 0% 봅니다
    윗글 중 1점 차이도 안난다는건 논술 전형일수도 있고
    정시에선 컷트라인이 소숫점 여섯자리까지 나서 내신1점은 회복불가능이에요
    외고 가서 중간 이하 내신에 영어도 빼어나지 못하다면 결국 수능 올인이 답이에요
    그래서 좋은 학교 우선선발로 뽑혀야 합니다

  • 6. . .
    '16.1.27 1:32 PM (110.70.xxx.218)

    100프로 수능만 보는데가 많아요. 내신은 수시에서 보죠.

  • 7. dㅌㅌㅌㅌ
    '16.1.27 1:52 PM (58.140.xxx.152)

    아이고 우선선발 없어진지가 언제인데.....

  • 8. ..
    '16.1.27 1:58 PM (175.121.xxx.70)

    외고 고민하시니 정시로 올해기준 스카이만 말씀드릴게요.
    서울대 수능 100으로 뽑았어요.
    연대 고대 1000점 만점으로 학교자체점수를 정하는데
    수능 900에 내신100이에요.
    내신 100점은 등급간 큰 차이는 없어요. 그래서 정시에선 별 상관없다고 하는 거예요.
    하지만 윗분이 말씀하셨듯 정시는 1점안에 수십명이 소수점차이로 빼곡히 있기때문에 나중에 내신이
    등락을 결정할 수는 있어요.
    1점 차이가 어마어마한게 정시예요.
    그리고 기본적으로 정시만 목표로 할순 없어요.
    학종이나 논술도 다 기회를 써야 하거든요.
    외고는 나름 장점이 많으니까 가도 된다고 생각해요.
    그런데 문과는 외고갈 실력이면 일반고에서 내신 받기 수월해요. 일반고 상위권 아이들이 이과로 많이 가서 문과는 상대적으로 잘하는 애들이 적어요.
    그치만 학업분위기는 기대하기 어렵구요.

    그리고 윗분이 말씀하신 우선선발은 현재 없어진 제도예요.

  • 9. ...
    '16.1.27 2:19 PM (114.204.xxx.212)

    댓글 감사드려요
    아이가 영어는 좀 하는데 다른건 그저 그렇다보니 고민이에요 솔직히 스카이는 커녕 인서울 중간정도만 가도 좋겠어요
    하도 입시가 어렵다 해서 ...
    외고가면 조금 보다가 아예 정시 준비해야할거 같이서요

  • 10. ㅎㅎ
    '16.1.27 2:45 PM (223.62.xxx.130)

    외고의 장점은 수시를 체계적으로 준비할 수 있다는 것과 학습 분위기예요. 그래서 내신 어느 정도 잘 받아 수시 준비하려하거나 분위기를 많이 타서 외고 가서 열심히 하는 애들 사이에서 자극 받고 싶다면 외고 가는 게 좋다고 봐요.
    하지만 처음부터 정시 생각하거나 성적 잘 안 나오면 좌절해 버리는 학생의 경우엔 일반고 가는 게 훨씬 나아요. 외고 시스템상 영어, 전공어 시수가 너무 많아서 수능 준비에는 불리한 시스템이거든요.
    제가 아는 아이의 경우, 강남 유명한 학교에서 반에서 4~5등이었는데, 외고 떨어졌어요. 근데 일반고 가서 지금 전교 5등 안에 든다고 해요. 얘는 외고 떨어진 게 오히려 잘된 케이스죠.

  • 11. ㅇㅇ
    '16.1.27 5:44 PM (14.52.xxx.171)

    우선선발은 13년을 기점으로 점점 없어지고 있어요
    근데 서울대가 내신을 정시에서 반영을 안하니 이게 폐지인가 뭔가 애매해진거죠
    그 전에는 수능 압도적으로 잘봐서 우선선발로 붙고
    그게 아니면 일반고 내신 괴물들과 다시 일반선발에서 붙어야 하는 게임이었거든요

    사실 입시는 정시끝까지 보고 준비하는게 맞아요
    제일 범하기 쉬운 오류가
    우리앤 수시로 간다,고 생각하고 수능준비 소홀히 하는거(사실 말이 안돼죠)
    누군 수시로 안 가고 싶나요,,수시는 아무리 허수가 많다고 해도 경쟁률이 정시랑은 차원이 달라요
    제가 주변에서 보면 외고를 안갔으면 더 대학을 잘갔을 애들이 많더군요
    대학 제일 잘가는 문과생은 외고 붙을줄 알았는데 떨어지고 일반고 가서 이갈면서 공부하는 애들이었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50085 갱년기 불면증 극복하신 분 계신가요? 9 불면 부부 2016/04/21 3,722
550084 13년만에 제주도 가요 꼭가야되는곳 한곳만 추천해주세요 13 .. 2016/04/21 3,267
550083 스와로브스키 제품이요... 6 아기사자 2016/04/21 2,271
550082 가슴이 꽉막히고 답답할때..어떻게 하세요 6 살자. 2016/04/21 2,734
550081 생활비 문제 3 Dd 2016/04/21 1,564
550080 이런치약처음이에요 양치를 해도 치석이 남아 있음을 느껴요..(치.. 15 치약 2016/04/21 4,336
550079 허벅지 안쪽살이 울퉁불퉁 해졌어요 1 울퉁불퉁 2016/04/21 2,060
550078 핸드폰 사용시 이럴수도 있나요?? 5 꿀꿀 2016/04/21 716
550077 다음주 5일부터 8일까지 일본 다녀올 수 있을까요? 49 /// 2016/04/21 1,169
550076 초등 고학년 여자아이들 운동 어떤거하나요? 9 초등맘 2016/04/21 4,026
550075 데톨 항균 스프레이 광고.. 7 궁금 2016/04/21 1,394
550074 공단에 잘 못 입금된 돈은 돌려받을 수 있나요? 6 의료보험 2016/04/21 786
550073 학교지킴이 분이 너무 짜증을 내요 13 바다 2016/04/21 2,767
550072 국악중학교에 대해서 알고 싶어요.. 10 ... 2016/04/21 2,337
550071 카라멜향 바디크림 샀어요~~ 1 카라멜 2016/04/21 1,001
550070 인도네시아 50만명 대학살..드러내놓고 토론한다 5 액트오브킬링.. 2016/04/21 1,483
550069 靑 ˝어버이연합에 위안부합의 지지집회 지시, 사실 아냐˝ 3 세우실 2016/04/21 1,171
550068 최근에 아기 낳으신님 배냇저고리는 몇개정도필요할까요? 12 늦눙이 2016/04/21 5,055
550067 운동복 줄여입음 이상할까요? 3 2016/04/21 729
550066 이글을 써야하나말아야하나 84 사과향 2016/04/21 21,705
550065 영화 추천해주세요 (다운받아보려구요) 6 봄비 2016/04/21 1,235
550064 (무플절망ㅠ)걸이형 식기건조대 조언 구합니다 8 주방 2016/04/21 1,422
550063 여권 발급 불허처분...이런!! 8 지금 2016/04/21 2,586
550062 영등포와 반포 주변 추천 부탁드려요 1 간만에 2016/04/21 746
550061 세탁실 곰팡이 제습기로 될까요? 4 그림그려줘루.. 2016/04/21 2,6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