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박씨는 보육대란의 책임자다

병신년 조회수 : 1,256
작성일 : 2016-01-26 01:37:24
바쁜분들은 위에것만 보셔도 무방합니다
줄여서 줄여서 정리하면~

1.박씨는 누리과정 예산을 전액 국가지원하겠다며 tv토론회에서 공약했다(그리고 대통령이 되었다)

2.중앙정부에서 지방정부 또는 지방교육청으로 쓰라고 내려주는 돈..즉,교부금은 내국세의 20.7%로 해마다 원래 주는돈이다.전혀 새로운 예산이 아니란 얘기다.

3.그런데도 정부에서는 관련예산을 주었다며 편성하라고 교육감들을 압박한다.

4.예를 들면, 해마다 만원씩 주고 초중고 예산을 알아서 써라..하다가 올해도 역시 똑같은 만원인데 구천원은 초중고 예산쓰고 천원은 어린이집 누리과정에 써라...
이런거~

5.심지어 어린이집은 보건복지부 소속인데
교육청(유치원은 교육청 소속)에서 지원하라고 한다.



자세한 내용은 이거예요
신문] 박근혜 대통령이 25일 누리과정 예산 미편성과 관련, 시·도교육감들을 향해 날선 비판을 쏟아냈다. 대통령은 “교육감들이 정말 무책임하고, 받을 돈은 다 받고 필요한 건 쓰지 않는다”며 “법을 개정해서라도 누리과정 예산은 꼭 편성하도록 하겠다”고 못 박았다. “원칙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는 교육청들에 예비비 우선 배정 방안을 검토하라”는 편가르기 발언도 서슴지 않았다. 교육감협의회 측은 “누리과정 예산문제의 근본적 해결 촉구 목소리를 ‘정치공세’로 치부하는 대통령의 발언이야말로 정치공세”라며 “발언 내용 상당 부분이 사실을 호도하고 있다”고 거세게 반발했다.




1. “정부 탓하는 교육청들 무책임” 교육감 의무로 시행령 개정, 재원 조달도 말 바꿔

박근혜 대통령은 25일 “누리과정 예산을 놓고 무조건 정부 탓을 하는 시·도교육감들이 무책임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에 대해 “정작 무책임한 것은 대책 없이 공약하고, 책임을 떠넘기고 있는 정부와 대통령”이라는 비판의 목소리가 높다.

박 대통령은 당선자 시절 누리과정 어린이집 몫이 교육청으로 이관될 것을 감안해 ‘3~5세 누리과정 지원비용 증액’을 재확인했고 재원조달 원칙으로 ‘지방재정 부담 충분히 감안한 재원조달’을 제시했다. 2014년 교육부는 대통령 뜻대로 2015년 예산안에 누리과정 어린이집 몫으로 2조2000억원을 편성했다. 그러나 교육부 증액안은 전액 삭감됐고, 그때부터이후 정부는 ‘교육교부금을 이전했으니 중앙정부는 책임을 다했다’고 주장을 바꿨고 지난해 10월에는시행령을 개정해 어린이집 누리과정을 교육청 의무지출로 못 박았다.

교육감들은 시행령을 고쳐도 상위법인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에 맞지 않는다고 반발하고 있다. 새누리당 김장실 의원이 최근 어린이집 누리과정 재정 지원을 교부금으로 가능케 하는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개정안을 발의한 것도 상위법과 시행령이 맞지 않는다는 방증이다. 교육부의 논리대로 교육과정을 기준으로 누리과정을 운영하는 어린이집이 교육기관이라면 국가 교육과정을 교습하는 학원들도 교부금으로 지원해야 한다는 논리가 만들어진다.

정의당 정진후 의원은 “교육과정, 프로그램 중심으로 법을 해석해서는 안된다”며 “지원하는 기관 중심으로 봐야 하고 어린이집은 복지부 소관”이라고 말했다.

이재정 경기교육감은 21일 교육감협의회 총회에서 “이런 국책 국가사업을 지방에 이관하려면 법적 근거가 있어야 하고 지방행정법에 따라 지자체에 행·재정적 지원을 병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2. “받을 돈 다 받고 쓰지 않고 있다” 소요예산 계속 늘었지만, 교부금은 되레 감소

박근혜 대통령은 “이미 지난해 10월 교육교부금 41조원을 시·도교육청에 전액 지원했다”며 “일부 교육청들이 받을 돈은 다 받고 써야 할 돈은 쓰지 않고 있는 셈”이라고 말했다. 이준식 교육부 장관과 최경환 전 기획재정부 장관 역시 “4조원을 이미 내려보냈다”며 비슷한 발언을 한 바 있다. 마치 누리과정 사업에 따른 별도의 예산을 더 줬는데도 시·도교육청이 편성하지 않고 있다는 말처럼 들린다.

하지만 누리과정 예산을 시·도교육청에 더 준 것은 아니다. 박 대통령이 말한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은 내국세의 20.27%로 고정돼 있다. 대통령과 정부 당국자들은 누리과정을 도입하면서 추가 예산 없이 기존에 주던 교부금에서 누리과정 소요예산 4조원을 떼어낸 뒤 교육청에 쪼개 준 것을 “관련 예산 4조원을 내려보냈다”고 표현하고 있다.

실상 누리과정에 드는 소요예산은 계속 늘고 있지만 경제상황이 안 좋아지면서 교부금은 오히려 줄었다. 누리과정 소요예산은 2013년 3조4000억원에서 2015년 3조9000억원으로 늘었지만 교부금은 오히려 2013년 41조1000억원에서 2015년 39조4000억원으로 줄었다. 정부는 2016년엔 교부금이 41조2000억원으로 늘어날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지만, 이는 누리과정 대상 원아가 3만여명이나 훨씬 적었던 2013년도 수준으로 돌아간 것뿐이다.

더욱이 시·도교육감들은 교부금 증가분만큼 인건비 상승과 지방채 상환 등 세출도 늘어 가용재원은 거의 늘지 않았다고 호소하고 있다.

시·도교육감협의회 측은 “지난해 지방채 1조원과 목적예비비 5000억여원 등 2조원에 가까운 추가 지원을 받고서도 유치원 누리과정 예산조차 겨우 마련할 수 있었다”며 “여기에 2조원이 넘는 어린이집 누리과정까지 떠안으라는 것은 초·중등 교육 사업의 절반을 포기하라는 얘기”라고 말했다.

3. “법 고쳐서라도 교부금 직접 투입” 교육감에 재량권 부여, 교부금법 입법 취지 위배

박근혜 대통령은 누리과정 예산을 시·도교육청이 의무적으로 편성하도록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자체를 뜯어고치는 방안도 검토하라고 주문했다. 그러나 이는 교육감에게 집행 재량을 부여한다는 교부금법의 근본 취지에 배치되는 데다 교부금법의 사용 목적 자체가 뒤흔들릴 수도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의 96%를 차지하는 보통교부금은 용처를 지정하지 않고 교육감에게 내려주는 돈이다. 1990년 이후 시·도 간의 교육비 격차를 해소하고 지방교육자치를 활성화하기 위해 총액 교부 형태로 바뀌었다. 이런 상황에서 누리과정이라는 특정 목적이 지정되는 예산이 교부금에 끼어들어간다는 것은 교부금의 근본 취지를 흔들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참여연대 조세복지팀장 김남희 변호사는 “유보통합도 이뤄지지 않아 엄연히 타 부처 소관인 어린이집의 예산을 교육재정교부금으로 의무 지출하게 하는 법 개정은 법체계 혼란은 물론 법 해석을 둘러싸고 또 다른 갈등을 불러일으키는 불씨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원칙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시·도교육청들에는 3000억원의 예비비를 우선 배정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기 바란다”고 했다. 이를 두고 보육대란의 급한 불을 끄려는 의도보다는 재정적 여건이나 정치적 입장이 다른 교육감들을 이간질시키려는 의도가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IP : 1.245.xxx.84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다들 아는 것이지만
    '16.1.26 2:27 AM (211.194.xxx.176)

    우리 현대인(?)들은 불가피하게 자기 판단의 근거가 되는 정보와 지식을 책과 언론매체 등을 통해서 얻게 되는데,
    이 박그네의 억지와 파행정치를 풀어서 알려줘야 할 언론의 대부분이 직무를 외면하고 있으니
    박그네는 마음놓고 막가파식 정치를 할 수가 있는 것이죠.

    정말 요즘에는, 언론의 진짜 힘은 말하지 않는(보도하지 않는) 데서 나온다는 것을 절감합니다.

  • 2. penciloo2
    '16.1.26 2:59 AM (67.168.xxx.184) - 삭제된댓글

    정권이 바뀌면 수구언론부터 조져야 나라가 산다.

  • 3. 글쓴이
    '16.1.26 3:31 AM (1.245.xxx.84)

    정말 저 같은 사람은 정치 하라고 해도 못할듯..
    딱 봐도 거짓말인데~
    어찌 저리 정색하고 아무렇지 않게 말하나요?

  • 4. penciloo2
    '16.1.26 3:59 AM (67.168.xxx.184) - 삭제된댓글

    청년배당 이재명 시장님이 히시는 정책이 얼마나 고까웠으면 성남시를 거의 매일 감사에 들어간다네요
    작년만해도 260건 감사받았고 특별감사만 2번 받았데요
    이건 다른시에선 거의 없는일이래요

  • 5. 무지
    '16.1.26 4:17 AM (108.29.xxx.104)

    이래도 저래도 어떻게 돌아가는지도 모르고 관심없는 사람들에다 언론 때문에 이 여자가 잘한다는 사람들이 많다는 거에 문제가 있겠지요.

  • 6. ㅡㅡ
    '16.1.26 7:20 AM (114.204.xxx.75)

    그 할머니는
    이런 복잡한 사정 잘 모르고 그냥 떠든다에.한표.
    "아몰랑 그냥 지원하면 되잖앙"
    이러고 떼쓰는 애 같음.
    아,박복한 대한민국 ㅠ

  • 7. 어이없어
    '16.1.26 8:48 AM (14.39.xxx.223)

    자기가 약속해 놓고 남들보고 지키라는 건 뭔 짓??
    협상, 협의 이런 것도 모르고 조르다 안해주니 주저앉아 마냥 떼쓰는 어린애 같네요. 머릿속엔 뭐가 있는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24873 뒷담화를 했는데 걸리면 ?? 16 ㅇ우ㅜㅇ 2016/02/03 3,681
524872 급) 아산병원 신장암쪽으로 잘보시는 교수 걱정맘 2016/02/03 1,134
524871 영어못해도 대학갈수 있을까요 9 ㅇㅇ 2016/02/03 2,571
524870 조카 용돈 얼마나 주세요? 6 조카용돈 2016/02/03 1,494
524869 논현동 위치스*치 라는 반영구샵 가보신분 있나요 반영구 2016/02/03 419
524868 온돌마루, 강마루 어떤거 할까요? 14 .. 2016/02/03 4,328
524867 초딩 아들 점점더 육식인간이 되가요.. 9 고기 2016/02/03 1,538
524866 동남아에서도 미남이 14 ㅇㅇ 2016/02/03 3,878
524865 초1 선생님께 감사하다는 의미로 초콜렛은 좀 그런가요? 2 열매사랑 2016/02/03 766
524864 카톡만든사람은 누군데 이따위로만들었나요? 29 카톡 2016/02/03 7,128
524863 원목 식탁매트-고민 및 추천부탁드립니다. 2 주부 2016/02/03 1,760
524862 수리알파카 100% 코트 털빠짐 7 .... 2016/02/03 2,578
524861 이사센터와 계약시 주의사항 좀 알려주세요 4 이사 2016/02/03 814
524860 잠실/송파 근처 커트...답글 없어 다시한번만 여쭐게요. 16 tonic 2016/02/03 2,511
524859 전동칫솔 건전지식 어떤지요? 2 ".. 2016/02/03 678
524858 옛날여자들은 도대체 겨울에 빨래를 어떻게 했을까요??? 33 2016/02/03 5,698
524857 홈쇼핑에서 파는 정관장 제품 사먹어도 될까요? 4 홍삼 2016/02/03 1,775
524856 알래스카 페어뱅크스로 오로라 보러가고싶은데 5 밤의피크닉 2016/02/03 1,052
524855 목포에 사시는분께 여쭤요 4 울 아부지 2016/02/03 1,278
524854 ..그 나이대 여자들 보기엔 안맞는 조합인가요 27 답답 2016/02/03 4,139
524853 장애인 차량을 장애인이 아닌 사람이 운전하면 벌금 14 2016/02/03 2,297
524852 올해 초3 전과 중고 사도 되나요?개정없었는지요? 1 궁금이 2016/02/03 599
524851 어제 만든 총각김치가 싱거운데 2 ㅁㅁㅁ 2016/02/03 605
524850 남자아이 훈육을 어찌해야 할지. 11 아휴 2016/02/03 2,233
524849 아이 안때리시는 분은 어떻게 훈육하십니까?? 32 ... 2016/02/03 4,6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