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부모의 공평한 처신이란

공평 조회수 : 1,590
작성일 : 2016-01-25 19:20:16
펑합니다...댓글들 감사합니다.

IP : 180.224.xxx.207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음...
    '16.1.25 7:34 PM (175.209.xxx.160)

    그런데 이건 지극히 둘째 며느리 입장에서 쓴 글이네요. 만약 앓는 소리 하는 형님께 뭘 더 주신다면 이유가 있겠지요. 나중에 제사 문제라든가요. 제가 부모가 되어 보니 손위가 더 잘돼야 부모님 마음이 편한 게 이해가 되더군요. 그래봤자 형편도 넉넉하지 않은 시부모이신데 주셔봤자 얼마나 주시겠나요. 신경쓰지 마세요.

  • 2. .....
    '16.1.25 7:40 PM (121.143.xxx.125)

    손위가 다 잘돼야 부모님 마음이 편하다는 말 정말 이해가 안가요. 저는 큰애가 부족한 아이이고 둘째가 그 부족한 부분을 채워주는데, 둘 우애는 부모하기 나름이라고 생각해요. 그럼 큰애가 부족하면 부모는 늘 죄인처럼 애간장 녹이며 살아야하나요? 그냥 편애하기 위한 합리화겠죠.
    지금도 큰형이 더 잘산다는데 뭘 그리 첫째만 더 챙겨주지 못해 안달이신지 모르겠네요.
    그냥 보시고 편애하시는거 같으며 둘째네도 용돈 안드리고 그돈으로 맛난거나 사드세요.
    그리고 어찌보면 똑같이 주시는게 맞는거지, 잘사는 자식 입장에서도 열심히 사는데 못사는자식 더 챙겨주는게 기분 나쁠 수도 있는 문제거든요. 이러나 저러나 정답이 있는게 아니라 받는사람 기분문제라서 어려운 문제네요.

  • 3. 공평
    '16.1.25 7:50 PM (180.224.xxx.207) - 삭제된댓글

    벌이는 비슷해요.
    형은 양가에 앓는소리 해서 의무로부터도 자유롭고 씀씀이도 오직 자신들만을 위해서 써요.
    제사요? 교회 다닌다고 안 챙겨요...새댝에서 하는 제사에도 안 오는걸요. 제사 가져갈 확률 0%입니다. 부모님도 아세요.
    저희도 제사 안 할거고요.

    가족 모임 있어도 절대 한푼이라도 더 내는 일 없어요. 동생이 좀 더 쓰면 썼지. 형이 그러는 모습 보기 민망해서요.
    말로만 생색내고 귀찮은 일은 다 떠밀어요.
    그래놓고 마지막 생색 - 예를 들어 형제가 부모님 생신에 돈을 모아 봉투를 드린다든가 하면- 마지막 전달 순간에는갑자기 자신이 봉투 들고 나가서 저희 정성이라며 생색내요.

    같이 식사대접을 해도 마치 자신이 산 것처럼 큰 소리로 떠벌려요.

    시부모님도 알죠. 당신 큰아들이 어떤지.
    그러면서도...그래서 마음속에 서운함이 남나봐요.

  • 4. 공평
    '16.1.25 7:55 PM (180.224.xxx.207)

    벌이는 비슷해요.
    형은 양가에 앓는소리 해서 의무로부터도 자유롭고 씀씀이도 오직 자신들만을 위해서 써요.
    제사요? 교회 다닌다고 안 챙겨요...시댁에서 하는 제사에도 안 오는걸요. 제삿날 놀러가요. 제사 가져갈 확률 0%입니다. 부모님도 아세요.
    저도 제사는 쓰잘데기 없는 짓이라 여겨서 제삿날 안 오는거 뭐라할 맘 없어요.
    맏이면 제사 지낼 생각해서 그러는 거 아니냐 하시기에 적어봤어요.
    저희도 제사 안 할거고요.
    부모님 생신도 잊어버리고 놀러가는데 제사 챙길리가...

    가족 모임 있어도 절대 한푼이라도 더 내는 일 없어요. 동생이 좀 더 쓰면 썼지. 형이 그러는 모습 보기 민망해서요.
    말로만 생색내고 귀찮은 일은 다 떠밀어요.
    그래놓고 마지막 생색 - 예를 들어 형제가 부모님 생신에 돈을 모아 봉투를 드린다든가 하면- 마지막 전달 순간에는갑자기 자신이 봉투 들고 나가서 저희 정성이라며 생색내요.

    같이 식사대접을 해도 마치 자신이 산 것처럼 큰 소리로 떠벌려요.

    시부모님도 알죠. 당신 큰아들이 어떤지.
    그러면서도...그래서 마음속에 서운함이 남나봐요.

  • 5. 공평
    '16.1.25 7:55 PM (180.224.xxx.207)

    잠시 후 펑 할게요.

  • 6. 진짜 공평한건요
    '16.1.25 8:05 PM (211.245.xxx.178)

    저울추가 기울어져있으니까, 내배로 낳은 자식이라도 똑같지는 않으니까 기울어져있는 저울추를 맞추는게 부모라고 생각해요.
    저도 부모다보니 아무래도 못난 자식한테 맘이 더 갑니다.
    아마..원글님의 부모님도 큰 아들의 그릇을 알고, 작은아들한테 더 못해주는걸수도 있어요ㅠㅠ
    밴댕이 소갈머리라서 작은 애가 더 잘한다고 부모님이 마음 더 써주면 아마 뒤집어질걸요.
    지들이 하는 건 생각못하구요.
    나름 고육지책이라고 봐요.
    그래도 서운한건 서운한거고 속상한건 속상한거지요.
    내 공도 몰라주는데 누가 그렇게 잘하고 싶을까요.

  • 7. 받아들이고내갈길
    '16.1.25 8:27 PM (223.62.xxx.86)

    원래 저런 사람들이구나
    나는 내 실속 차리고 저것들한테 안당하고 살란다
    그선에서 마무리

  • 8. 제가 깨달은 건
    '16.1.26 12:07 AM (125.186.xxx.115) - 삭제된댓글

    내가 내 자식들한테 나중에 공평하게 느껴지는 사람이 되는 게 중요하다 입니다
    어르신들이 바뀌시겠어요? 전혀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22241 요즘 ars 콜센타 지연된다고 끊기고 너무 하네요 2 아니 2016/01/26 612
522240 저렴이 마스크팩있잖아요. 그거 소용 1도 없는건가요?ㅜ 16 피부여 2016/01/26 8,999
522239 우울증 때문에 살이 급속도로 빠져서 기아 수준이 되어가네요 7 @@ 2016/01/26 3,348
522238 전셋집은 제 재산 중에 동산인가요, 부동산인가요?(법적으로) 7 궁금 2016/01/26 3,128
522237 목동8단지근처 토피아건물 수학여행이라는 수학학원 어떤가요? .. 2016/01/26 624
522236 키성장 센터 - 과연 효과 있는지 주위에서 보셨나요? 5 근데 2016/01/26 1,544
522235 도대채 호남 사람들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가요? 11 호남 2016/01/26 1,877
522234 오늘 새벽에 EBS 트니 한일샘이란 사람이 영어를 가르치는데.... 11 .... 2016/01/26 3,001
522233 카톡에 카스가 사라지면 .. 2016/01/26 1,438
522232 댓글수가 실제랑 달라요 4 ?? 2016/01/26 681
522231 가늘고 숱없고 힘없이 착 가라앉는 머리, 헤나 염색 해도 될까요.. 2 ... 2016/01/26 2,161
522230 전세 살고 있는데 아파트 전체세대 보수시공 한다고 해요 3 하아.. 2016/01/26 976
522229 오늘저녁식단계획 8 ㅇㅗ늘 2016/01/26 1,556
522228 성격이 인생에 있어서 ..제일 중요할까요 ? 5 미키 2016/01/26 1,442
522227 현재 미국동부 날씨 어떤지요? 출국일은 다가오는데 ... 3 두리맘 2016/01/26 1,261
522226 황재근 디자이너 재능 있네요.. 8 재능 2016/01/26 4,409
522225 세탁기 내일은 녹을까요? ㅠㅠ 24 빨래왕 2016/01/26 4,160
522224 오늘 전세 연장 계약서를 쓰기로 했는데요. 6 부동산무서움.. 2016/01/26 1,211
522223 전세 재계약 1 ... 2016/01/26 480
522222 코스트코 싱글스 치즈 세일 언제하는지 아시는 분 코스트코 2016/01/26 563
522221 선관위, 이승만은 ''독립운동" 김구는 ".. 3 사랑이여 2016/01/26 694
522220 파업 피디들 다 배제시켜...'고발프로 전혀 못하게 통제' 1 엠비씨 2016/01/26 509
522219 자녀들 2g폰으로 바꾼 후 확실히 달라진 점 있나요? 7 2g 2016/01/26 1,862
522218 모혼방 원피스 세탁 집에서 할 수 있는 방법있나요? 2 비싼건 아니.. 2016/01/26 744
522217 초등 시험 폐지 어떻게 생각하세요. 16 .. 2016/01/26 3,625